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도습지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Comparative Study of Fish Community in the Urban and Nature Stream by Habitat Type (도심하천과 자연하천의 서식처 유형별 어류군집 비교)

  • Kim, Seong-Won;Lee, Jin-Hui;Jang, Chang-Ryeol;Choe, J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Conference
    • /
    • 2011.04a
    • /
    • pp.98-103
    • /
    • 2011
  • 도심하천에서 채집된 어류는 총 7과 17종 315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자연하천에서 채집된 어류는 6과 21종 1,033 개체가 조사되었다. 도심하천에서 출현한 한국 고유종은 치리(Hemiculter eigenmanni)와 얼룩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 2종(11.8%)이었으며, 생태계교란야생동물에 속하는 종인 배스(Micropterus salmoides)가 폐쇄형 하도습지에서 출현하였다. 자연하천에서 출현한 한국고유종은 쉬리 (C. splendidus), 배가사리(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등 총 13종(61.9%)으로 고유종의 빈도가 높았고, 멸종위기 II급에 속하는 종인 묵납자루(A. signifer)와 가는돌고기(Pseudopungtungia tenuicorpa) 등 2종(9.5%)이 조사되었다. 두 하천의 군집분석을 비교한 결과 도심하천이 자연하천에 비해 우점도와 균등도 지수가 높게 나왔다. 이와 같은 결과는 도심하천과 자연하천이 같은 유형의 서식처이지만 도심하천의 경우 양안 수변대와 제방구축, 하천정비, 고수부지의 시멘트화 등의 원인과 오염원의 유입, 풍부한유기물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eam habitat creation technique (하도 내 생물서식처 조성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 Kim, Si-Nae;Lee, Dong-Jun;Ahn, H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17-121
    • /
    • 2011
  • 기존 국내의 자연형 하천복원사업은 인위적으로 정비된 하천을 대상으로 훼손된 자연성을 되살리기 위하여 물리적 환경의 개선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저수호안의 안정성과 더불어 식생 피복율을 높이는 등 형태적 복원을 중심으로 사업이 시행되어 왔다. 이러한 자연형 하천복원사업은 하천의 생태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미비하여 하천이 생물서식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는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천의 물리적 특성에 의하여 형성되는 생물서식처와 이에 반응하는 생물들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여 생물들에게 적합한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며, 하천유역의 환경 훼손으로 인하여 개체수가 급감하고 있는 종을 복원 목표종으로 선정하여 개발된 기술을 현장에 시범적으로 적용하여 기술을 검증함으로써 생물을 중심으로 한 자연과 함께하는 하천복원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중소하천을 대표할 수 있는 대표하천을 선정하여, 서식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서식처의 물리 화학 생태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납자루아과 어종의 산란처 및 서식처로서의 역할을 하는 개방형 하도습지 조성 기술을 개발 및 시범적용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reatment facilities for improving water cycle in the water cycle analysis model for the urban catchment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의 물순환 개선시설 모듈 개발)

  • Jang, Cheol-Hee;Kim, Hyeon-Jun;Noh, S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60-1364
    • /
    • 2010
  •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Catchment hydrologic cycle Analysis Tool, CAT)은 기존의 개념적 매개변수 기반의 집중형 수문모형과 물리적 매개변수 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의 장점을 최대한 집약하여, 도시유역 개발 전/후의 장/단기적 물순환 변화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물순환 개선시설의 효과적인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물순환 해석 모형이다. 이 모형은 수문학적으로 균일하게 판단되는 범위를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지형학적 요인에 의한 유출 특성을 객관적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개발 공간 단위별로 침투, 증발, 지하수 흐름 등의 모의가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노드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모형의 UI(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손쉽게 모형을 적용/관리하고, 여러 시나리오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모의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모든 입/출력 자료를 엑셀이나 텍스트 형식과 연동되도록 하여 프로젝트별 매개변수 관리가 용이하도록 개발하였다. 특히 본 모형에서는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물순환 개선시설(침투시설, 저류지, 습지, 빗물저장시설, 리사이클 및 외부급수 등)의 구현 및 모의가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여기서, 물순환 개선시설이란 빗물을 흡수하고 저류할 수 있는 도시녹지시설 혹은 구조물로서 도심 내의 불투수면을 저감시키고 유출수를 줄이면서 동시에 녹지를 확보하여 효과적인 물순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시설들이다. 이러한 물순환 개선시설은 신도시 및 지역 혁신도시 개발 등의 대규모 토지이용변화가 예상되는 개발지역에 대한 평가 및 개선 기술을 제공하여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설계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먼저 침투 시설은 계획침투량을 반영하며 토양으로의 침투량과 지하수로의 이동을 모의한다. 저류시설은 하도 내에 위치한 online 저류지와 하도 외에 위치한 offline 저류지로 구분하고 저류지 수면의 증발량과 취수량을 고려하며, 방류구를 통한 방류량을 반영하였다. offline 저류지의 경우는 하도 내의 흐름의 규모에 따라서 일정량을 넘는 경우만 offline 저류지로 유입될 수 있는 양을 산정하도록 하였으며 하류 하천으로의 방류를 반영하여 홍수 후에 저류지가 비워지도록 하였다. 유역 내의 습지는 식생과 수면에서의 증발산을 반영하였다. 습지의 저류능력을 넘는 양은 월류되어 하류로 유출되며, 방류구를 통한 방류량을 반영하였다. 빗물저장시설의 경우는 초기우수와 같은 일정량 이하의 유입량과 시설용량을 초과하는 양은 방류하도록 하였고, 물 사용량을 반영하였다. 또한, 본 모형에서는 하천 내에서 취수하여 유역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리사이클 처리노드를 계획하였다. 리사이클은 용수 이용 목적에 따라 필요지역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하천유지용수의 목적으로 취수되어 상류 혹은 하류의 임의 지역으로 공급되는 것을 포함하였다. 또한, 유역외부에 광역으로 급수되는 공급량도 반영하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luvial Habitat (하천 생물서식처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An, Tae-Ung;Choe, Lee-Song;O,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37-441
    • /
    • 2009
  • 1990년대 이후 하천환경에 대한 관심은 치수적 과점에서 이수적 관점, 환경적 관점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하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1990년대 말부터 자연형 하천개발이라는 이름으로 확산되어 우리나라의 하천환경을 크게 변모시켜 나가고 있다. 실제로 자연형 하천은 우리 주변의 하천경관 및 수질을 많이 개선하는 효과를 거두어 왔으나, 하천의 보전 및 복원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개발이 없는 상태에서 경쟁적으로 시행되어 비효율성, 비생태성, 비안전성의 문제를 노출시키고 있다. 특히 하천의 다양한 물리적 인자와 복합되어 형성되는 하도서식처 환경들에 대한 이해의 부족은 하천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태계의 순환과정 및 연계성을 단절시키고 근본적인 하천환경복원을 어렵게 한다. 최근에 하천환경 복원사업의 근본 목표는 그 하천 고유의 하천경관이나 생태계 등의 특성을 회복(Rehabilitation)시키거나 복원(Restoration)시키는 것으로, 평여울, 급여울, 폐쇄형 하도습지, 웅덩이 등과 같은 하도서식처로서의 물리적 자연환경을 인위적으로 조성하여 원활한 생태환경이 자생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그러나 하천 생태계는 물리적 환경에 의해서만 지배되는 것은 아니며, 하천생태계가 원활하게 조성되기 위해서는 그에 따른 적정한 수질이 유지되는 것 또한 중요하다. 물론 자연생태계의 순환과정이 원활해진다면, 하천의 자정능력 향상을 가져오게 되고 그로 인하여 수질도 생태환경에 적합하게 유지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이치이다. 결국 자연적으로 조성된 하천에서의 물리적 서식처 환경이 수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은 앞으로 하천환경 복원사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환경인 하도서식처 환경을 조사하고 그에 따른 화학적 특성을 평가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하천복원에 있어서 물리적 서식처 조성과 수질의 상호 연계성 및 복원기술의 타당성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Classification of Instream Habtats for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생태하천복원을 위한 하도 생물서식처 유형 구분)

  • Ahn, Hong Kyu;Lee, Dong Jun;Kim, Si Nae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1 no.2
    • /
    • pp.82-93
    • /
    • 2014
  • In recent years, "ecological river restor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flood control, water utilization and environmental aspects of rivers is actively being investigated. However, it is hard to understand the inhabitation conditions of living organisms that live on the river with distinct characteristics have been fully reflected, and with the use of limited methods, it ends in uniformed composition of artificial rivers and a mere customary stream channel maintenance, resulting in frequently disturbed stream channel habitats As a fundamental study for investigating the habitats of living organisms that live on river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each habitat type by dividing domestic rivers into sand rivers and gravel rivers depending on the nature of rivers and dividing sections of each river into central river sections and natural river sections. As a result, more diverse habitat types of organisms were found in the gravel rivers rather than in the sand rivers, and the habitat types of organisms in the central river sections where the river restoration project have been already conducted reached approximately 56.3 % of those that appeared in the natural river sections.

The Characteristic of Fish Fauna and Distribution by Habitat Type in the Yanghwa Stream of the Namhan River Basins (남한강 수계 양화천의 서식처 유형별 어류상 및 분포특성)

  • Lee, Seung-Hyun;Lee, Hwang-Goo;Shin, Hyun-Seon;Choi, Jun-Ki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6 no.6
    • /
    • pp.884-891
    • /
    • 2012
  • The characteristic of fish fauna and distribution by habitat type in the Yanghwa stream were investigated from August, 2008 to June, 2009. During the surveyed period, 30 species belonging 8 families were collected. And there were 10 Korea endemic species(33.3%), including Rhodeus uyekii et and so on. Dominant species was Rhodeus notatus, and subdominant species was Pseudorasbora parva. Dominant species according to habitat type was Pseudorasbora parva in Dam type pool and Channel conected pool, Pseudogobio esocinus(Run), Zacco platypus(Riffle), Rhodeus notatus(Side channel and Substrate type pool), Squalidus gracilis majimae(Meander type pool), and Carassius auratus(Channel unconnected pool), respectively. As a results of community analysis in the Yanghwa Stream, diversity, richness, and abundance indices showed relatively high values, indicating that studied stream have relatively stable community structure. Moreover, cluster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divided by two groups(lotic and lentic habitats), suggest that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different among habitat types.

Distribution of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of Goryeong-gun, and Its Application Plan (고령군 지형경관자원의 분포와 활용방안)

  • Son, Myo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4 no.4
    • /
    • pp.279-28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for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of Goryeong-gun,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their management through mapping their distribution, and to present their conservation and application pla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ly,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in mountain area are Misungsan and Jusan mountain of Goryeong-up, Sangbiri valley of Deoggok-myeon, and isolated hill of Gaejin-myeon. Secondly, geomorphological landscape resources in riparian area are natural wetlands such as Jinchonneup of Bu-ri Gaejin-myeon, Hochonneup and Dalseongseupji of Hochon-ri Dasan-myeon, Bongsanneup of Bongsan-ri Ugok- myeon; artificial wetlands following the construction of weir such as riparian wetland of Oe-ri Goryeong-up and Banun-ri Gaejin-myeon; meander core and abandoned channel of Banun-ri Gaejin -myeon, river cliffs such as Naegok-ri Goryeong-up and Weolo-ri Ugok-myeon; sand bars and braided channel of Yajeong-ri Ugok-myeon. Thirdly, Jinchonneup swamp area of Bu-ri Gaejin-myeon have characteristics of typical floodplain landform, and its conservation conditions is relatively satisfactory, and its accessibility to metropolis is great, so it is a good place to construct eco-park. And construction of inquiry learning place at Banun-ri Gaejin-myeon will increase the opportunity to observe environmental changes following incised meander cutoff and ecological affirmative functions of a weir.

  • PDF

Analysis of 1D and 2D Flows in Open-Channel with FDM and FVM (유한차분법과 유한체적법을 이용한 1차원과 2차원 개수로 흐름해석)

  • Kim, Man Sik;Lee, Jin Hee;Jeong, Chan;Park, Roh Hyu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0 no.2
    • /
    • pp.67-79
    • /
    • 2008
  • The one-dimensional (1D) finite-difference method (FDM) with Abbott-Ionescu scheme and the two-dimensional (2D) finite-volume method (FVM) with an approximate Riemann solver (Osher scheme) for unsteady flow calculation in river are described. The two models have been applied to several problems including flow in a straight channel, flow in a slightly meandering channel and a flow in a meandering channel. The uniform rectangular channel was employed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results. A comparison is made between the results of computation on 1D and 2D flows including straight channel, slightly meandering channel and meandering channel application. The implementation of the finite-volume method allows complex boundary geometry represented. Agreement between FVM and FDM results regarding the discharge and stage is considered very satisfactory in straight channel application. It was concluded that a 1D analysis is sufficient if the channel is prismatic and remains straight. For curved (meandering) channels, a 2D or 3D model must be used in order to model the flow accurately.

  • PDF

Development and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Continuous Block System in River Bank Protection (I)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Review through Hydraulic Model Test - (일체형 식생호안블록 시스템 개발 및 수리특성 연구(I) -일체형 호안블록 개발 및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적용성 검토-)

  • Jang, SukHw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0 no.3
    • /
    • pp.87-97
    • /
    • 2008
  • This research focused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feasibility for the coalesced continuous block system in river bank protection. Most of block systems in river bank are pre cast type and have some difficulties against high velocity flood condition or high pressure load, however, the continuous block system can be applied to flood damage recover as well as environmental vegetation block system in river bank. For the application review and analysis of hydraulic condition for this block system, hydraulic physical modeling was carried out. The physical model was built as a scale of 1:50 by Froude similitude measuring the water levels and the water velocities for vegetation application or not. In consequence, the water velocities were observed to decrease meanly 10.1%, and the water depths were to increase meanly 17.8% in case of the of design flood, $Q=200m^3/sec$. To verify the hydraulic physical modeling, the numerical modeling should be conducted for a close examination of vegetation application by one or two 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as a next study.

  • PDF

A Study on Flow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Meandering Low Flow Channel Shape in the Compound Cross Section Typed Straight Channel (복단면인 직선수로 내 사행 저수로의 형태에 따른 흐름특성 연구)

  • Kim, Seonghwan;Choi, Gyewo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4
    • /
    • pp.484-490
    • /
    • 2017
  • In order to examine flow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eandering low flow channel in the compound cross section typed straight channel, we assumed the representative channel type in Korea and confirmed the validity of the 3D numerical simulation by carrying out the hydraulic model. Based on this study, numerical simulations were also conducted on other types of river channel. As a result of the numerical model test (using the velocity value measured by the water depth observation from the hydraulic model test),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low field according to the changes in the shape of the low flow channel, it was confirmed that the secondary flow examined in the previous studies occurred. Also, it was confirmed that the maximum flow velocity point moves according to the expansion cross sectional area of flow in high flow plain. Ultimately, it is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osition of the water impingement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river design) and the extent of the impact because the change of the channel width affects the f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