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필름 센서

Search Result 17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접착 테이프형 액체 누설 감지 박막 센서

  • Han, Guk-Hui;Kim, Yun-Jung;Jeong, Jong-Yun;Lee, Min-Gyeong;Gang, Han-Rim;Kim, Jung-Gil;Lee, Won-Yeong;Yu, Hong-Geun;Jo, Gwa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2.02a
    • /
    • pp.355-355
    • /
    • 2012
  • 액체 누설을 감지하는 센서를 개발하였다. 이 센서는 경보 장치를 포함하며 접착 테이프형태의 박막 센서이다. 센서는 총 4개의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층의 명칭은 접착제층, 베이스 필름층, 기판 필름층, 보호 필름층이다. 감지선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기판 필름층 위에는 총 4개의 선이 있다. 전도선 3개와 저항선 1개이다. 4개의 선들은 기판 필름층에 전도성 은나노 잉크를 그라비어인쇄기를 이용하여 센싱 회로를 인쇄하였으며 이 기술의 이 센서의 가장 큰 특징이다. 누수 발생 시에 저항선과 전도선에 액체가 접촉되어 회로 상에 교차하는 내부저항의 전압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누수를 감지하는 방식의 센서이다. 감지선에 전원을 양방향으로 번갈아 인가함으로써 수분의 저항 값 증가 및 양극화를 방지하였다. 그로 인해 기존의 센서에 비해 좀 더 안정적이고 정확한 감지를 할 수 있다. 설치 후 센서가 마모되거나 손상될 시 간단하게 재설치 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액체 누설 후에도 별도의 건조시간이 필요하지 않다. 표면에 남아있는 액체를 제거하여 즉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액체누설 감지 시스템은 액체누설 감지 필름 센서를 포함하며, 표시부와 경고음 발생부 등 전체를 제어한다. 표시부의 누설 위치 표시 단위는 미터(m)이며 최소 0.1 m 단위까지 표시한다. 이 액체누설 감지 시스템을 이용하여 누설 위치 감지 실험 및 액체별 누설 위치 감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Sensor Controller and Monitering System Using Film Type (필름형 센서를 이용한 센서 제어기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Park, No-Jin;Lee, Ho-Woong;Yu, Hong-Ky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2 no.1
    • /
    • pp.51-57
    • /
    • 2013
  • Leak detection, the system is controlled by humanity's precious water resources, prepare for natural disasters and prevent damage to buildings and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Especially because it causes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chemicals or oil spills, leak detection of various liquid(oil, water), the point at which the liquid leak is detected early on, and minimize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 damage of the equipment due to the leak, and the country's precious water resources to be used safely. In this paper, we solve these problems by using specialized film sensor, any person who is not a skilled technician, equipment or walls anywhere can be easily installed. also reduce unnecessary circuit, If film sensor is connected to operate, have a big competitive price, the detection of liquid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sensor film that can set the sensitivity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was implemented.

다채널 FSR 센서 기반 촉각센서 제작 및 평가

  • 김종호;이효직;이정일;박연규;강대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94-194
    • /
    • 2004
  • 개인용 로봇의 촉각기능을 담당할 수 있는 유연성 기반 인공피부센서 시스템을 설계 및 제작하였다. 수직력을 측정할 수 있는 64 개의 FSR 센서(Techstorm Co.)와 전단력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1 개의 PVDF 필름(PSI Co.)을 융합하여 인공피부센서 시스템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촉각센서는 10 cm x 10 cm 크기로 임의의 물체가 접촉할 경우 형상을 측정할 수 있으며 또한 물체표면의 거칠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3축 로드셀 기반 평가 시스템을 제작하여 센서의 수직력을 평가하였으며 PVDF 필름을 통한 접촉하는 대상의 거칠기 평가는 주파수 분석으로 평가하였다.(중략)

  • PDF

Development of Edge Position Controller by using Ultrasonic Sensor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Edge Position Controller의 개발)

  • Park, Chan-Won;Jeon, Jin-Wo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570-1571
    • /
    • 2007
  • 본 연구는 제지회사나 섬유회사 또는 인쇄업소등에서 각 제품의 원자재인 롤 형태의 종이, 원단 및 코팅지등의 필름이 롤러를 통해 고속으로 가공기계에 공급되어 감거나 풀 때 이동 중인 필름이 일정한 위치에서 벗어날 경우 초음파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필름을 이송하는 모터를 동작하여 롤러의 축선방향을 조정함으로써 필름이 항상 일정한 위치로 가공기계에 공급 될 수 있도록 구성된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내용이다.

  • PDF

CMOS 이미지 센서의 CDS

  • 백남대
    • The Optical Journal
    • /
    • s.90
    • /
    • pp.60-65
    • /
    • 2004
  • 현대의 정보통신 사회에 있어서 카메라는 여러 분야에 사용이 되고 있다. 카메라는 아날로그사진에서 피사체를 기록하기위한 필름을 사용하는데 이미지 센서는 빛을 변환하는 역할을 하는 필름대용품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 이미지 센서는 전하결합소자(CCD : Charge Coupled Device)와 상보금속 산화물반도체(CMOS :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가 대표적이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과거의 카메

  • PDF

Tape-Type Liquid Leakage Film Sensor (액체누설 감지용 테이프형 필름센서)

  • Yu, D.K.;Kim, K.S.;Yub, H.K.;Han, G.H.;Jin, D.J.;Kim, J.H.;Han, S.H.;Cho, G.S.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20 no.2
    • /
    • pp.146-154
    • /
    • 2011
  • The adhesive-tape of a liquid leak film sensor including the alarm system is developed. The sensing film is composed of three layers such as base film layer, conductive line layer, and protection film layer. The thickness of film is 300~500 um, the width is 3.55 cm, and the unit length is 200 m. On the conductive line layer, three conducting lines and one resistive line are formulated by the electronic printing method with a conducting ink of silver-nano size. When a liquid leaks for the electricity to be conducted between the conductive line and the resistive line, the position of leakage is monitored by measuring the voltage vari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resistance between two lines. The error range of sensing position of 200 m film sensor is ${\pm}1m$.

다층 그래핀 필름을 이용한 광섬유 방식 SPR 센서의 생체분자 검출 특성 분석

  • Kim, Jang-A;Kulkarni, Atul;Gang, Jun-Mo;Amin, Rashid;Choe, Jae-Bung;Park, Seong-Ha;Kim, Tae-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389-389
    • /
    • 2011
  • 최근 생체분자 구조 연구가 의료진단, 생명 현상 규명 및 의약품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분석방법이 제한적이어서 새로운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종래의 DNA 등의 생체분자의 분석은 형광염료를 이용한 방법이 주로 이용되었다. 형광염료는 단백질을 포함한 여러 물질들에 대해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분석에 제한이 있으며, 이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SPR (surface plasmon resonance) 분석법이 연구되었다. SPR은 형광염료 분석에 필수적인 레이블링(labeling) 등의 전처리 과정 없이 높은 민감도로 분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그래핀은 뛰어난 전자기적 성질과 기계적 성질 을 가지는 반금속(semimetal)으로, 실험실 규모에서 안정적인 합성이 실현되면서 그 응용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그래핀은 큰 표면적 대 부피비를 가지며, 이는 검출물질과의 반응성이 좋아야 하는 센서기술에 있어서 장점으로 작용한다. 특히, 비금속성을 띠는 단층 그래핀을 여러 장 겹치면 금속성을 갖게 되기 때문에 SPR 센서의 금속 필름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SPR 현상을 이용하는 광섬유 센서의 감도와 정확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광섬유 표면에 그래핀을 적용하였다. 광섬유는 상부 피복과 클래딩을 제거하여 코어를 노출시킨 후, 다층 그래핀 필름을 코팅함으로써 검출부를 구성한다. 그 후, DNA-biotin 용액, DNA-biotin 용액, 그리고 Streptavidin 단백질 복합 용액에 대한 검출기 신호를 분석하였다. 구성된 센서에 각 용액을 1 ${\mu}{\ell}$ 씩 반응시켜 분광계로 파장에 따른 광강도를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했으며, 450 nm에서 460 nm 범위의 푸른빛의 광원을 사용하였다. 그래핀 필름의 유무에 따라 확연히 구분되는 경향을 보이는 결과를 얻었고 그래핀 필름이 기존 SPR 센서의 금속박막을 대체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cceleration Sensor Using Optical Fibers and Film Gratings (광섬유와 필름격자를 이용한 가속도 센서)

  • Lee, Youn-Jea;Jo, Jae-Heung;Kwon, Il-Bum;Seo, Dae-Cheol;Lee, Nam-Kwon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19 no.3
    • /
    • pp.175-181
    • /
    • 2008
  • We develop a fiber optic acceleration sensor with LED, PD, POF, and a cantilever beam, having film grating at the edge of the beam. Light is transmitted from LED to PD through the film grating. When the cantilever beam moves by external vibration, output light is modulated as sinusoidal signals. The characteristics of output signals are dominated by the spacing of the film grating and also by the size and the elasticity of the beam. Two output signals, having constant initial phase difference, are obtained by two gratings with 90 degree phase difference. Those two signals are used to determine phase angle,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displacement of the beam. Finally, the acceleration is determined from conversion equation between displacement and acceleration. This sensor is designed for monitoring the vibration of large and complex building in the low frequency range of below 7 Hz, and is particularly suitable to measure acceleration in electromagnetic environments.

Monitoring of Low-velocity Impact Damage Initiation of Gr/Ep Panel 7sing Piezoeleetric Thin Film Sensor (압전필름센서를 이용한 복합재 평판의 저속충격 손상개시 모니터링)

  • 박찬익;김인걸;이영신
    • Composites Research
    • /
    • v.15 no.2
    • /
    • pp.11-17
    • /
    • 2002
  • The piezoelectric thin film sensor can be used to interpret variations in structural and material properties, e.g. for structural integrity monitoring and assessment. To illustrate one of this potential benefit,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film sensors are used for monitoring impact damage in Gr/Ep composite panels. Both PVDF film sensors and strain gages a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Gr/Ep specimens. A series of impact tests at various impact energy by changing impact mass the height are performed on the instrumented drop weight impact tester. The sensor responses are carefully examined to predict the onset of impact damage such as indentation, matrix cracking, and delamination, etc. Test results show that the particular waveforms of sensor signals implying the damage initiation and development are detected above the damage initiation impact energy. As expected, the PVDF film sensor is found to be more sensitive to impact damage initiation event than the strain g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