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해조사

Search Result 2,909,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evelopment of Ground-Based Investigation System using stereo Images for a Flood Damage Investigation (홍수 피해조사를 위한 지상영상기반 현장조사 시스템 개발)

  • Cho, Jae-Woong;Choi, Woo-Jung;Shim, Jae-Hyun;Cho, Myeong-H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02-1606
    • /
    • 2009
  • 우리나라는 봄가을에는 산불, 여름에는 태풍 및 홍수, 그리고 겨울에는 폭설 등 항상 자연재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2002년 태풍 '루사', 2003년 태풍 '매미' 등으로 인하여 해마다 크고 작은 자연재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많은 재산 피해와 인명피해를 가져 오고 있다. 이에 대해 태풍이나 집중호우 등에 대비하기 위한 방지 대책 및 복구 대책에 대해서는 많이 연구되어지고 있으나, 피해 후 피해조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진 측량을 이용하여 홍수 피해조사를 위한 지상영상기반 현장조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지상영상기반 현장조사 시스템은 2개의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해지역을 촬영하고, 사진측량 기술을 이용하여 피해규모를 파악한다. 모의 적용 결과 줄자로 실측한 값과의 오차가 1m 이내로 발생하였으며, 휴대성이 간편하여 홍수 피해조사 등에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Work Process on Natural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using Smartphones (스마트폰 기반 자연재난 피해조사 업무 프로세스 개발)

  • Choi, Woong Jung;Cho, Jae Wo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5 no.2
    • /
    • pp.1-10
    • /
    • 2012
  • Natural disasters are occurring frequently due to typhoon and flood. Especially, damage scales are increasing these days because of climate change. When natural disasters occur, civil engineering officers investigate them for the recovery. If public facilities are damaged, the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must be finished within 7days. Currently, natural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is done on two levels, field investigation and data input into NDMS. However, having those two overlapped most of the time, and we must do subsidiary works things to register field investigation data into system. Work efficiency is decreased due to repetition of additional work. So, many civil engineering officers indicated problems such as lack of manpower and time. In this study, We developed work process on natural disaster damage investigation that involves using smart phone to solve problems such as shortage of time and manpower.

Analysis of Forest Fuel Quality by Forest Fire Damage (산림연료 특성별 산불피해도 분석)

  • Kwon, Chun-Geun;Lee, Si-Young;Lee, Myung-Woog;Lee, Hae-Pye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96-196
    • /
    • 2011
  • 산림연료 특성별 산불피해도 분석을 위하여 산불피해의 조사지역은 2009년, 2010년 산불이 발생했던 강원도 고성지역과 양양지역, 강릉지역과 삼척지역을 조사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고성군의 경우 숲구조가 유령림인 활엽수림이 2개소, 칩엽수림 1개소, 장령림인 활엽수림 2개소로 총 5개소, 양양군은 숲구조가 유령림인 침엽수림이 1개소, 장령림 침엽수림 2개소 총 3개소, 삼척시의 경우는 숲구조가 유령림인 침엽수림이 1개소 외 대조구 장령림 침엽수림 1개소, 강릉시의 경우 숲구조가 장령림인 침엽수림이 3개소 총 13개소를 각각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산림연료 특성별 산불피해도를 조사하기 위한 조사지 규모는 $10m{\times}10m$로 하였으며, 현장 조사 항목은 조사지내의 산불피해 상태, 조사지 지형특성으로 나누어 조사를 실시하였다. 산불피해 상태는 산불진행방향, DBH, 총수고, 지하고, 고사여부, 편면연소, 밀도, 수간피해율, 수관피해율 등을 조사하였고, 조사지의 지형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조사지의 위치(GPS), 해발고도, 사면방위, 산지경사, 지형을 조사하였다. 현장조사를 위한 조사장비로는 조사지의 지형도, 야장, 디지털 카메라, GPS, 수고측정기, 직경테이프, 캘리퍼, 50m 줄자 2개, 2m 폴대, 클리노메타, 바인더끈 등을 사용하였다. 산불사례 현장조사를 통해 임목고사여부, 편면연소, 수간피해율, 수관피해율 등의 산불피해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연료의 특성별 유령림과 장령림의 편면연소율은 유령림은 97.3%, 장령림은 16.5%로 유령림의 편면연소율이 장령림보다 80.8% 더 피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관피해율은 유령림은 95.4%, 장령림은 19.9%로 유령림의 수관피해율이 장령림보다 75.5%더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또한 임목고사율은 유령림은 73.8%, 장령림은 24.5%로 유령림의 임목고사율이 장령림보다 49.3% 더 피해를 받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 PDF

문산지역 임진강 홍수범람피해조사

  • 최병호;전경수;김양근;조성우;황의준;여운광;윤병만;조홍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6.10a
    • /
    • pp.45-49
    • /
    • 1996
  • 한국해안ㆍ해양공학회는 1992년 인도네시아 플로레스섬의 쓰나미 피해조사, 95년의 필리핀 민도로섬의 쓰나미 피해현장 조사와 같은 국제조사단의 해양재해 피해조사에 참여하고 있으며 국내적으로는 1993년 7월 일본 북해도 남서부 지진에 의한 동해안 쓰나미 월파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금년 1996년 7월말 경기 북부 임진강유역 대홍수에 대해서는 임진강의 감조구간인 문산지역 홍수범람 피해조사를 1996년 8월 4일 수행하였다. (중략)

  • PDF

Advance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 Damage Investigation System using Stereo Images and IT (Stereo Images와 IT 기술을 이용한 피해조사 통합운영시스템 개발 및 현장 운용)

  • Choi, Woo-Jung;Cho, Jae-Woong;Shim, Jae-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3
    • /
    • pp.57-61
    • /
    • 2011
  • Large scale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and typhoons due to climate change have recently occurred with severe damage in all over the world. Especially, current disaster investigation in affected area takes too much time because it can be done by handcrafted. Also, it is lack of somewhat accuracy and objectiveness because it is influenced by investigator's judgment. Further, the current disaster investigation is difficult when damage area is very wide or investigator can't reach the affected area. Hence, we developed the integrated damage investigation system using stereo imag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for quick, accurate and objective investigation. Also, we applied the system to Bonghwa-gun in Gyeongsangbuk-do in 2008, Jecheon-si in Chungcheongbuk-do in 2009, and Namwon-si in Jeollabuk-do and Hapcheon-gun in Gyeongsangnam-do in 2010. This paper presents advancement and application of integrated damage investigation system using stereo images and information technology considering mobility, stability and user convenience in field.

Utilization of Real-time Aerial Monitoring System for Effective Damage Investigation of Natural Hazard (효율적인 자연재해 피해조사를 위한 실시간 공중자료획득시스템의 활용성 평가)

  • Jung, Kap Yong;Yun, Hee Ch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0 no.4
    • /
    • pp.369-377
    • /
    • 2012
  • Recently,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and enhancement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increases the necessity about effective technology of damage investigation in the area of disaster prevention. Quick damage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deal with the natural hazard and plan the recovery. To do this, UAV is the useful mean for quick damage investigation. In this study, it was evaluated based on UAV that utilization of real-time aerial monitoring system for effective damage investigation of natural hazard. Accuracy analysis was implemented to evaluate the application of this system. And utilization of damage investigation was evaluated based on the domestic regulations that is appled the system according to the type of hazard. As a result, damage investigation was possible about house, farmland, agriculture and forestry facilities and public facilities. Henceforth, it will be effectively possible to inspect damage for natural disaster and to establish restoration plan through utilization of acceptable image data by Real-time Aerial Monitoring System in real various natural disaster.

A study on the case investigation and vulnerability analysis of earthquake damage (지진 피해 조사의 사례와 지진 피해 취약도 분석 방안)

  • Song, Wan-Young;Kim, Jong-Bae;Cho, Myeong-Heum;Choi, Jun-Ho;Lee, You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12-216
    • /
    • 2016
  • 지진 피해조사 사례와 지질도 지층의 특성 및 건물구조의 특성으로 지진 피해 취약도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지진피해 예방을 위하여 최근 경주지역 지진발생으로 조사된 피해사례를 검토하여 정책마련에 도움 되기를 바라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조사사례는 피해규모를 정량적으로 분류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지진에 최적화된 기초자료 조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지진피해 예방을 위하여 기존 조사 자료와 함께 공간정보를 이용한 취약도 분석이 유망한 지진방재 방법론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다양한 공간자료를 기반으로 지진피해 취약도를 분석하는 방법론은 보다 수치적이고 객관적이어서 지진피해 예방을 위한 도시설계와 안전정책으로 반영할 수 있다. 앞으로 수치적인 분석을 실시한다면 지진에 대한 전국적 취약정도를 구분하고 우선적 안전관리 대상지를 선정하여 국가 및 지자체 예산적용에 효율적 관리방안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analysis of damage characteristics of facility caused by the Forest fire on Ul-ju (울주 산불피해 시설물들의 산림환경 특성분석)

  • Yeom, Chan-Ho;Lee, Si-Yeong;Gwon, Chun-Geun;Park, He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11a
    • /
    • pp.210-210
    • /
    • 2013
  • 본 연구는 산림 내 시설물의 산림환경 특성 분석을 위하여 2013년 3월 9일부터 10일 이틀 동안 280ha의 산림 피해면적과 57동의 시설물 피해를 준 울주산불에 대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물은 주택 15개소, 비닐하우스 1개소, 축사3개소 등 총 19개소에 대하여 2013년 3월부터 5월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은 시설물의 입지여건, 임상분포, 주변 산불인자, 시설물 외벽구조제, 산불 등 화재진화를 위한 소방시설 여부, 기타 산불 등 화재방지를 위한 시설, 보호시설과 산림과의 거리 등 총 7개 항목을 작성하여 피해시설물 및 미피해시설물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입지여건의 경우 피해시설물과 미피해시설물은 1~2개의 진 출입로를 갖고 있었고, 도로 폭은 7m 내외로 비슷한 여건이었다. 주변 임상은 침엽수, 임분 밀도는 중, 밀임분이었다. 비가연성 외벽구조제는 피해시설물 보다 미피해시설물에 많았고, 피해시설물과 미피해시설물의 시설물 주변 가연물질 관리상태는 모두 양호하였다. 반면, 급수시설 및 스프링클러, 방화선, 방화벽 등 소방시설 및 화재방지 시설은 미피해시설물이 피해시설물보다 더 많이 구축되어 있었고, 산림과의 이격거리는 피해시설물 평균 20m, 미피해시설물 평균 25m로 조사되었다.

  • PDF

Influencing Factors Evaluation of Flood Damage to Residential Building by Survey Data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한 주거건물 홍수피해 영향인자 평가)

  • Choi, Cheon Kyu;Kim, Gil Ho;Kim, Kyung Tak;Choi, Yu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75-575
    • /
    • 2016
  • 홍수로 인한 주거건물의 경제적 피해는 침수심, 침수기간, 유속 등의 재난인자와 제내지에 노출된 사회 경제적 인자들 간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발생하지만, 다차원홍수피해산정법을 비롯한 대부분의 모형에서는 침수심 만을 고려하고 있다. 최근 국외에서는 홍수피해와 영향인자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홍수피해액 평가 시 침수심 외 중요한 기타 인자를 고려하는 연구가 시도된 바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것과 관련한 연구가 그동안 거의 진행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거건물을 대상으로 홍수피해 영향인자를 규명하고자 과거 피해지역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설문조사에 앞서 사전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수리/수문학적 인자, 건물특성인자, 예방인자, 조기경보/조치인자, 사회 경제적인자, 피해인자로 설문항목을 크게 구분하여 설문지를 설계하였다. 설문조사는 2014년 8월에 광범위하게 피해가 발생한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1대1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로부터 상관분석, 데이터마이닝 등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침수심 외 몇몇 중요한 피해액 영향인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평가된 홍수피해 영향인자는 향후 홍수피해평가 모델을 개발하거나 홍수피해저감을 위한 세부적인 계획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Development of Digital Stereo Camera System for Hazard Investigation (재난피해조사를 위한 영상촬영시스템 개발)

  • Kim, Gi-Hong;Lee, Suk-Kun;Song, Yeong-S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1 s.35
    • /
    • pp.75-83
    • /
    • 2006
  • Satellite imagery is generally used for investigating the damage from natural disaster for wide area and remotely piloted vehicle or aerial photos are used for the local damage. But for more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damages of public facilities, these methods are inadequate and so in this case field surveying has been carried out. We tried to estimate the damage of public facilities faster and more accurately using photogrammetric method. We developed a digital stereo camera system by fixing two digital cameras on a frame, and with this system the photos of actually damaged areas were collected. The damages were estimated from these stereo photos. Then the estimated data was compared with field surveying data in order to verify our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