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험자 실험

Search Result 53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Brain activation areas associated with L1 and L2 vocabulary retrieval and language switching (모국어와 외국어 어휘 산출과 언어 switch 에 따른 뇌 활성화 영역)

  • 남기춘;이동훈;김동휘;문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203-207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사람이 모국어인 한국어 단어를 산출할 때와 외국어인 영어 단어를 산출할 때 관여하는 대뇌 영역을 fMRI 를 통해 조사하였다. 또한, 단일 언어를 산출할 때와 두 언어를 수시로 바꾸어서 인출할 때 관련되는 뇌 영역이 어디인지를 조사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피험자는 외국어를 공식적인 교육을 통해 12 세 근처에서 배우기 시작한 대학생이었다. 흔히 분류하는 방식으로 late learner로 구분되는 학생들이었다. 한 피험자가 세 종류의 실험 모두에 참여하였다. 피험자의 실험과제는 그림을 보고 그림에 해당되는 이름을 인출하여 말하는 과제였다. 실험 1, 2, 3 모두에서 사건관련 fMRI(event-related fMRI) 기법을 사용하였다. 실험 1에서는 그림을 보고 그림 이름에 해당되는 한국어 어휘와 외래어 어휘를 산출하게 하였다. 언어관련 뇌영역인 Wernicke 영역, Broca 영역, SMA 영역, SMG 영역 등에서 유의미한 활성화가 있었다. 실험 2 에서는 실험 1 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그림을 사용하여 그림의 영어 이름과 외래어 이름을 인출하게 하였다. 외국어인 영어 단어를 산출할 때에도 모국어 단어를 산출할 때와 유사한 영역이 활성화되었다. 특히 외래어 산출 시에는 뇌 활성화 영역이 모국어와 영어 단어 산출할 때와 모국어 산출할 때 활성화되는 공통 영역이 활성화되었다. 모국어 산출과 영어 단어 산출의 차이점은 외국어 산출 시에 활성화 영역이 전반적으로 더 컸다는 것과 외국어 단어 산출 시에 Broca 영역보다 조금 밑쪽에서 그리고 모국어 단어 산출시에는 전전두엽 영역에서 더 많은 활성화가 있었다. 실험 3 에서도 실험 1 과 실험 2 에 사용하지 않았던 그림을 사용하였다. 실험 3 의 특이한 결과는 언어 switching 이 있는 경우에 전통적인 언어 영역 활성화 외에 전전두엽의 활성화가 컸다는 것이다. 아마도 언어를 바꾸어 가면서 단어를 산출하는 것이 전전두엽의 정보선택과정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해석된다. 전체적으로 어휘 산출시에 모국어 어휘, 외국어 어휘, 외래어 등을 산출할 때 공통되는 언어 영역과 언어 특성적 영역이 활성화된다고 결론지을 수 있을 것 같다.

  • PDF

Effect of infographic of TV news on audience's memory and comprehension (TV뉴스의 인포그래픽이 수용자의 기억과 이해에 미치는 영향)

  • Park, Dug-Ch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1
    • /
    • pp.499-504
    • /
    • 2014
  • This experimental research explores the effect of infographic, visual element of TV news, on audience's memory and comprehension. For this experimental research, 2 groups of subjects composed of 87 university students were exposed to two different types of TV news, one group was exposed to news with infographic, the other group was exposed to news without infographic. and questions which were designed to measure recognition memory, recall memory, and comprehension, were asked and analysed. This research found that subjects who watched news with infographic showed higher degree of recall memory and comprehension than those who watched news without infographic. however effect of infographic on audience's recognition memory could not be found.

Automatic measurement of voluntary reaction time after audio-visual stimulation and generation of synchronization and generation of synchronization signals for the analysis of evoked EEG (시청각자극후의 피험자의 자의적 반응시간의 자동계측과 유발뇌파분석을 위한 동기신호의 생성)

  • 김철승;엄광문;손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6-40
    • /
    • 2003
  • 근래에 들어 질병으로 인하여 의사표현이 곤란한 환자에게 뇌파에 기초한 BCI(Brain Computer Interface)와 같은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BCI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특정 자극에 대해 유발되는 뇌파의 측정과 분석은 BCI를 위한 뇌파의 패턴과 인터페이스의 설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시청각 자극 인가후 피험자의 반응 시간을 측정하는 시스템을 EEG와 같은 생체 신호 계측 시스템과 연동이 가능한 형태로 개발하는 것이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능적으로 자극 신호 발생부, 반응시간 측정부, 유발뇌파 측정부, 동기신호발생부로 나뉘어진다. 자극신호 발생부는 실험에 이용되는 자극신호를 제작하는 부분으로서 Flash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반응시간 측정부는 문제에 대한 답 선택 요청시각으로부터 피험자의 반응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부분으로서 마이크로 컴퓨터(80C31)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우발뇌파 측정부는 시판용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동기신호 발생부는 전체 시스템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부분으로서 문제제시, 답요구와 동기한 화면상의 명암 신호와 이를 검출하는 광센서로 구성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에서는 기존의 유발진위 측정 및 자극시스템에 특정 모듈(반응시간 측정 장치, 동기신호 발생장치)만을 추가하여 실험자의 의도에 맞는 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어 유발 뇌파 및 반응시간 측정을 필요로 하는 연구를 가속화 할 것이 기대된다.

  • PDF

Different mechanism of visual attention in anxious and non-anxious population (부정자극 지각에 관련된 불안인과 정상인의 공간주의 비교연구)

  • Choi, Moon-Gee;Koo, Min-Mo;Park, Kun-Woo;Nam, Ki-Chu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0 no.1
    • /
    • pp.51-77
    • /
    • 2009
  • Using a modified Posner's cue-target paradigm, we investigated whether negative cues attract more attention than neutral cues in anxious people. Previous studies used commonly an unbalanced proportion of valid and invalid trials(75% vs. 25% respectively). But in the present study, an equivalent proportion of valid and invalids trials was used for measuring detection speed of cues without participant's expectancy caused by the unbalanced proportion. Emotional words(Experiment 1) and facial expressions(Experiment 2) were used as cues for target locations. The result of Experiment 1 and 2 showed that threatening cues facilitated target detection in valid trials and interfered with it in invalid trials in anxious participants and a, reverse response patterns were found in non-anxious participants. This indicates that threatening cues attract more attention to the cued location in anxious people and in contrast, non-anxious people avoid threatening stimuli. In Experiment 3,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 of validity effect across anxiety levels. The results showed that anxious participants gave less attention to cued location when the cues were non-informative whereas non-anxious participants gave more attention to cued locations in the same condition. We discussed two kinds of cognitive bias caused by anxiety levels: attentional bias and proportion related bias.

  • PDF

Jitter and Shimmer of the Deaf Voice (농자 음성의 주파수 변동율 및 진폭 변동율)

  • Ok-ran J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Phoniatrics and Logopedics
    • /
    • v.7 no.1
    • /
    • pp.39-42
    • /
    • 1996
  • The present study analyed jitter and shimmer of the deaf in 4 different voicing conditions. Thirty-two male subjects and 27 femal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on a voluntary basis. The age ranged from 6 to 18 for male and 8 to 21 for female subjects. The subjects were either congenitally or prelingually deaf The four different voicing conditions included /a/ prolongation, counting, reading, and conversation. The experiment utilized CSL Visi-Pitch Model 6095(Kay Elemetrics Corp.) to sample and analyze the data. Both jitter and shimmer means were higher than the threshold values(normative data) reported. In addition, this investigation performed two separate 2-factor ANOVAs in order to determine if jitter and shimmer change as a function of gender and voicing condition.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re was the gender effect on shimmer but not on jitter, in that male subjects 'shimmer was higher than females'. secondly, there was the voicing condition effect both on jitter and shimmer. /a/ prolongation and reading produced lower jitter than counting and conversation. /a/ prolongation produced lower shimmer than the remaining conditions. Finally, no interaction between gender and voicing condition existed.

  • PDF

Tension and Relaxation Recognition of Physiological Signals Using SOM (SOM을 이용한 ECG의 긴장과 이완상태 인식)

  • Jeong, Chan-Sun;Kim, Seong-Hun;Kim, Chi-Ho;Ham, Jun-Seok;Park, Jun-Hyeong;Yeo, Ji-Hye;Go, Il-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154-157
    • /
    • 2009
  • 본 논문은 ECG의 긴장과 이완상태를 자동으로 인식하기 위해서 SOM 학습을 이용한다. 기존의 ECG 연구는 자극원의 유무에 따라서 정상상태와 변화상태를 비교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를 ECG로 측정하여 분석한 후 SOM학습을 이용해서 자동으로 긴장과 이완상태를 분석한다. 실험은 피험자에게 슈팅게임을 하게 한 후 ECG로 측정한다. SOM 입력벡터는 측정된 ECG의 HRV분석으로 시간분석과 주파수분석의 특징벡터들을 추출한다. 특징이 추출된 입력벡터들은 SOM으로 학습하여 자동으로 피험자의 긴장과 이완상태를 분류하여 인식할 수 있었다. ECG와 SOM학습의 매칭도 결과는 71%의 정확도를 보였다.

  • PDF

A Study on Emotion and EEG to Improve the Accuracy of Judgmental Time Series Forecasting in a Web-based Computer Task (웹환경에서 시계열 예측의 정확성제고를 위한 감성조건과 뇌파특징 추출에 관한 연구)

  • 임좌상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3 no.2
    • /
    • pp.85-101
    • /
    • 2000
  • 감성은 의사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침에도 불구하고, 시계열예측에 있어서의 연구는 매우 적은 편이다. 본 연구는 감성이 시계열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시계열정보의 형태 (그래프, 계정성)와 더불어 살펴보았다. 감성은 피험자로 하여금 인터넷시험을 보게 하고 즉시 그 결과를 아려줌으로 유발하였다. 시험결과가 좋은 피험자에게는 상금을 주어서 그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팩토리얼로 설계되었으며, 86명의 학생이 인터넷에서 운용되는 실험프로그램을 직접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감성은 그 자체로는 효과가 없었지만, 정보가 주어진 형태와 관련되어 그 효과가 타나났다는 점이 매우 흥미롭다. 특히 좋은 감성이 유발된 경우, 계절성이 테이블형태로 (그래프에서 잘 표현될 수 있다는 점에도 불구하고) 더욱 정확하게 처리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피험자의 뇌파를 분석한 결과 전두엽 베타파가 정확성에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icacy of biofeedback in reducing cybersickness in virtual navigation (생체신호 피드백을 적용한 가상주행 환경에서 사이버 멀미 감소 효과)

  • 김영윤;정찬용;김은남;윤정민;서동오;고희동;김현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90-94
    • /
    • 2002
  • 이전연구에서 가상현실에 몰입하는 동안 넓은 시야 (Field of view: 150$^{\circ}$)와 빠른 운행속도 (70 km/sec)가 사이버멀미를 심화시킨다는 결과를 얻었다: 피험자의 90%가 좁은 시야 (50$^{\circ}$)와 느린 운행속도 (30 km/sec)에서 사이버멀미 증상이 적었다. 본 실험에서는 피험자가 생리적인 동요를 경험할 때마다 바이오피드백 방법을 사용해서 사이버멀미 감소 가상환경 (cybersickness alleviating virtual environment, CAVE)을 제시한 후, 그 효과를 관찰하였다. 피부전도도, 말초체온, 말초혈류량, 심박률, 눈 깜박임, 뇌전위의 변수들을 입력으로 하는 인공신경망으로 구성된 실시간 멀미 탐지 시스템과 CAVE-제시 피드백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은 생리적 측정치들이 사이버멀미의 출현을 신호할 때마다 피드백 출력으로 좁은 화면과 감소된 운행속도를 일시적으로 제공했다. 36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SSQ (simulator sickness questionnaires)와 자기보고를 이용하여 사이버멀미의 빈도와 심각도를 조사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한달 간격으로 CAVE 조건과 non-CAVE 조건에서 두 번 가상현실을 경험하였다. 사이버멀미의 빈도와 심각도는 non-CAVE 조건보다 CAVE 조건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즉, 전기생리학적 특징들에 기반한 인공신경망에 의해 제공된 좁은 시야와 느린 운행의 가상환경은 사이버멀미 증상들을 의미있게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은 생체신호 피드백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간 친화적 가상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인 것이다.

  • PDF

A Study of Acoustic Masking Effect from Formant Enhancement in Digital Hearing Aid (디지털 보청기에서의 포먼트 강조에 의한 마스킹 효과 연구)

  • Jeon, Yu-Yong;Kil, Se-Kee;Yoon, Kwang-Sub;Lee, Sang-Mi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v.45 no.5
    • /
    • pp.13-20
    • /
    • 2008
  • Although digital hearing aid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to compensate hearing loss and to help hearing impaired people to communicate with others, digital hearing aid user still complain about difficulty of hearing the speech. The reason could be the quality of speech through digital hearing aid is insufficient to understand the speech caused by feedback, residual noise and etc. And another thing is masking effect among formants that makes sound quality low.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masking characteristics of normal listeners and hearing impaired listeners having presbyacusis to confirm masking effect in speech itself. The experiment is composed of 5 tests; pure tone test, speech reception threshold (SRT) test, word recognition score (WRS) test, puretone masking test and speech masking test. In speech masking test, there are 25 speeches in each speech set. And log likelihood ratio (LLR) is introduced to evaluate the distortion of each speech objectively. As a result, the speech perception became lower by increasing the quantity of formant enhancement. And each enhanced speech in a speech set has statistically similar LLR, however speech perception is not. It means that acoustic masking effect rather than distortion influences speech perception. In actuality, according to the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of the speech that people can not answer correctly, level difference between first formant and second formant is about 35dB, and it is similar to result of pure tone masking test(normal hearing subject:36.36dB, hearing impaired subject:32.86dB). Characteristics of masking effect is not similar between normal listeners and hearing impaired listeners. So it is required to check the characteristics of masking effect before wearing a hearing aid and to apply this characteristics to fitting.

Maximum tolerated dose estimations using various stopping rules in phase I clinical trial (제 1상 임상시험에서 다양한 멈춤 규칙을 이용한 최대허용용량 추정법)

  • Jeon, Soyoung;Kim, Dongjae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5 no.2
    • /
    • pp.251-263
    • /
    • 2022
  • Phase I clinical trial is called 'Dose finding study'. It is first step of experimenting on humans with new drugs developed through animal experiments or vitro experiments. The important area of interest in designing Phase I clinical trial is determining the dose that acceptable level to the patients and provides the greatest efficacy. In this paper, we explain about methods to determine the maximum tolerated dose using various stopping rules. The SM3, NM, Rim, J3, BSM methods are compared through simulation. And we consider how the methods might be reformed.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BSM estimated the MTD closest to the target toxicity probability. J3 method required the least number of subjects. These results are due to the feature of the stopping rules of both methods. The BSM adds 2 or 1 subject at the same dose level when there is a toxic reaction. In addition, the J3 method has a smaller number of subjects than the other methods. If the methods are improved by combining these features, MTD can be estimated more efficiently. If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can be reduced while using the stopping rule of the BSM, accurate estimation is possible for a small number of su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