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 Title/Summary/Keyword: 하도안정

Search Result 18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Characteristic of Fish Fauna and Distribution by Habitat Type in the Yanghwa Stream of the Namhan River Basins (남한강 수계 양화천의 서식처 유형별 어류상 및 분포특성)

  • Lee, Seung-Hyun;Lee, Hwang-Goo;Shin, Hyun-Seon;Choi, Jun-Ki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6 no.6
    • /
    • pp.884-891
    • /
    • 2012
  • The characteristic of fish fauna and distribution by habitat type in the Yanghwa stream were investigated from August, 2008 to June, 2009. During the surveyed period, 30 species belonging 8 families were collected. And there were 10 Korea endemic species(33.3%), including Rhodeus uyekii et and so on. Dominant species was Rhodeus notatus, and subdominant species was Pseudorasbora parva. Dominant species according to habitat type was Pseudorasbora parva in Dam type pool and Channel conected pool, Pseudogobio esocinus(Run), Zacco platypus(Riffle), Rhodeus notatus(Side channel and Substrate type pool), Squalidus gracilis majimae(Meander type pool), and Carassius auratus(Channel unconnected pool), respectively. As a results of community analysis in the Yanghwa Stream, diversity, richness, and abundance indices showed relatively high values, indicating that studied stream have relatively stable community structure. Moreover, cluster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divided by two groups(lotic and lentic habitats), suggest that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different among habitat types.

Estimation of Soil Loss into Sap-Gyo Reservoir Watershed using GIS and RUSLE (GIS와 RUSLE 기법을 이용한 삽교호유역의 토사 유실량 산정)

  • Kim, Man-Sik;Jung, Seung-Kwo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3 no.4
    • /
    • pp.19-27
    • /
    • 2002
  • Prediction of exact soil loss yield has as important engineering meaning as prediction of exact flow measurement in a stream. The quantity of soil loss in a stream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an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and water quality such as design and maintenace of hydraulic structures : dams, weirs and seawalls, channel improvement, channel stabilization, flood control, design and operation of reservoirs and design of harbors. In this study, the soil loss of Sap-gyo reservoir watershed is simulated and estimated by RUSLE model which is generally used in the estimation of soil loss. The parameters of RUSLE model are selected and estimated using slope map, landuse map and soil map by GIS. These parameters are applied to RUSLE's estimating program. And soil loss under probability rainfall in different frequencies are estimated by recent 30 years of rainfall data of Sap-gyo reservoir watershed.

  • PDF

Analysis on the Runoff of Urban Watershed using MIKE SWMM Model (MIKE SWMM모형을 이용한 도시유역 유출분석에 관한 연구)

  • Kim Jong Seok;Choe Gyeong Rok;Ahn Jae Hyun;Mo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62-866
    • /
    • 2005
  • For urban watershed models, the ILLUDAS and SWMM are the popular rainfall-runoff models used in Korea. However, combined sewage systems in urban areas produced problems when a flood occured because of the surcharged precipitation amount which drained to the streams directly. Also, the lack of pipe line data and the difficulties of modeling yield inappropriate modeling results in urban runoff analysis. In addition, rainfall-runoff models in urban areas which use channel routing could have inaccurate and complicated processes. In this paper, the MIKE SWMM model has been applied for the stable runoff analysis of urban areas. Watershed and pipe line data were established by using past inundated records, DEM data, and the numerical pipe line data. For runoff modelings, the runoff block was adapted to a basin and the Extran block using dynamic equations was applied to the sewage system. After comparing to models that exist, it is concluded that the MIKE SWMM model produces reliable and consistence results without distorting the Parameters of the model.

  • PDF

Continuous Rainfall-Runpff Simulation Analysis of Jeongjacheon watershed using GIS-based HEC-HMS Model (GIS 기반의 HEC-HMS를 이용한 정자천 유역의 연속 강우.유출 분석)

  • Kim, Yong-Kuk;Noh, Jae-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97-1001
    • /
    • 2009
  • GIS 기반의 HEC-HMS를 이용하여 유량자료가 있는 소하천인 정자천 유역을 대상으로 장기 강우 유출 분석을 하였다. 일반적으로 홍수량 산정은 단기해석으로 분석하나 평 갈수기와 홍수기 때의 하천 유황이 다르기 때문에 매개변수가 불일치할 것이라 생각되고, 이에 대한 보정이 필요한지 판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장기 연속모의를 통하여 매개변수의 보정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는 수치지도를 조합하여 ARC-VIEW로부터 Map파일 및 Basin파일을 생성하였고, 토지이용도와 토양도를 ARC-VIEW를 이용하여 CN value를 추출하였다. 계산조건중 손실량 산정방법은 SCS Curve Number법으로 하였고, 단위도 방법은 Clark UH법, 하도추적방법은 Muskingum방법, 기저유량산정방법은 Constant monthly로 설정하였다. 유역면적, 도달시간자료, 저류상수 값 등의 추출은 GIS기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HEC-HMS의 장기 연속모의(Continuous Simulation)로 얻어진 Element Graph를 보면 대략적인 형태가 일치하나 2006년도에 대한 모의에서는 홍수기의 결과만 일치하는 것으로 보이고, 2007년도에 대한 모의에서는 평 갈수기와 홍수기의 그래프 형태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실측 유량보다 유량 값이 약간 크게 산출되어 홍수량 산정에서 볼 때 안정성에 무리가 없다고 판단되지만, 평 갈수기 기간에서 볼 때 연마다 하천의 매개변수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생각되며, 홍수 후 유역의 변화로 매개변수가 변화한 것이라 생각된다. 향후 정자천유역의 보다 많은 강우사상과 실측유량을 통해 HEC-HMS의 유출량을 비교 분석하면 보다 더 정확한 해석이 가능할 것이며, 홍수가 빈번한 지역의 경우 유수지의 검토와 저수지의 시간당 방류량을 알 수 있다면 오차의 범위를 줄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더 나아가 우리나라에 적합한 매개변수와 GIS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보다 쉽고 정확한 해석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 PDF

Application of GSTARS and HEC6 for Long-term Prediction of Bed Change in Hyungsan River (형산강의 장기하상변동예측을 위한 GSTARS와 HEC6의 적용)

  • Ahn, Jung-Min;Lyu, Si-Wan;Lee, Nam-Joo;Yeo, Hong-G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58-962
    • /
    • 2008
  • 하천유황, 하상재료, 하도지형의 자연적 또는 인위적 변화에 의한 장 단기적 하상변동의 해석 및 예측은 하천계획 및 관리를 위해 필수적이다. 특히, 제방 축조 등의 인위적 정비로 충적층 발달이 미약한 우리나라 하천은 상대적으로 종단형의 변화가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하천의 이수, 치수 및 환경기능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장기적인 하상변동 예측을 국가하천 형산강에 대해여 HEC6 모형과 GSTARS 모형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62007년 동안 형산강에서 직접 실측한 유량-유사량, 하상토, 하천측량자료를 GSTARS와 HEC6 모형에 적용하여 장기 하상변동을 모의하고 그 결과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위표 지점인 형산교(모아), 강동대교(안강), 국당2교(부조), 신형산교(대송)를 내부경계조건으로, HEC-RAS를 통하여 조도계수 값을 보정하였으며 유량 값은 유황곡선을 통하여 연간유입량을 각 날짜별로 구성하였다. 모형의 검증은 Laursen (1963), Laursen (Modified by Maddden, 1985), Laursen (Modified by Copeland, 1990), Yang (1973) 공식을 이용하여 최심하상고 변화량 제곱근 오차가 가장 작은 공식을 선정하였다. 2006년 형산강에서 실측된 하천측량자료를 이용하여 14년간 장기하상을 모의해 본 결과 형산강 유역에서는 Laursen (Modified by Copeland, 1990, HEC6)와 Laursen (1958, GSTARS)공식이 가장 작은 오차를 나타내었으며 HEC6와 GSTARS는 하상변동의 경향을 잘 나타내었다. 형산강의 전반적인 하상변동 경향은 상류지역은 전반적으로 하상이 저하하였고 하류지역은 하상이 상승하였다. 또한 하류부는 하상이 안정화를 이루고 있어 변화가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검증 기간 동안의 골재채취와 보의 설치 등의 외부 여건과 신뢰성 있는 유입유량을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보다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유량-유사량의 관측과 자료의 보완 및 정밀 조사 분석이 필요하다.

  • PDF

Study for Evaluation of Discharge and Sediment Considering of Characterastics of River Basin (하천 유역 특성을 고려한 유량 및 유사량 산정에 관한 연구)

  • Shin, Han-Man;Choi, Gye-Woon;Kim, Gwang-Nam;Jung, Jae-Kw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47-347
    • /
    • 2011
  • 하천에서의 유사량의 추정은 하천유사 해결을 위한 자료획득이 기본이고, 하천내의 수리구조물의 설계 및 유지관리, 하천개수 및 하도의 안정, 홍수터 관리, 저수지의 설계 및 운영 등 하천계획에 필요한 기본적 요소 중 하나이다. 유사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Einstein(1950) 공식이나 Toffaleti(1968) 공식 등과 같은 하천 유사량 공식을 이용한 간접적인 계산방법과 현장 실측을 통한 직접적인 방법이 있다. 그러나 유사량 공식을 이용한 추정은 아직도 그 신뢰성이 떨어지며, 대부분의 기존 유사량 공식들이 하상토 유사량을 위주로 추정하여, 소류사가 지배적인 경우에는 이런 공식들을 이용하여도 어느 정도 신뢰성이 확보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부유사가 지배적인 하천의 경우 정확도가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장실측에 의한 방법이며, 유사량 공식은 부득이한 경우에만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측 유사량 산정을 위하여 하천 규모에 따라 구분하였으며, 국가하천인 경우 임진강을 대상으로 민간인 출입이 가능한 구간(L = 84.5km), 중소규모하천인 경우 안성천 수계의 황구지천과 인천의 계양천을 대상으로 하였고, 임진강의 경우에는 부유사의 대부분이 이토나 점토로 구성되어 있고 중 상류에서 하상재료의 구성이 대체로 호박돌이나 암반으로 이루어진 부분이 많아 주로 모래로 이루어진 충적하천에서 이용되는 수정 Einstein(1955) 방법에 의한 총 유사랑 추정은 의미가 없기 때문에(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2) 본 조사에서는 임진강의 총유사량을 부유사양으로 간주하였으며 다른 유사량 공식을 이용한 부유사량과 비교를 통하여 공식을 제안하였다. 유사량 측정은 하천별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평수기와 홍수기로 구분하여 측정하였으며, 수리량과 하상토자료를 이용하여 종유사량을 산정하는 Einstein(1950) 공식, Rijn(1984) 공식, Toffaleti(1968) 공식, Shen & Hung(1971) 공식, Yang(1973) 공식, Yang(1979)공식, Ackers & White(1973) 공식, Engelud & Hansen(1967) 공식, Ranga Raju(1981) 공식을 이용하여 결과 값을 비교하였다.

  • PDF

Preliminary field survey and analysis of ground water level and soil moisture in riparian vegetation zones (식생사주 역에서 지하수위와 토양수분의 현장 기초 조사.분석)

  • Woo, Hyo-Seop;Chung, Sang-Joon;Cho, Hyung-Jin;Lee, Ch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4-114
    • /
    • 2011
  • 196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 이전 우리나라 하천은 모래, 자갈 사주가 경관생태의 대부분을 이룬 이른바 'White River'이었으나, '70년대 이후 댐건설, 하천정비 등으로 유황과 유사이송 특성이 변하면서 수변에 식생이 번무하는 이른바 'Green River'가 진행 중이다. 하천에서 식생활착은 생태 측면에서 생물 종의 다양성에 일부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반면에, 고유종이 감소, 소멸하는 문제가 생긴다. 치수 측면에서는 흐름저항 증가와 하도의 고착화를 촉진시켜 치수 안정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주 상 식생활착 현상을 정량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연구의 시작으로서, 하천 식생사주역에서 식생활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소류력과 토양 수분 등 2대 물리 요소 중에서 후자에 초점을 맞추어 토양수분 요인과 식생 이입, 활착, 천이와의 관계를 규명한다. 이를 위해 모래하천인 낙동강 제1지류 내성천의 국가하천 구간 하류 지점인 회룡포 직상류 약 4km 지점을 시험하천 구간으로 선정하여 하천수위, 지하수위, 토양수분을 연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관측 시설을 가지고 1차적으로 2010년 8월부터 2011년 4월 초까지 지하수위와 하천수위, 토양수분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상호 관계를 분석하였다. 사주 상 식생 활착 특성도 주기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번 일차 기초 조사 및 분석 결과, 하안에서 약 140-240m에 위치한 지하수위 관측정에서 측정된 지하수위는 하천수위 변화에 비해 시간적으로 약 20시간 지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주 토양수분은 일반적으로 지하 깊이에 따라 커지나, 동시에 토층구조(soil texture)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 Discharge in 2010 (본 2010년 하천 유사량 특성 분석)

  • Go, Ju-Yeon;Lee, Yeon-Kil;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32-332
    • /
    • 2011
  • 하천 유사량 특성 분석은 하천유역 내의 수리구조물 설계 및 유지관리, 하천개수 및 하도의 안정, 홍수터 관리, 저수지 설계 및 운영 등 수자원 개발 및 관리를 위한 하천계획의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현장 측정에서 분석까지 정밀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알아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6개 지점(여주, 왜관, 진동, 공주, 나주, 구례2)에 대해 유사량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부유사량은 강우가 집중되는 홍수기(왕복수심적분법; D-74측정장비 / 표면채취법)를 중심으로 측정하였고 하상토의 경우는 Grab Sampler(60L), 선격자법 등을 이용하여 홍수기 전 후로 2회 채취하였다. 채취된 시료는 특성에 따라 여과법(부유사농도), BW관법(부유사입도분포), 체분석법(하상토입도분포)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정된 평균 부유사농도, Oden Curve와 입도분포곡선 및 수리량(수위, 유속, 측정수심, 수면폭, 수면경사, 수온)등의 자료를 이용하여 총유사량(Modified Einstein 방법)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량-부유사량 및 총유사량 관계: 유량-부유사량의 관계에 있어 대체적으로 일관된 경향성이 나타났으며 총유사량과의 관계 역시 부유사량과 비슷한 경향성을 보임. 일부 성과의 경우, 총유사량과의 관계에 있어 Modified Einstein 조건의 불충족(자갈하상재료 또는 저유속)으로 부유사량과 동일추정이거나 추정불가 및 이상치가 나타남. 2) 유량-부유사량 특성: 전체적으로 루프현상을 보이며 초기 강우 사상에서는 더 많은 유사량이 발생하는데 이는 초기 강우에 의해 유사 이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특성임. 또한 수위 상승-하강에 따른 부유사량 자료가 더욱더 확보된다면 수위 상승과 하강부로 구분하여 분석하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됨. 3) 유량-유사량관계식 개발: 개발된 관계식은 총유사량이 아닌 부유사량으로 개발되었으며, 측정성과들 간의 상관계수가 0.9723(구례2 지점) ~ 0.8490(나주 지점)으로 분석됨. 또한 개발된 관계식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적용 시에는 주의가 요구됨.

  • PDF

Analysis of Flow and Bed Change on Hydraulic Structure using CCHE2D : Focusing on Changnyong-Haman (CCHE2D를 이용한 수리구조물에 의한 흐름 및 하상변동 연구 -창녕함안보를 중심으로-)

  • Ahn, Jung Min;Lyu, Si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7
    • /
    • pp.707-717
    • /
    • 2013
  • Channel-bed of erosion and sedimentation, where eroded bed and bank materials re-deposit through the action of flow, is a natural phenomenon in alluvial systems. Analysis using a numerical model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ediment transport mechanism associated with erosion and sedimentation near weirs and other hydraulic structures within riverine systems. The local riverbed change near a hydraulic structure (Changnyong-Haman multi-function weir in Nakdong river) has been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hydraulic structure on local bed change. A 2D numerical model (CCHE-2D) has been implemented to simulate the sedimentation and erosion over a reach (10 km) including the weir. For the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of the model, the rainfall data from a real event (Typoon 'Maemi' in 2003) has been used for flow and stage simulation. And the simulated results show a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for whole domain. From the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weir can aggravate the local bed change caused from the flow field change and resulting redistribution of sediment.

A Study of Sediment Discharge and Bed Change Characteristics of the Local Rivers in Korea (국내 지방하천의 유사량과 하상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

  • Son, Hogeun;Lee, Jungsik;Shin, Shachul;Moon, Changgeo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5 no.6
    • /
    • pp.31-39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roper sediment transport equation and short and long-term bed change for planning and implementing the river management in Korea. To analyze total sediment discharge and short and long-term bed change, existing sediment transport equations, HEC-RAS 4.1 and CCHE2D numerical models were applied in urban and mountainous riv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ly, the modified Einstein equation showed the most appropriate result for the estimation of total sediment discharge in the local rivers. Secondly, The stage-discharge relation curve and the discharge-total sediment discharge relation curve were sugges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river bed change. Finally, it is founded that river bed change of mountainous river has occurred greater than that of the urban river, and the river bed of urban river now tends to be stabilized on the wh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