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필발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생약재 추출물의 수율 및 항고혈압 활성

  • 도정룡;김기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2003년도 제23차 추계총회 및 국제학술심포지움
    • /
    • pp.137.2-138
    • /
    • 2003
  • 본 실험에 사용한 생약재는 금산 약초시장에서 2003년 6월에 구입하여 추출수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생약재의 물 추출물의 동결건조 중량(%)이 30~40%에 달하는 생약재는 가자, 갈근, 맥문동, 산수유가 있고, 20~30%에 달하는 생약재는 감초, 구기자, 당귀, 오미자, 천궁, 황기가 이에 속했으며, 중량(%)이 10~20%에 달하는 생약재는 복분자, 오수유, 애엽, 작약, 진피, 지유, 파고지, 황련이 이에 속했다. 마지막으로 10%이하의 추출 수율을 나타낸 생약재들은 가시오가피, 강황, 계피, 석곡, 소목, 영지, 오약, 육두구, 정향, 죽엽, 필발, 초두구, 호장근이 이에 속했다. 생약재의 70% Ethanol 추출물의 동결건조중량을 살펴본 결과, 동결건조 중량(%)이 30~40%에 달하는 생약재는 가자, 당귀, 산수유가 이에 속하였고, 20~30%에 달하는 생약재는 감초, 맥문동, 구기자, 오미자, 오수유, 천궁, 황기가 속하였으며, 동결건조 중량(%)이 10~20%에 달하는 생약재는 복분자, 육두구, 애엽, 작약, 정향, 지유, 파고지, 호장근, 황련이 이에 속했다. 또한 10% 이하의 수율을 나타내는 생약재는 가시오가피, 강황, 갈근, 계피, 석곡, 소목, 영지, 오약, 익지인, 죽엽, 필발, 초두구가 이에 속하였다. 생약재의 추출 시간 및 온도에 따른 수율을 조사한 결과, 추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수율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가자, 갈근, 황련, 복분자, 지유, 정향, 계피, 소목 순으로 높은 수율을 얻을 수 있었다. 생약재에 여러가지 효소를 이용한 가수분해 결과, 대부분의 생약재에 대해 95$^{\circ}C$에서 2시간동안 추출한 수율과 그다지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생약재가 Termamyl 효소를 사용하여 가수분해하였을 때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지유의 경우는 Viscozyme 효소를 처리하였을 경우 가장 좋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효소의 최적 온도로 조정한 Water bath에서 0, 30, 60, 120, 210분간 효소 반응 시켜, 420nm에서 갈변도를 시간별로 측정해본 결과, Viscozyme 효소를 처리한 생약재에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흡광도 수치의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32종의 생약재 물 추출물의 항고혈압 활성을 측정한 결과, 파고지, 소목, 죽엽의 항고혈압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파고지의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에탄을 추출물의 경우에는 오미자, 오수유, 소목에서 항고혈압 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미자의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파고지 물 추출물을 칼럼(Sephacryl S-300, High Resolution)으로 분획하여 3개의 Peak를 얻었으며, 2번째 Peak의 항고혈압 활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필발 추출물의 포도당 흡수능에 대한 효과 (Effects of Fructus Piperis Longi Extracts on Glucose Uptake in Adipocyte)

  • 김미성;권강범;송제호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9-62
    • /
    • 2014
  • Glucose uptake plays a pivotal role in maintaining whole body glucose homeostasis in adipocytes and skeletal muscles.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shown that Fructus Piperis Longi Extracts (FPLE) can stimulate glucose uptake in OP9 adipocytes. The increasing effects of FPLE on glucose uptake were inhibited by compound C pretreatment, which means that the glucose uptake effects by FPLE were carried out by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ctivation. Further studies revealed that FPLE stimulated glucose transport occurs through a mechanism involving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1/2) activation.

Piperlongumine 유도체 합성과 $Aflatoxin\;B_1$ 생성 억제 효과 (Synthesis of Piperlongumine Derivatives Isolated from Piper longum L. and their Inhibitory Activity on Aflatoxin $B_1$ Production)

  • 이성은;최원식;이현상;이영행;박병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4호
    • /
    • pp.361-366
    • /
    • 2003
  • 필발 열매로부터 추출 및 분리한 piperlongurnine (1-[3-(3,4,5-trimethoxyphenyl)acryloyl]-5,6-dihydro-1H-pyridin-2-one)이 aflatoxin $B_1\;(AFB_1)$ 생성억제에 있어서 탁월한 효과가 입증되어 3,4,5-trimethoxycinnamic acid (TMCA)를 모체로 하여 1-piperidin-1-yl-3-(3,4,5-trimethoxyphenyl)propenone (1), 1-morpholin-4-yl-3-(3,4,5-trimetholfrphenyl)propenone (2), 1- (3,5-dimethylpiperidin-1-yl)-3-(3,4,5-trimethoxyphenyl)propenone (3), 1-(2-methylperidin-1-yl)-3-(3,4,5-trimethoxyphenyl)propenone (4), 1- (3-hydroxypiperidin-1-yl)-3-(3,4,5-trimethoxyphenyl)propenone (5), 1-[3-(3,4,5-trimethoxy-phenyl)acryloyl]piperidin-2-one (6) 및 ethyl 1-[3-(3,4,5-trimethoxyphenyl)acryloyl]piperidin-4-carboxylate (7)의 유도체를 합성하여 구조를 확인하고, 이 화합물들을 이용하여 $AFB_1$ 생성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Aspergillus flavus NRRL 2061로부터 생성되는 $AFB_1$ 생성저해에 대한 실험한 결과 모든 유도체 화합물에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화합물 (3)이 1000, 500, 250, 100및 $50\;{\mu}g/ml$에서 100, 95, 90, 53 및 10%의 생성저해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 유도체 화합물 (3)은 항진균 독소제 개발을 위한 선도화합물로 이용하여 새로운 농약으로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통초, 필발을 포함한 7종 한약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even Medicinal Herbs including Tetrapanax papyriferus and Piper longum Linne)

  • 진경숙;오유나;이지영;손병일;최우봉;이은우;권현주;김병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53-262
    • /
    • 2013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seven medicinal herbs. All extracts of the tested herbs, Euryale ferox Salisbury, Echinops setifer Iljin, Amomum cardamomum Linne, Tetrapanax papyriferus, Illicium verum Hook. f., Typha orientalis Presl, and Piper longum Linne, exhibited potent anti-oxidative activity as confirm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Lipopolysaccharide (LPS) indu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in the RAW 264.7 cell line, was also ameliorated by all extracts' treatments in a dose dependent manner. NO suppressive activity originated from the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protein expression by the extracts. Three extracts, E. ferox S., I. verum Hook. f., and P. longum L., possessed suppressive activity against, not only iNOS, but also cycloxygenase 2 (COX-2) protein expression. These three extracts may then serve as potential candidates for non steroidal analgesic inflammation drugs (NSAIDs). Furthermore, all extracts induced anti-oxidative enzyme, heme oxygenase 1, protein express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provide an important new insight into the fact that various medicinal herbs possess potent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might be utilized as promising agents in the field of health products. Further studies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active compounds from medicinal herbs are clearly needed.

천식 모델 생쥐에서 필발이 CD25+T 세포수, IgE, Histamine 생성량과 in vitro에서 Th1/Th2 Cytokine Balance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iperis Longi Fructus on Regulatory T Cells Number, IgE, Histamine Production in Asthma Model Mice and Th1/Th2 Cytokine Balance in vitro)

  • 이영철;김승형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9-88
    • /
    • 2009
  • Objectives : It has been recently shown that Piperis Longi Fructus (PLF) is involved in the reduction of eosinophil recruitment and production of Th2 cytokines in vivo. However, the main therapeutic mechanisms of PLF remains a matter of considerable debate. To investigate the therapeutic mechanisms of PLF, we examined the influence of PLF on regulatory T cells number, IgE, histamine production in vivo and Th1/Th2 cytokine balance in vitro. Methods : All mice were immunized on two different days (21 days and 7 days before inhalational exposure) by i.p. injections of 0.2 $m\ell$ alum-precipitated Ag containing 100 ${\mu}g$ of OVA bound to 4 mg of aluminum hydroxide in PBS. Seven days after the second sensitization, mice were exposed to aerosolized ovalbumin for 30 min/day on 3 days/week for 12 weeks(at a flow rate of 250 L/min, 2.5% ovalbumin in normal saline) and PLF (150 mg/kg) were orally administered 3 times a week for 8 weeks. Splenocytes from C57BL/6 mice at 8 weeks of age were stimulated with anti-CD3 (1 mg/ml) plus anti-CD28 (1 mg/ml) antibody for 48hrs. IL-4 and IFN-$\gamma$ in the culture supernatants were measured by ELISA Results : The suppressive effects of PLF on asthma model were demonstrated by the increase the number of regulatory T cells and by reducing IgE, histamine production in vivo and modulation of Th1/Th2 cytokine balance.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LF has a deep inhibitory effects on asthma model mice by increase the number of regulatory T cells, and by reducing IgE, histamine production.

필발(Piper longum Linn.)로부터 전립선암 세포사멸물질 pipernonaline의 분리 및 동정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Apoptosis Modulator Pipernonaline from Piper longum Linn. against Prostate Cancer Cells)

  • 김광연;김윤진;이완;유선녕;조효진;이선이;이한승;손재학;오현철;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71-675
    • /
    • 2009
  • Prostate cancer has been a critical health problem due to an increase of prostate cancer-related deaths worldwide. Also, a frequent treatment option for prostate cancer is androgen ablation, but this treatment has a limited scope, especially for hormone-refractory cancer.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identification of alternative therapeutic strategies for prostate cancer. Previously, over one hundred species of dried-plant methanol extracts were tested for inhibitory effects on proliferation. One of them, Piper longum Linn. was selected based on its potent anti-proliferation effect. The dried root of P. longum Linn. was extracted with 100% methanol for 2-3 days and its extract was fractionated using chloroform. The chloroform layer was then subjected to column chromatography on silica gel, reverse phase-18 (RP-18) and Sephadex LH-20, in turn. Finally, the pure compound was obtained and identified as pipernonaline by NMR spectroscopic and physico-chemical analysis. In this study, anti-proliferation and cell cycle arrest effects of pipernonaline on human prostate cancer PC-3 cell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MTT and PI staining, respectively. Our findings suggest that pipernonaline represents a dose-dependent growth inhibition pattern on PC-3 cells and, moreover, its growth inhibition is associated with sub-G1 and G0/G1 cell cycle accumulation in PC-3 cells. Also, these results provide an anticancer candidate for human prostate cancer.

한약재 열수추출물의 항산화효과 검정 (Screening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Plants)

  • 강미영;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2호
    • /
    • pp.141-147
    • /
    • 2000
  • 130종의 식물성 한약재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세포에 대한 항변이원성과의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항산화활성은 DPPH 자유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 및 Fenton반응에 의해서 생성되는 hydroxyl radical$({\cdot}OH)$ 소거능을 각각 측정하였다. 조사한 대다수의 한약재들이 전자공여능 및 ${\cdot}OH$ 소거능을 가지고 있었는데, DPPH 자유라디칼에 대한 전자공여능이 가장 큰 한약재는 필발(Piper longum L.)이었으며, ${\cdot}OH$ 소거능이 가장 큰 한약재는 석곡(Dendrobium moniliforme L.)이었다. 항산화활성의 측정 결과, 전자공여능 및 ${\cdot}OH$ 소거능이 대조구에 비하여 모두 50% 이상이 되는 항산화 효과가 큰 한약재는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 Bunge)를 포함하여 24종 이었다. 항변이원성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11종의 한약재가 $Cu^{2+}$ 존재 하에서 DNA의 손상이 유도될 수 없는지 여부를 조사한 결과, 택사(Alisma canaliculatum All. Br.)와 백자인(Nitraria sibirica Pall), 오약[Lindera strychifolia (Sieb. et Zucc) Villar]을 제외한 모든 시료에 의하여 DNA의 손상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았다. 또한 택사와 백자인은 화학적 돌연변이원인 mitomycin C가 유발하는 DNA손상도 강하게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 PDF

Microarray를 이용한 pipernonaline의 인간 전립선 암세포에 대한 기능 조절 분석 (Regulation of Pipernonaline on Biological Functions of Human Prostate Cancer Cells Based on Microarray Analysis)

  • 김상헌;김광연;유선녕;박슬기;곽인석;이문수;방병호;전성식;안순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1호
    • /
    • pp.1552-1557
    • /
    • 2012
  • Pipernonaline은 후추나무과에 속하는 필발(Piper longum Linn.)의 유도체로서 전립선 암세포에 대한 항암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암세포 내에서 생물학적 정보를 가진 수 많은 유전자들에 대한 발현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에 사용된 microarray 분석은 동시에 수 만개 이상의 유전자 발현양상을 한번에 관찰할 수 있는 기술로서 특정 질병의 유전학적 특성과 기전 연구를 더 광범위하게 연구 할 수 있는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립선 암세포인 PC-3 세포에 pipernonaline을 처리하여 cDNA microarray를 실시하였다. 이후, DAVID database를 이용하여 gene ontology의 Biological Process를 분석하여 세포사멸과 세포주기, 세포성장 및 증식에 관련된 유전자들을 우선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세포주기관련 256개, 세포사멸관련 197개, 세포성장 및 증식관련에 154개의 유전자가 확인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pipernonaline은 전립선 암세포 내에 존재하는 생물학적 신호전달체계에 관련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함으로써 항암활성을 나타내 것을 알 수 있었고, 이후 이러한 microarray의 추가적인 분석은 암세포 내 새로운 유전자의 탐색 및 메커니즘을 규명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almitate처리된 인간 간세포주 HepG2 세포에서 piperine의 지질 축적과 인슐린 저항성 기전에 대한 연구 (Effects of Piperine on Insulin Resistance and Lipid Accumulation in Palmitate-treated HepG2 Cells)

  • 정희진;방은진;정성호;김병무;정해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964-971
    • /
    • 2019
  • 간의 지질 축적과 인슐린 저항성은 비알콜성 지방간 환자에게서 증가한다. Piperine은 후추(Piper nigrum)와 필발(인도산 후추, P. longum)의 주요 성분으로 항암, 항비만, 항 당뇨병, 항염증 및 항산화 등의 생리활성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piperine의 인간 간세포 HepG2 세포에서 지질 축적과 인슐린 저항성의 억제제로서의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질 축적 및 인슐린 저항성에 대한 piperine의 효과를 palmitate처리된 HepG2 세포에서 잠재적인 분자 기전을 밝히는 것이다. 그 결과 piperine처리군은 지질 함량을 감소시켰고, 지방 형성 표적 유전자인 SREBP-1c와 FAS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palmitate처리된 세포내 지질 축적을 감소시켰다. 게다가 piperine처리군은 지방산 산화에 관련된 CPT-1과 인산화된 ACC 및 인산화된 IRS-1 (Tyr632)와 Akt의 레벨을 증가시켰다. 또한, piperine처리군은 인산화된 IRS-1 (Ser307)의 레벨을 감소시켰다. 결론적으로 palmitate처리된 HepG2 세포에서 piperine은 SREBP-1와 FAS발현의 감소 및 CPT-1과 ACC 인산화의 증가 및 인산화된 IRS-1(Try632)와 Akt 신호전달 경로를 조절함으로써 지질 축적 및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piperine의 지질 축적 및 인슐린 저항성을 예방하는 약물로써 가능성이 제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