• 제목/요약/키워드: 하역장비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42초

선박규모별 컨테이너 하역 비용가치 평가 - 시간가치비용을 중심으로 - (Estimation of cost value of container handling according to vessel's size - Focus on time value cost -)

  • 송용석;남기찬;허윤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65-470
    • /
    • 2006
  • 최근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따라 항만의 장비 및 시설 또한 대형화 추세에 있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부산항, 상해항등 대형 Hub-Port의 역할을 수행하는 항만들의 항만 간 경쟁측면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6만톤(5,000TEU급) 이상 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발주로 부산항에 기항하는 대형선박의 수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반면, 중소형 선박들의 부산항 기항횟수 또한 증가하여 2만톤 $(1,500TEU\sim2,000TEU)$ 이하인 중소형 선박의 비중이 7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놓고 볼 때 중소형 선박의 하역시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지나치게 간과하는 측면이 있다. 장비 및 시설의 대형화는 높은 비용 투자로 인해 중소형 선박 작업 시 높은 하역원가가 적용되므로 중소형 선사는 하역비 부담, 운영사는 중소형 선박 기피와 같은 현상을 가져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박크기, 크레인 규모와 수, 인력구조 등을 반영한 시간가치 비용을 산정함으로써 선박 규모별 컨테이너 1개(VAN)의 하역 비용가치를 분석하여 선박 규모별 투입 크레인과 인력구조의 적정성을 평가하는 데 있다.

초대형 컨테이너선박의 기항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장치장 규모 확대방안의 경제성 비교 (An Economical Efficiency Comparison for Extend Method of Container Terminal Yard Scale followed by the Call of the Mega Ship)

  • 송용석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53-359
    • /
    • 2009
  • 국내 컨테이너 터미널의 대부분 컨테이너 처리량에 비해 장치장 규모가 협소한 편이다. 장치장이 협소한 이유는 터미널 개발 시 적용된 이론적인 안벽 처리능력이 실제 처리능력과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 선박이 대형화 되면서 터미널들이 안벽장비를 추가 투입함으로써 안벽 생산성을 당초보다 크게 향상시킨 현실에 기인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터미널 운영 현실을 반영하여 하역 능력을 재산정하고 10,000TEU에 이르는 초대형 선박을 대상으로 하여 소요 장치장 규모를 산정 한 후 기존 터미널의 장치장 규모와 경제성을 비교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컨테이너터미널 효율성 평가를 위한 AHP/DEA 통합모형 (An AHP/DEA Hybrid Model for Efficiency Evaluation of Container Terminal)

  • 김선구;최용석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79-194
    • /
    • 2012
  • 본 연구는 컨테이너터미널의 서비스 투입자원 중 장비를 중점으로 컨테이너터미널의 효율성 비교 평가하기 위해 DEA와 AHP 기법을 혼합한 AHP/DEA 통합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은 광양항(GICT, KEC, KIT), 부산항(HBCT, KBCT, DPCT, UTC, 감만부두) 그리고 부산신항(PNC, PNIT, HJNC, HPNT)의 12개 운영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제안된 AHP/DEA 통합모형은 DEA 모형의 가중치간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잘못 평가된 DMU 발생가능성과 효율적인 DMU간의 우열에 대한 변별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DEA-AR(Assurance Region)모형을 적용하였고, DEA-AR모형의 가중치 범위를 산출하기 위해 전문가의 의견을 객관적인 가중치로 변환할 수 있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연구모형의 투입변수는 C/C 수, TC 수, YT 수, RS 수로 하였고 산출변수는 컨테이너 물동량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AHP/DEA 통합모형은 기존의 항만 및 컨테이너터미널의 효율성 평가에 사용되었던 DEA, 또는 DEA 응용모형에 비해 최고의 효율성을 가지는 컨테이너터미널을 선정에 있어 유연하고, 우수한 능력이 있음을 분석결과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분석결과를 보면 하역장비 효율성이 100%로 달성한 터미널은 DPCT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부산항 터미널들의 장비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가하역차량(ALV:Automated Lifting Vehicle)의 주행구동장치 시험 (The Test of Gantry Travel Mechanism of ALV(Automated Lifting Vehicle))

  • 김우선;김승남;정한욱;고일곤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제1권)
    • /
    • pp.317-323
    • /
    • 2006
  • 본 시험의 목적은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기술개발 추진 중인 컨테이너 자기하역차량(ALV:Automated Lifting Vehicle)의 핵심 기술개발 요소 중 하나인 주행구동장치 (Gantry Travel Mechanism) 시제품을 제작하여, 무부하 및 부하 조건에서 각종 Test와 한계하중 실험 과정을 통하여 설게 Data의 확인과 상세 제작도면의 오류를 사전에 발견하여 최종 제작도면에 수정 반영함으로써 보다 완벽한 장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컨테이너의 낙하높이에 따른 LMTT 용 Shuttle Car 의 충격흡수기 설계 (Design of the Impact Absorber used for a Shuttle Car for LMTT with respect to the Drop Height of a Container)

  • 한동섭;한근조;심재준;김태형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479-1482
    • /
    • 2004
  • LMTT (Linear Motor-based Transfer Technology) is horizontal transfer system in the maritime container terminal for the port automation. The system is driven by PMLSM (Permanent Magnetic Linear Synchronous Motor) that is consists of stator modules on the rail and shuttle car.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drop height of container on impact reaction force of the Impact Absorber (IA) in shuttle car for LMTT.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are obtained from detailed finite element analysis for various parameters, such as the spring coefficient, the drop height of container.

  • PDF

부산항 하역장비에서 발생하는 고장형태와 예방대책 (Trouble type and preventive countermeasure of loading facilities in Busan harbor)

  • 한근조;전영환;심재준;한동섭;김병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89-196
    • /
    • 2002
  • As the quantity of transported goods increases, there is a lot of mechanical trouble with loading facilities. So it tremendously produces not only economic loss but also time loss. To reduce the loss from the trouble of leading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analyse the distribution of the problem's occurrence and use the analyzed data to minimize the outbreak of trouble. So the data can be usefully used when designing or manufacturing and it also can be utilized for proper maintenance of operating equipment, frequency of inspection and repair, know-how of checking on equipment and purchasing of spare parts.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if the propel maintenance is adapted

  • PDF

미세먼지와 항만, 4차산업시대의 대응전략 (PM and Port, Counter Strategy in the Era of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 이중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4-166
    • /
    • 2018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수송수단과 산업시설에서의 배출로 인한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항만과 공항에서도 대기오염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고 지역별 대기오염물질 배출 및 대기오염도 현황을 분석하여 각 시설에서의 종합관리방안을 도출하고 있다. 2020년부터 시행되는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즉, 황성분을 포함한 연소배기가스 중 CO2, SOX,NOX, PM2.5의 배출규제에의 대응과 배출규제해역(ECA)제도 도입에 따른 업계와 정부, 학회의 대비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부산항에서도 항내계류선박과 하역장비에서의 오염물질 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대체전력공급(AMP, Cold Ironing)에 대해 대응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주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PM2.5)의 심각성과 배출가스의 저감을 위한 방안을 소개하고 오히려 이를 해운항만에서의 4차산업 발전의 계기로 대응하도록 하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화 과정에서 필연적인 대기오염을 저감시키는 방안이 새로운 해양산업으로 전환하기를 기대한다.

  • PDF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무인 자가 운반 하역차량의 동적 라우팅 방안

  • 황진근;김정민;류광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3-85
    • /
    • 2013
  • 무인 자가 운반 차량은 컨테이너 터미널 내 선박과 장치장 사이를 오가며 컨테이너를 운반하는 무인 장비로 컨테이너를 집고 내리는 하역 능력을 갖고 있다. 터미널에서 컨테이너의 처리량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 운송 시간을 최소화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차량의 효율적인 주행 경로 설정이 필요하다. 최적의 주행경로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A*, ant colony optimization과 같은 탐색알고리즘을 이용해서 주행경로를 찾는 방안이 연구된바 있다. 하지만 교통 상황에 따라 최적의 주행 경로는 바뀌게 되는데 기존의 연구에서는 결정된 주행 경로에 대한 수정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행 중인 차량이 다른 차량의 간섭에 의하여 대기하는 경우 대기 시간을 이용하여 새로운 주행 경로를 탐색 하여 현재 교통 상황에 맞는 최적의 경로를 찾는 방안을 제안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기존 방안보다 더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 PDF

항만 통합 관리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for Port Integral Management Simulator)

  • 이양민;한희도;이재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A)
    • /
    • pp.700-702
    • /
    • 2005
  • 무역을 경제의 중심으로 이용하는 여러 선진국에서는 자국의 항만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정보통신기술을 물류 처리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화물 처리의 최적화 방안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주로 사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항만 화물 처리과정에서 고려될 수 있는 다양한 인자에 대해 하역단계를 5단계로 나누고 분할하여 각각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항만 통합 관리 시뮬레이터 개발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시뮬레이터를 최대한 정교하게 구현하기 위해 항만의 하역 장비에 대한 3D 모델링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항만내에서의 화물 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최적 인자 및 결과 도출이 가능하고, 부가적으로 시뮬레이션 과정을 가상 항만을 통하여 현실감 있게 관측할 수 있다.

  • PDF

회색관계분석 및 엔트로피법을 이용한 항만하역근로자의 재해위험성 평가 (An Evaluation of Accidents Risk for Cargo Handling Workers in Korean Ports Using the Grey Relational Analysis & Entropy Method)

  • 장운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91-297
    • /
    • 2020
  • 최근 항만하역근로자의 인명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사고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 연구는 GRA법과 Entropy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항만에 대해 하역근로자의 재해 위험성을 평가하고 위험성이 높은 항만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우리나라 항만을 11개의 대상항만으로 구분하고, 브레인스토밍법으로 항만하역근로자 재해 위험성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을 추출한다. 두번째는 GRA법을 이용하여 대상항만의 회색관계계수를 산정한다. 마지막으로 엔트로피법을 이용하여 산출한 평가항목의 중요도와 GRA법의 회색관계계수를 결합하여 회색관계등급을 산정하여 재해 위험성의 우선순위를 결정한다. 따라서 제안된 모델에서는 항만하역근로자수, 50세 이상 항운노조원수, 총근로시간, 하역장비수, 철재화물량, 총화물량, 사상자수, 사망자수 등 8개의 평가 항목을 추출되었다. 그 결과 부산항의 재해 위험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우선적으로 재해위험성을 경감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