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굿둑

Search Result 3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 study on stage-discharge relationships considering an operation of the estuary barrage (하굿둑 운영을 고려한 수위-유량 관계식에 대한 연구)

  • Kim, Minji;Jun, Ky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56-256
    • /
    • 2019
  • 하굿둑이 증설된 낙동강 하류의 수위-유량 관계식은 하굿둑의 운영을 고려하지 않은 식으로 수공구조물에 의한 배수효과 등이 반영되지 않았다. 하굿둑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낙동강 본류 330 km 구간에 대해 8개의 보 및 하굿둑의 운영방안을 내부경계조건으로 포함하는 부정류 계산모형을 개발하였다. 가장 하류에 위치하는 구포수위표 지점에 대해 하굿둑의 개도를 변수로 포함하는 수위-유량 관계식을 도출하여 하굿둑의 개도를 변수로 포함하지 않은 수위-유량 관계식과 비교하였다. 개발에 사용한 홍수사상들은 2001년부터 2018년까지 발생한 홍수사상 중에서 다양한 규모로 5개를 선별하였다. 개발된 수위-유량 관계식을 검증하는데 사용한 홍수사상들은 개발에 사용한 5개의 홍수사상 외에 규모별로 5개를 선정하여 활용하였다. 비교 결과 개도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개도를 고려한 경우가 보다 정확한 유량을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하굿둑을 비롯한 수공구조물이 건설된 하천의 경우 이를 고려하여 수위-유량 관계식을 산정해야 함을 보여준다.

  • PDF

A Cas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a River Water Level Monitoring System using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and Public Telecommunication Network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와 공중통신망을 이용한 하천수위감시시스템 구축 사례 연구)

  • Kim, Seokju;Kim, Minsoo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0 no.4
    • /
    • pp.1-17
    • /
    • 2015
  • A river water level monitoring system which prevents salt water damages and effectively excludes floods has been developed to contribute efficient operation of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 The system can be used for monitoring upstream conditions more quickly and do appropriate responses over changes. Telemetry and telecontrols using PLCs have been built at the three sites that directly influence on the operation of barrage gates, and are linked to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s IOS (Integrated Operation System) through public communication networks. By using PLC, the system can achieve even higher reliability and versatility than before as well as easy management. By power control devices, we can remotely control the power of PLCs to treat the minor troubles instantly without going on-sites. The power control devices also save data in preparation for the cases of communication failures. The system uses ADSL (FTTH) as a main network between SCADA server and PLCs, and CDMA (M2M) as a secondary network. In order to compensate security vulnerabilities of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we have installed the VPNs for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center and the observation stations, just like a dedicated network. Generally, river water level observations have been used custom-manufactured remote terminals to suit their special goals. However, in this case, we have established a system with open architecture considering the interface between different systems, the ease of use and maintenance, security, price, etc.

Analysis of Principal Storm Surge in the Downstream of Nakdong River (낙동강 하구 표층퇴적물 분석 및 사주 지형변화)

  • Baek, Dong-Jin;Kim, Kang-Min;Lee, Sung-Chul;Lee, Jo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36-37
    • /
    • 2018
  • 낙동강 하구역의 퇴적환경은 육성기원 퇴적물과 해성기원 퇴적물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하게 이루어진다. 낙동강 하굿둑이 건설된 이후의 퇴적환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해양공학회(2003)와 수자원공사(2016)의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2003년과 2016년의 표층퇴적물 분석결과, 낙동강 하구는 전반적으로 사질퇴적물이 우세하고 분급도가 양호하고 중앙입경 보다 조립질의 퇴적물이 우세하게 분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결과와 금회 연구결과로부터 2003년 이후 낙동강 하구 퇴적환경은 평형상태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낙동강 하굿둑 유출 유사량과 외해측 파랑에 의한 영향이 크게 받고, 창조시의 약화된 유속으로 인하여 니질퇴적물의 이동이 줄어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니질퇴적물이 우세한 구간은 사주와 갯골 부근의 간사지로, 이로 인한 낙동강 하구역의 퇴적우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ediction of Salinity of Nakdong River Estuary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LSTM) for Time Series Analysis (시계열 분석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한 낙동강 하굿둑 염분 예측)

  • Woo, Joung Woon;Kim, Yeon Joong;Yoon, Jong 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34 no.4
    • /
    • pp.128-134
    • /
    • 2022
  • Nakdong river estuary is being operated with the goal of expanding the period of seawater inflow from this year to 2022 every month and creating a brackish water area within 15 km of the upstream of the river bank. In this study, the deep learning algorithm Long Short-Term Memory (LSTM) was applied to predict the salinity of the Nakdong Bridge (about 5 km upstream of the river bank) for the purpose of rapid decision making for the target brackish water zone and prevention of salt water damage. Input data were constructed to reflect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such as the amount of discharge from Changnyeong and Hamanbo, and an optimal model was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by changing the degree according to the sequence length. For prediction accurac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squred) and RMSE (root mean square error). When the sequence length was 12, the R-squred 0.997 and RMSE 0.122 were the highest, and the prior prediction time showed a high degree of R-squred 0.93 or more until the 12-hour interval.

Seasonal Variation of Dissolved Methane Concentration and Flux in the Nakdong Estuary (낙동강 하구의 용존 메탄 분포와 메탄 플럭스의 계절변화)

  • RYU, JEHEE;AN, SOONMO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1 no.3
    • /
    • pp.91-102
    • /
    • 2016
  • The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the dissolved methane concentra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 methane budget was estimated in the Nakdong Estuary in January, September, and November of 2014. Dissolved methane showed seasonal variation (21~874 nM) with high concentration in summer due to enhanced temperature and fresh water discharge. Decreasing trends of dissolved methane from the river to the estuary were consistent in all seasons showing the main source of the estuarine methane is river discharge. However, the decreasing trends were modified seasonally due to the local sources such as organic-rich sediments in intertidal zone or near the estuarine barrage. Dissolved methane concentration in the Nakdong Estuary was high, compared to other estuaries probably due to the well developed wetland in Nakdong-river system and stagnation effect from barrages and dams. Dominant sink for the Nakdong estuarine methane was outflux into the atmosphere. Relatively long residence time (produced by barrier island and estuarine dam) in the estuary might provide the enough time for the outgassing.

Optimal Water Quality Management due to Operation of Diversion Tunnel (도수터널 운영에 따른 최적 수질 관리)

  • JANG, Suk-Hwan;OH, Kyung-Doo;OH, J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58-358
    • /
    • 2016
  • 본 연구에 앞서 가뭄에 따른 충청남도 서부권의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강 본류로부터 보령댐으로 일정 유량을 도수(diversion)하는 계획이 금강 본류에 미치는 수리적 영향을 1차원 비정상류 해석(unsteady flow analysis)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 결과와 연계하여 수질 모형을 구축하여 금강 본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위 영향에 따른 염도의 역류 모의를 위하여 전자해도와 위성영상자료를 활용하여 금강 하굿둑에서 외해 방향으로 약 9km에 이르는 모의 구간을 확장하였으며, 상류단의 진두수위표를 포함한 8개 지천의 유입유량 및 수질, 하구의 조위와 염도, 농공용수 취수시설의 취수량 및 회귀수 수질, 금강 배수갑문 운영, 대상 구간에 인접한 기상대의 기상자료 등을 고려하고 금강 본류를 따라 9개 수질측정소의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보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상 구간 내 2015년의 갈수기 유황 분석을 토대로 비선형 회귀분석식을 도출하여 2016년 갈수기 예측 유량과 함께 수질-유량 관계식을 도출하여 대상 구간의 수온, 염도, 용존산소(DO), BOD, 조류 등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온 분석 결과, 지점에 따라 2015년 유황 대비 평균 수온 1.79~3.83도, 최고 수온 1.74~4.30도 상승할 것으로 모의되었으며, 염도는 2016년 갈수기 동안의 금강 하굿둑 외해 염도는 담수 방류량의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평균 53% 증가하는 것으로 모의되어 기수역 생태계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갈수기 동안의 금강 하굿둑 내수의 염도는 배수갑문 개방 빈도, 개방 시간, 개방 정도의 감소에 따른 해수 역류의 감소로 전년 동기 대비 크게 감소할 것으로 모의되었다. 용존산소는 2016년 갈수기 동안의 용존산소 농도는 지점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평균 4~11% 감소하는 것으로 모의되었으며, 2016년 갈수기 동안의 BOD 농도는 지점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평균 30~57%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류는 지점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평균 29~67% 증가하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유량의 감소에 따른 수온 증가 및 수질 악화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분석되나, 도수에 따른 영향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Hydraulic Impact Analysis of Geum River with the Operation of Diversion Tunnel for Low Flow Augmentation of Boryong Dam (금강-보령댐 도수터널 운영에 따른 수리영향 분석)

  • JANG, Suk-Hwan;OH, Kyung-Doo;OH, J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59-35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가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충청남도 서부권의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강 본류로부터 보령댐으로 일정 유량을 도수(diversion)하는 계획이 금강 본류에 미치는 수리적 영향을 검토하였으며 특히 금강 본류의 농공용수 취수에 제한을 초래할 수 도 있는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금강 하굿둑으로부터 하류 외해 방향으로 약 9km 지점에 위치한 금강 하구로부터 상류 방향으로는 금강 하굿둑으로부터 약 76km 지점에 위치한 공주시 반포면 검상동의 검상천 합류지점까지 총 85km에 이르는 구간에 대한 1차원 수리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보령댐으로의 도수가 갈수기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여 2015년 2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 진두수위표의 시간별 유량과 8개 지천의 유입 유량, 장항검조소의 시간별 조위, 농공용수 취수시설 취수량 및 회귀수, 금강 배수갑문 운영 등을 고려하여 모형의 보정을 실시하였고, 유황분석에 따른 2016년 갈수기 예측 유량을 추정하여 보령댐으로의 도수에 따라 금강 본류 내 주요 구간의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서해안 조위에 따른 금강하굿둑 배수갑문의 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배수위 구간임을 감안하여 비정상류 해석(unsteady flow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갈수기 예측 유량 추정 결과 2015년과 같은 가뭄이 지속될 경우, 2016년의 유황은 2015년 대비 21%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보령댐 도수 여부에 관계없이 물 부족이 발생할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분석되었고, 하천유지유량 정도의 유황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보령댐으로 도수를 실시할 경우, 도수시 금강호 최저 수위는 각각 EL(+)0.94m와 EL(+)0.72m로 모의되어 농업용수를 비롯한 기존 취수시설 뿐만 아니라 보령댐 도수시설의 운영에도 어려움이 생길 것으로 예상되었다. 2016년 갈수기 동안 과업 대상 구간인 금강 하류부의 유황은 농업용수 취수가 본격화되기 이전인 2월에는 하천유지유량 정도의 유황을 유지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지만 3월 이후농업용수 취수가 본격화되면 농업용수 취수시설이 집중된 입포수위표 ~ 금강 하굿둑 사이 구간은 하천유지유량 이하로 유량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A Case Study on Real-time Discharge Measurement under Backwater Condition by Weirs in 4 Major River (자동유량측정시설을 통한 4대강 보 구간 내 유량측정결과 분석)

  • Cho, Sang UK;Kim, Dong Su;Roh, Youngsin;Jung, Sung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04-504
    • /
    • 2017
  • 4대강 본류 하천에 다기능보가 설치되면서 과거와는 다른 변화된 수리조건으로 인해 전통적인 방법으로는 유량자료의 생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ADVM(Acoustic Doppler Velocity Meter)과 같은 첨단계측장비를 활용한 자동유량측정시설의 필요성이 증대되었으며, 수위-유량관계를 개발이 불가능한 감조하천이나 배수영향을 받는 지점에 우선적으로 설치되어 현재까지(2016년 12월 기준) 총 58개소가 설치되어 운영 중에 있으며, 4대강 본류의 다기능 보구간내에는 총 24개소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유량측정시설 중 다기능보로 인해 하도통제를 받는 조건의 한강 본류 구간(충주조정지댐~서울시(한강대교)), 9개소, 낙동강 본류 구간(안동조정지댐~낙동강하굿둑) 16개소, 금강 본류 구간(대청조정지댐~금강 하굿둑) 6개소, 영산강 본류 구간(마륵~영산강 하굿둑) 5개소를 대상으로 2016년 유량측정결과를 토대로 보구간 내 유량변화와 상하류 유출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자동유량측정시설의 운영결과를 검토한 결과, 보 운영에 따른 구간내 유량변화가 정상적으로 측정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본류 구간내 지점별 유출량도 정상적인 상하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낙동강 본류의 경우 각 구간 별로 하천수 사용에 따른 취수가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부 구간에서 상하류 유량반전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하천수취수량 검토를 추가적인 물수지 분석을 통한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효율적인 하천유량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ethod for estimating the amount of gate opening discharge in estuary using the three-dimensional fixed measurement of flow data for Integrated Nakdong-river estuary management (낙동강하굿둑 통합관리를 위한 3차원 고정식 유량 측정 자료를 이용한 하굿둑 개도 방류량 산정 기법 개발)

  • Kang, Dukee;Seo, Yongjae;Lim, Kyoungmo;Park, Byeong Woo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4 no.1
    • /
    • pp.52-58
    • /
    • 2022
  • Recently, various efforts and research are being conducted to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estuary in Nakdong River. As one of such studies, measurement of opening discharge amount for each floodgate using a three-dimensional fixed ultrasonic flow meter is being conducted, but studies on hydraulic and statistical processing procedures and techniques using actual measurement results for calculating discharge amount by opening remain at the basic level. Therefore, in this study, a data processing technique using three-dimensional fixed ultrasonic flow meter measurement data was developed, the flow coefficient was calculated based on the measured data,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discharge amount calculation formula development was reviewed.

The Monitoring of Eel-ladder in Geumgang Estuary Bank, Yeongam Embankment and Asanman Embankment (금강하굿둑, 영암방조제, 아산만방조제 뱀장어 전용어도 모니터링)

  • Jae Goo Kim;Yun Jeong Cho;Cheol Woo Park;Jong Wook Kim;Yu-Sin Shin;Min-Young Im;Younghee Song;Wonjang Kim;Yoon Choi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55 no.2
    • /
    • pp.167-174
    • /
    • 2022
  •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promoted the installation of eel-ladder for the purpose of creating inland water resources. Currently, eel-ladder have been installed and operated at the Geumgang Estuary Bank (2018), Yeongam Embankment (2019), and Asanman Embankment (2020). In this study, the number of glass eels in eel-ladder in 2021 was monitored and factors affecting the rise that from ocean to river of eels were investigated. Glass eels in eel-ladder were found when the salinity was relatively low, and they started when the freshwater and seawater temperatures were above 20℃. Comparing the number of occurrences by year, the largest number of glass eels was observed in 2021, but it is judged that this is not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glass eels in sea, but rather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or's eel-ladder repair and guidance on illegal f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