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반신 체형분석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초

노년기 남성의 하반신 체형 분석 및 하의류 치수 체계 연구 (Analysis of Lower-body and Development of Suit-pants Size System for the Elderly Males)

  • 임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68-777
    • /
    • 2019
  • This study established a lower garment sizing system for elderly men over 65 years of age based on 535 males selected from the 5th Korean Anthropometric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Most elderly men body measurements were smaller for adult males (except for the waist area); however, abdominal obesity has changed to body type. The standard deviation was applied around the average values of wai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for the suggestion of a lower garment sizing system for elderly men. The interval between the designation was ${\pm}2.5cm$ with an average waist circumference of 86 cm and ${\pm}2cm$ with an average hip circumference of 92 cm. A total of 13 designation sections wer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cover ratio and cover efficiency. The cover ratio in the 13 nominal sections was 77.2%. The segmental distribution rate presented in the results will also be useful for production planning in specific sizes and enable rational production.

복부비만 노년 여성의 의복패턴설계를 위한 체형연구 (An Analysis of Body Shapes in Aged Abdominal Obese Women for Apparel Pattern Design)

  • 김수아;최혜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690-1696
    • /
    • 2006
  • 본 연구는 복부가 비만한 노년 여성의 의복의 패턴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이들의 체형특성을 분석하고 일반 노년 여성과의 상반신 및 하반신 체형특성의 차이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60세 이상 서울 및 서울 근교에 거주하는 노년 여성 318명-복부비만 251명, 일반인 67명-이며 직접측정을 실시하였다. 복부비만의 기준은 허리엉덩이둘레비(WHR)가 0.85 이상인 피험자로 하였다. 높이항목, 두께항목, 너비항목, 길이항목 및 몸무게로 구성된 총 33개 측정치 및 측정치를 토대로 한 계산치 및 지수치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T검정을 실시함으로써 이들의 복부돌출요인에 따라 의복구성에 고려해야 할 체형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일반 노년 여성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복부비만 노인은 일반 노인보다 높이항목과 어깨너비 등 어깨관련항목을 제외한 두께, 둘레, 길이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로러지수와 버벡지수, 체간부의 편평률에서도 유의차를 보여 전체적 인 비만도가 높으며 체간부 형태가 원통형을 나타낸다. 또한 복부비만 노년 여성의 경우 상관관계 분석결과 엉덩이둘레보다 배둘레나 엉덩이외포둘레가 패턴 설계에 필요한 주요 항목들과 더 높은 선형적 상관성을 보이므로 패턴의 기준항목 설정시 이를 고려하여 제작하여야 할 것이다.

슬랙스 제작을 위한 20대 여성의 하반신 형태에 대한 인식도 및 체형 분석 연구 (The Recognition and the Somatotype Analysis Study of the Women in 20s' Lower Part of the Body for Stacks Pattern)

  • 이영주;박옥련;이정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368-382
    • /
    • 1997
  • Through the recogni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lower part of the women body in 20s' we studied 202 respondents of the women in 20s' to analyze what lower part shape they want. And also through the measurment, we tried to analyze their wa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women in 20s' think ideal body shapes are highstature, long legs, slander waist, hip, abdomen, thigh, ankle, and light weight. And so it needs to be studied to make slacks pattern which show slander girth and long length. 2. At the result of the body measurments the laterallargeness related with width, girth and depth items of the first factor rated 33.1 oyo in the variousfactors, and vertical largeness related with highness of the second fact rated 18.3% the first and the second factors affect importantly in the lower part of women body in 20s'. 3. At the result of the group analysis, the type divided five kinds, according to the body measurments, the type of 1, 3, 4, are normal, the type of 2 is weak, the type of 5 is fat. The type of 1 shows the largest distribution of all held 108, the flank is standard somatotype. The type of 2 is the second largest distribution held 59, the flank is forwardsomatotype. The type of 3 is the smallest of all types in the lateral largeness, the flankis turning over somatotype. The type of 4 is large both in the lateral largenessand in the vertical largeness, the flank is forward somatotype. The type of 5 is the fat type. The lateral type is the largest, the flank is forward turning over somatotype. The type of 5 showed the smallest distribution.

  • PDF

여중생의 신체 인식에 따른 착의 의복형태에 관한 연구 (Actual Clothing Style of Middle school girls According to Self-perception of Their Body Size)

  • 박우미;위은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3-125
    • /
    • 2006
  • 본 연구는 여중생의 신체부위 크기인식이 실제 착의 의복형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신체크기 인식과 신체만족도, 희망 착의의복형태, 실제착의 의복형태를 고찰하였으며, 수척/비만정도에 의해 집단을 분류하여 집단간착의 의복형태의 차이도 고찰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광주 소재의 중학교에 재학 중인 여중학생 219 명이었으며 설문지를 이용하여 결과를 얻었다. 결과분석은 Window SPSS 10.0 패키지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여중생들은 상반신보다 아랫배돌출, 엉덩이, 다리굵기, 체중 등의 하반신을, 그리고 몸통보다는 사지부를 굵게 인식하였으며 굵게 인식하는 신체부위에 대해서 만족하지 못하였다. 2. 여중생들은 착의하기를 희망하는 의복형태를 실제로 착의하였다. 실제로 착용하거나 착용을 희망하는 상의의 의복형태는 피부가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밀착여부에 관계없는 형태였으며, 하의의 의복형태는 밀착되거나 피부가 노출되지 않는 여유가 많은 긴 슬랙스형태였다. 3. 여중생들은 신체크기를 인식하여 의복형태를 결정하는 정도가 낮았다. 그러나 여중생들은 신체부위의 피부노출이나 밀착에 의한 실루엣 노출이 큰 의복형태를 둘레와 너비를 굵거나 크게 인식할수록 착용하지 알았으며 길이를 길게 인식할 수록 더 착용하였다. 4. 비만집단에 속하는 여중생들은 피부가 직접 노출되거나 밀착되어 실루엣이 노출되는 상의와 하의를 수척집단보다 덜 착용하였다. 그러나 여중생들은 수척/비만 분류와 관계없이 피부와 실루엣을 은폐하는 의복형태는 모두 착용하였다. 그리고 여중생들은 목, 어깨부위를 노출하는 의복을 착용하는 경우 자신이 인지하는 체형보다 객관적인 실체체형을 고려하였으며 반면, 팔의 피부노출과 다리의 밀착에 의한 실루엣 노출은 실제체형보다 자신이 인지하는 체형을 고려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