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수환경

Search Result 1,608,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음식물지꺼기 고온산발효산물과 하수슬러지의 혼합처리

  • Jang, Seong-Ho;An, Cheol-U;Park, Jin-Sik;Mun, Chu-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351-35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산발효산물과 하수슬러지의 혼합소화를 위한 적정 혼합비를 도출을 위하여 음식물찌꺼기 고온 산발효산물과 하수슬러지의 생분해 특성과 적정혼합비를 도출하고자 수행한 결과 음식물찌꺼기 고온 산발효액과 하수슬러지를 혼합비별로 회분식 혼합소화 실험을 실시 한 결과 혼합비 1:1에서 385ml CH$_4$/g VS$_{added}$로 가장 높은 메탄발생량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식물찌꺼기와 하수슬러지를 1:1로 동일하게 혼합하여 비교 소화실험을 실시했을 때 의 293m1 CH$_4$/g VS$_{added}$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메 탄발생량을 나타내었다.

  • PDF

방사선조사에 의한 하수슬러지의 탄소원 회수 가능성 연구

  • Kim, Tae-Hun;Kim, Tak-Hyeon;Lee, Jae-Gwang;Yu, Seung-Ho;Lee, Mye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363-369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하수슬러지로부터 외부탄소원을 회수하여 하수의 질소 및 인 처리를 위한 최적의 pH선정과 감마선 조사의 적용가능성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연구 결과, 외부탄소원의 회수 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index인 SCOD의 값은 비조사된 하수슬러지에서는 pH13에서 SCOD 간이 6590mg/L이고, 가용화율 SCOD/TCOD값은 57.8%로 최대의 탄소원을 회수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동일 pH에서는 경우에는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SCOD/TCOD값이 증가하였다. 알칼리 가수분해가 산처리 보다는 슬러지 탄소원을 회수할 수 있는 더 적정한 처리방법이고, 알칼리의 전처리에 감마선 조사한 하수슬러지의 탄소원 회수율은 pH 13, 조사선량 20kGy에서 SCOB/TCOD 최대의 값인 59% 분석되었다.

  • PDF

Evaluation of Numerical Experiment of Pollution Dispersion on the Sewer Crack Occurrence (하수관거 균열발생에 따른 오염확산의 수치실험 평가)

  • Park, Jaesung;Bae, Wooseok;Lee, Hoji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9 no.3
    • /
    • pp.5-9
    • /
    • 2008
  • Because sewer is embedded in land, the pollutant permeating to underground so fast can cause contamination of soil when crack of sewer occurs. In this study, numerical modelling on dispersion of pollutant at sewer crack was performed. Based upon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It was shown that transfer direction of pollutant was similar to the flow with topography slope of surface. It was exposed that the pollutant permeated to 8~10m depth. It is expected to offer efficiency in sewer management in the future through this research.

  • PDF

Design of sewage facility monitoring system using IoT technology in mobile device environment (모바일 디바이스 환경에서 IoT 기술을 활용한 하수시설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

  • Kwon, Young-Woo;Jeon, Young-joon;Jang, Si-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86-88
    • /
    • 2018
  • 스마트시티 개념의 등장과 함께 국민의 삶의 질에 대한 정부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은 하수도와 같은 도시기반시설이며, 정부에서는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관리 하여 주거환경 개선, 공중위생관리, 침수방지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하수시설의 노후화 와 서비스 범위의 변화에 따른 하수 서비스 품질에 대해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급격한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 침수와 같은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재난 관리 측면에서도 하수도는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IoT 기술을 활용하여 하수시설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제시하고 있는 시스템은 하수시설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 PDF

Development on the Process for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i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 (기존활성슬러지법으로 운전중인 하수처리장의 탈질$\cdot$탈인 공정 상용화)

  • 김대명;양익배;김수복;변병결;김영규;권기석;장덕진;장성환;임영택;홍성민;홍민
    • Environmental engineer
    • /
    • v.18 s.188
    • /
    • pp.70-75
    • /
    • 2002
  • 1999년부터 2001년까지 2년동안 G-7 환경공학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CNR공법을 이용한 하수처리장의 탈질$\cdot$탈인을 위한 상용화기술개발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CNR공법은 우리나라의 일반적인 하수성상에서 6시간의 체류시간에서도 운전관리가 원활하면 동절기와 유기물 부하변동에도 질소를 10mg/l, 인을 1mg/l로 제거 할 수 있는 공법이다. CNR공법은 현재 하수처리장의 활성슬러지조내의 용적과 체류시간을 그

  • PDF

Selection of Optimum Pebbles Size in Sewage Treatment Plant by Natural Purification Method (자연정화공법에 의한 하수처리장에서 최적 여재 선정)

  • Seo, Dong-Cheol;Cho, Ju-Sik;Park, Hyun-Geoun;Kim, Hyoung-Kab;Heo, Jong-Soo;Lee, Hong-Ja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22 no.1
    • /
    • pp.26-35
    • /
    • 2003
  •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pebble size on the small-scale sewage treatment apparatus by natural purification method that consisted of aerobic and anaerobic plot. pH and EC in both plots varied minimally regardless of pebble size. DO in aerobic plot increased as the pebble size decreased. That in the anaerobic plot was slightly less in comparison with that of the aerobic plot but varied minimally, $2.4{\sim}5.1\;mg/L$ regardless of pebble size. Under all experimental conditions, removals of BOD, COD and turbidity in anaerobic plot were more than 98, 91 and 98, 98% respectively. Removals of T-N and T-P increased as pebble size decreased. Under all experimental conditions, removals of T-N and T-P in anaerobic plot were about $45{\sim}59$ and $480{\sim}96%$, respectively. Judging from the above result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optimum pebble size and pebble permeability in both plot was $2{\sim}4$ and $0.1{\sim}4\;mm$, respectively.

방사선을 이용한 하수슬러지 퇴비품질 향상

  • Lee, Jae-Gwang;Kim, Tak-Hyeon;Kim, Tae-Hun;Yu, Seung-Ho;Nam, Yun-Gu;Lee, Myeon-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330-332
    • /
    • 2006
  • 방사선의 조사 유무에 따른 배추와 상추의 발아지수를 평가함으로써 60일 간의 퇴비화 공정에서의 퇴비 품질과 독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또한 온도, 휘발성 유기화합물, 퇴비 숙성도 등을 평가함으로써 방사선 조사의 퇴비화 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사선의 높은 에너지는 하수슬러지 내 미생물을 사멸하고 독성유기물을 분해하여 하수슬러지 퇴비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확인했다.

  • PDF

The Feasibility of Co-Incineration for Municipal Solid Waste and Sewage Sludge through the Change of Heat Loading and Atmospheric Pollutants Loading (하수슬러지와 생활폐기물 혼합소각시 열부하 변화 및 대기오염물질 부하 변화를 통한 혼합소각 가능성에 관한 연구)

  • Cho, Jae-Beom;Kim, Woo-Gu;Yeon, Kyeong-Ho;Shin, Jung-H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4 no.9
    • /
    • pp.583-589
    • /
    • 2012
  • The various promotion countermeasures such as solidification, carbonization, and the creation of cement materials have been considered to existing treatment methods such as incineration and the creation of composts, since direct landfill was prohibited for encouraging the recycling based on the sludge treatment on land.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co-incineration for MSW (Municipal Solid Waste) and SS (Sewage Sludge) through the change of heat and atmospheric pollutants. In this study, LHV (Low Heating Value) is 100~300 kcal/kg because the MC (Moisture Content) of de-hydrated sewage sludge is approximately 80%. From the results, we knew the feasibility of co-incineration for MSW (80%) and SS (20%). As the co-incineration rate of SS up to 20% became higher, the loading of heat and atmospheric pollutants was not influenced.

Introduction of Wastewater Reuse Project in Jeju Island (제주 하수처리장 재이용사업 소개(판포))

  • Lee, Kwang-Ya;Kim, Hae-Do;Joo, Jin-Hun;Kim, Young-Jin;Kang, Su-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69-469
    • /
    • 2012
  • 제주 지역은 대부분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으며, 제주 서부지역의 경우, 지하수의 과다한 취수로 인해 지하수 하강은 물론 해수침투현상도 나타나고 있다.(제주미디어 2009.10) 제주지역의 지하수 적정 개발량은 약 97%에 이르고 있어 국지적으로는 지하수 개발이 한계에 이른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농촌용수 공급을 위한 사업이 필요하며, 농업 환경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농촌지역의 도시화에 따라 하수처리장의 농촌지역에도 늘어가고 있으며 이제는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이 구분되지 않고 혼합되어 있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과거의 농업활동도 변화되고 있으며, 하천에서 취수하는 용수중에서 농업용수로의 사용이 부적합한 용수가 취수되고 있다. 따라서 하수처리수의 농업용수 재이용시스템과 같이 수처리를 이용한 농업용수의 공급방안이 확대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에서는 (주)필로스, (주)블루인바이로먼트엔텍과 함께 글로벌탑 환경기술개발사업의 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고내구성 고기능성의 복합막 기능이 부여된 UF/NF 분리막 소재 및 모듈을 개발하고 전기분해/오존조합에 의한 에너지 절약형 재이용수 공정기술을 개발하여, 판포하수처리장을 Test-bed로 선정하여 개발 기술을 적용하고자 한다. 제주도 한경면 판포리에 위치한 판포하수처리장은 하수재이용 사업을 통해 수처리 및 용수 공급 관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개발한 재이용수를 현지에서 공급 활용할 수 있어, 연구개발에 국한되지 않고 실증 플랜트에서 용수 사용자까지 연결이 가능하여 최적의 입지 연건을 가지고 있다. 개발될 시스템은, 유입조, ECR 반응조, AOPs, 나노버블을 이용한 막세정 시스템, UF/NF 시스템으로 공정이 설계되며, 제염처리는 물론 제주지역의 농업용수로써 안정적인 용수를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개발을 통한 최종 목표는 하수처리장의 방류수 고도처리를 통해 도시, 농촌지역에 필요한 고품질 맞춤형 재이용수로 공급하고, 국내 외 하수 재이용시장으로 진출하는데 있다.

  • PDF

Improvement of the Biological Process against Advanced Water Quality Standard in Winter Season (동절기 수질기준 강화에 대비한 생물학적 공정의 개선 방안)

  • Han, Man-Shin;Choi, Gye-Woon;Lee, Jin-Young;Lee, Mi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78-478
    • /
    • 2012
  • 국내의 하수도 보급률은 90%에 달하고 있으며, 하수의 고도처리와 처리기술이 향상된 신기술개발 등으로 수질개선 효과가 크게 개선되어 있고, 전국 각지에 활발하게 하수처리장의 건설이 추진 중에 있지만, 다양한 오염원의 증가와 함께 환경기준은 점차적으로 강화되고 있어 기존 하수처리장은 강화되고 있는 환경기준을 만족시키기 어려운 실정으로 새로운 처리법의 도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시설이 노후화된 하수종말처리장의 경우에는 경제적인 부담감을 이유로 기존 공법 개선을 통한 수질기준을 만족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방류수 수질 중에서 총질소(T-N)와 총인(T-P)의 기준을 평상시와 겨울철(12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로 구분하여 적용하여 왔지만, 2012년부터는 이를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 겨울철 생물학적 처리 공정에서의 효율저하로 인한 기준치 만족이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의 하수처리장을 대상으로 동절기 수온의 저하에 따른 생물학적 공정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운전조건을 변경하여 수질개선 증대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생물학적 공정인 MLE공법으로 동절기 외부 온도의 영향을 받는 조건을 갖는 사업소를 대상으로 실내 실험장치를 구성하여 조건을 변화하면서 개선 효과를 검토하였다. 생물반응조의 공정위치 변화, 미생물농도 그리고 체류시간변화 등의 실험조건으로 하수 처리 효율을 분석하였으며, 운전 중 외부반송 유량, 내부반송 유량 등의 운전인자는 일정하게 유지하였고, 동절기 온도인 $10^{\circ}C$로 유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대상 하수처리장의 생물학적 공정의 개선방향은 공정 배열을 변화하였을 때, 현재의 공정 배열 조건인 무산소조 1개, 호기조 4개의 공정보다 호기조 1개, 무산소조 1개, 호기조 3개로 수정하는 경우 현재 공정보다 질소는 7%, 유기물은 9.2% 처리효율이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미생물 농도 변화를 주어 수질 개선 효과를 검토한 결과 하수처리장 설계농도인 3,500ppm의 경우보다 미생물 농도를 5,970ppm으로 증가시킨 경우 17.4% 처리효율의 개선효과를 보여 질소 제거를 위해 미생물의 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체류시간(HRT)을 변화한 경우에는 현재 체류시간(HRT)인 8시간 보다 10시간으로 증가시켰을 경우 유기물은 3.2%, 질소는 2.6%의 처리효율이 개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