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해율

검색결과 1,190건 처리시간 0.045초

다목적 댐의 월강우량 회귀분석에 의한 가뭄위험 평가 (Drought risk assessment by monthly precipitation regression in multipurpose dams)

  • 박창언;김다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263-263
    • /
    • 2016
  • 기후변화 등에 따른 가뭄위험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연구되어 왔으며, 기상학적인 가뭄이나 생물학적인 가뭄 등으로 정의되는 가뭄지수들이 개발되어졌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가뭄의 판정은 수원으로부터 더 이상의 용수를 공급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해졌을 때 비로소 결정되는 것이므로, 수원공의 가뭄위험에 대한 평가가 우선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의 생공용수 공급을 책임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다목적댐인 소양강댐과 충주댐의 가뭄위험을 평가하기 위하여 월강우량 자료로부터 특정시기의 저수율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도록 하였다. 월강우량 변화에 따른 저수율의 변화양상을 예측하기 위하여 저수지 유입량과 방류량에 따른 물수지 분석이 정교하게 이루어져야 하지만, 실질적으로 상류에 또 다른 댐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유입량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도 어렵지만 수시로 상황에 따라 이루어지는 방류량을 적절히 예측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물수지 분석에 의한 저수율 예측은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을 가질수밖에 없을 것으로 판단되어 댐 관리관행에 따라 나타나는 월강우량과 저수율 사이의 회귀분석을 통하여 일정한 법칙을 만들 수 있는지 시도하였다. 다목적 댐인 소양강댐과 충주댐의 1984-2013년의 일별 저수율 자료로부터 저수율 관리관행을 파악할 수 있었는데, 다목적 댐인 관계로 호우시의 홍수피해 예방을 위하여 6월말에는 25-35% 정도의 저수율을 유지하도록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호우가 발생된 이후에는 일정량을 수시로 방류하여 다음 호우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댐의 최저 저수율은 3월말 - 4월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월과 5월에 일정 정도의 강우량만 존재한다면 가뭄피해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저수율 관리 관행을 적용하여 예측되는 강우량 패턴에 따른 저수율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월강우량 자료와 4월 1일 기준의 저수율 자료 사이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전년의 7월부터 당해 3월까지의 월강우량으로부터 4월 1일의 저수율을 예측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기후변화 등에 따른 미래에 예측되는 월강우량 자료로부터 각 댐의 4월 1일 기준 저수율 자료를 예측할 수 있으며, 4월 및 5월의 월강우량과 함께 분석함으로써 가뭄위험을 평가할 수 있는 한 방법으로 적절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추잠기에 있어서 농약, 담배 및 매연이 잠작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f various Pollution on Silkworm Rearing in Autumn)

  • 김윤식;손해용;김낙상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19
    • /
    • 1976
  • 1975년 추잠기에 양잠공해중 크게 영향을 미치는 농약, 담배, 매연의 해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양잠공해의 산견피해율은 농약, 담배, 매연 각각 1.4, 0.6, 01.%이었다. 2. 농약의 피해율은 주로 수도농약으로 49.4%를 점하고 과수, 채소농약은 각각 21.2., 12.3%이었다. 3. 담배공해는 뽕밭 근처의 담배밭, 뽕밭 근처의 담배건조장, 잠실근처의 담배건조장, 잠실근처의 담배밭 순으로 점멸하였으며 피해농가비율은 각각 60, 18, 14, 8%순이었다. 4. 공장 매연의 해는 주로 시멘트공장의 석분 해이었다.

  • PDF

국내 초등학교의 CPTED 적용여부와 학교 폭력 피해율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성북구와 광진구에 위치한 학교들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pplicability of CPTED guideline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and the Crime Rate within its Campuses - Focused On the Schools Included in Seong-Buk and Gwang-Jin -)

  • 황희준;이승우;박현구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3-10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basic correlation between CPTED based 'Safe School Guidelines'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Korean elementary schools. Fundamentally, the guidelines are consisted with phrases that contain a detailed explanation of how the spaces within the school campuses should be and which aspects have to be avoided. Furthermore, the guidelines categorized among the several areas in school are grouped by CPTED elements such as 'Natural Surveillance', 'Territorial Integrity' and 'Natural Access'. The mission of the researchers was to check the applicability of these guidelines for each school samples and investigate which of the categories or subcategories have strong correlation with the current school crime rates. With these results, a new outline of CPTED guideline exclusive to Korean elementary schools will be obtained which can be applied on earlier stages for future school projects.

산불 피해 소나무재의 해부 및 물리학적 특성 (Anatomical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 Wood Damaged by Forest Fire)

  • 황원중;권구중;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1-7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산불 피해를 입은 소나무재의 유효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해부 및 물리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불 피해재의 수지구, 에피델리얼세포와 방사유세포내에는 건전재와 달리 과립모양의 물질이 많이 존재하였으며, 그 외의 목부 조직구조는 정상재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건전재와 비교하여, 산불 피해재는 상대결정화도가 다소 높았으며, 생재함수율과 접선 및 방사단면 흡수량은 다소 낮게 나타났다. 수축율 및 팽윤율과 기본밀도는 정상재와 거의 유사한 값을 보여주었다.

Uniconazole처리가 토마토의 저온 및 고온 피해 경감에 미치는 효과 (Alleviation of Low and High Temperature Injury in Tomato Plants by Uniconazole)

  • 구자형;이영복
    • 농업과학연구
    • /
    • 제27권2호
    • /
    • pp.86-94
    • /
    • 2000
  • 작물의 저온 및 고온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토마토 품종, Fireball과 Patio를 공시재료로 하여 0, 0.001, 0.01, $0.1mg{\cdot}pot^{-l}$의 uniconazole을 처리하였다. 주간/야간의 길이를 12시간으로 하고, 온도를 $25/25^{\circ}C$, $2.5/25^{\circ}C$, $25/2.5^{\circ}C$, $40/40^{\circ}C$로 조절하여 4일간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시피해율과 간장의 억제율은 $2.5/25^{\circ}C$ 처리에서 가장 높았고 엽장의 감소는 $40/40^{\circ}C$에서 가장 높았다. 주야간 고온($40/40^{\circ}C$)을 처리한 경우 개화를 지연시켰고 화뢰의 발달을 저해하고 낙뢰를 초래하였다. 온도처리에 따른 피해율은 Fireball에서 Patio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처리농도에 관계없이 uniconazole은 식물체의 생장을 크게 억제하고 chlorophyll의 함량을 증가시켰으며 개화를 지연시키고 저온 및 고온에 의한 가시피해율을 크게 감소시켰다. 3. 일반적으로 uniconazole처리는 고온 및 저온에 의한 엽록소함량의 감소와 개화지연 및 화뢰의 낙뢰를 막아주는 효과는 크게 인정되지 않았다. 고농도 처리는 오히려 Fireball 품종에서 개화지연과 화뢰의 낙뢰를 조장하는 결과를 보였다. 4. Uniconazole의 저온 피해 경감은 free radical scavenger의 역할을 하는 물질의 생성 및 활성증대가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되나 고온피해에 대한 경감효과의 해석에는 더 진전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인공산성비 처리에 의한 백합나무 묘목의 엽피해와 엽록소함량 변화 (Changes in Chlorophyll Content and Leaf Damages of Liliodendron tulipifera L. Seedlings Treated with Simulated Acid Rain)

  • 윤준혁;이도형;우관수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75-81
    • /
    • 2008
  • 인공산성비 처리가 백합나무 묘목의 잎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공적으로 pH 5.6, 4.9, 3.9, 2.9로 구분된 산성비를 일정기간 처리하여 엽록소 함량, 엽피해율 및 가시적 피해증상을 조사한 결과, 엽록소 함량의 경우, pH 수준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pH 수준별 순차적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고 인공산성비 처리가 지속됨에 따른 엽록소함량의 감소를 보였다. 또한, 엽록소 함량은 세 가지 토양에서 모두 pH 2.9처리구에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엽피해율은 인공산성비 처리 초기시점에 급격한 피해를 보이다가 지속적으로 피해가 나타났다. 또한, pH 수준이 낮아짐으로써 엽피해율도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가시적 피해증상으로는 기형잎, 갈변현상, 괴사반점 형태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전반적으로 고려할 때, 인공산성비 처리는 백합나무 묘목의 잎에서 일어나는 광합성작용 및 물리적 피해를 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근 가로수 및 용재수로 보급 중에 있는 백합나무에 대하여 산성비에 의해 예상되는 내외부 생리적 반응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체계적이고 부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유기재배 배 과수원에서 그물망과 정향유 처리가 큰검정풍뎅이 방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ness of Net Traps and Clove Oil in Controlling Large Black Chafers Beetle (Holotrichia parallela ) in Organic Pear Orchards)

  • 서호진;최으뜸;송장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59-164
    • /
    • 2019
  • 본 연구는 배 유기재배 과수원에서 그물망과 정향유물을 처리하였을 때 큰검정풍뎅이에 의한 잎 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2017년 6월 하순에 보성과 함평의 배 과수원에서 그물망, 그물망 + 정향유, 무처리구 등 3처리구를 두고 큰검정풍뎅이 밀도와 잎 피해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그물망 설치 위치를 달리하여 과수원 외부, 평덕시설의 상부, 평덕시설의 하부에 그물망을 설치하여 포획된 성충 개체수를 계수하였다. 그 결과 그물망 처리구에서 20.4~34.7%, 그물망 + 정향유 혼합처리구에서 21.1~38.1% 수준으로 무처리구보다 낮은 성충수가 포획되었다. 또한 그물망 설치위치에 따른 포획 개체수는 수관하부 설치구 대비 과수원 외곽은 10.9~14.3배, 수관 상부는 5.1~9.1배로 더 많이 포획되었다. 처리구별 잎 피해율을 조사 한 결과 두 지역 모두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그물망, 그물망 + 정향유 처리구에서 잎 피해율이 낮았다. 따라서 큰검정풍뎅이에 의한 잎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그물망을 외곽에 처리하는 것이 실용적 대안이라고 판단된다.

한라산 구상나무 구과 해충 발생 현황 (Occurrence status of cone insects on Korean fir (Abies koreana) in Mt. Halla)

  • 김도성;이영돈;좌명은;이차영;남영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17-420
    • /
    • 2020
  • 한라산 구상나무 군락지에서 구과 해충의 발생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9년 8-10월에 3개 지역의 4개 조사구에서 구과 117개를 수집하여 생육상에서 우화시킨 후 출현종과 개체수를 확인하였다. 지역별 구과 해충의 피해율 조사를 위해 4개 조사구에서 93그루 1,235개 구과의 구과해충 피해를 확인하였다. 조사 결과, 채집된 117개 구과에서 솔알락명나방 233개체, 구상애기잎말이나방 101개체, 똥파리 4개체가 확인되었다. 구과 당 평균 개체수는 솔알락명나방 1.99, 구상애기잎말이나방은 0.86개체로 솔알락명나방이 2배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라산 4개 조사구 전체 구상나무 구과의 평균 피해율은 49.7에서 80.1%로 조사구별 차이를 보였다. 또한, 구과 피해율은 수목 당 구과 수가 많을수록, 피해 구과에서 우화하는 구과해충 수는 구과의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확인된 구과 해충은 수목 당 구과 수가 많으면서 상대적으로 큰 구과를 갖는 구상나무를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격자기반 2차원 범람모형과 다차원법을 이용한 홍수 피해액 산정 (Flood Damage Assessment Using Grid Based Two-Dimensional Flood Inundation Model and Multi-dimensional Method)

  • 박경원;이기하;오성렬;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424-428
    • /
    • 2011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대규모 호우와 예측이 어려운 국지성 호우가 전 세계적으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최근 강수일수의 감소와 강수량 및 집중호우의 증가추세가 보고되고 있다. 집중호우에 따른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한 비구조적 대책으로써 홍수범람 위험지역에 대해서는 침수면적이나 침수심도의 예측은 풍수해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비정방향격자기반 2차원 홍수범람 해석모형은 고정확도의 해석결과를 제공하지만 범람모의를 위한 입력 자료의 구축과 모의시간의 제약성으로 인해 범람예측의 신속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다른 수리 수문 모형과의 결합이 상대적으로 어려우며, 다양한 래스터 DB들과의 호환이 어려워 홍수피해액을 산정 또는 예측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반고를 고려하여 범람류의 전파거동을 해석하는 정방형격자기반의 2차원 홍수범람해석기법과 다차원 피해액 산정기법을 결합하여 2002년 태풍 '루사'로 인한 '동막', '장현' 저수지의 동시붕괴로 인한 피해지역의 침수편입률 및 침수피해액을 산정하고 실측 침수심도와 피해액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모의결과의 정확도를 검증한다.

  • PDF

나이브 베이즈 분류와 기상예보자료 기반의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 전망을 위한 저수율 예측 다중선형 회귀모형 개발 (Development of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to Predict Agricultural Reservoir Storage based on Naive Bayes Classification and Weather Forecast Data)

  • 김진욱;정충길;이지완;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8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2-112
    • /
    • 2018
  • 최근 이상기후로 인한 국부적인 혹은 광역적인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추세이며 발생횟수 뿐 아니라 가뭄 심도 및 지속기간이 과거보다 크게 증가하여 그에 따른 피해가 커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특히, 2014~2015년도의 유례없는 가뭄으로 인해 저수지 용수공급이 제한되면서 많은 농가들이 피해를 입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기상청 3개월 예보자료를 활용 할 수 있는 농업용 저수지 저수율 다중선형 회귀 모형을 개발하여 저수율 전망정보를 생산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에 적용 가능한 저수율 다중선형 회귀 모형개발을 위해 5개의 기상요소(강수량,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기온, 평균풍속)와 관측 저수지 저수율을 활용했다. 기상자료는 2002년부터 2017년까지의 기상청 63개 지상관측소로부터 기상관측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저수율 전망 단계를 세 단계로 나누었다. 첫 번째 단계로 농어촌공사에서 전국 511개 용수구역을 대상으로 군집분석 및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해 제시한 65개 대표저수지를 대상으로 기상자료 및 관측 저수율 자료를 이용하여 다중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기상요소와 저수율을 독립변수로 하여 월별 회귀식을 산정한 결과 결정계수($R^2$)는 0.51~0.95로 나타났다. 두 번째 단계로 대표저수지의 회귀분석 결과를 전국의 저수지로 확대하기 위해 나이브 베이즈 분류법을 적용하여 전국 3098개의 저수지를 65의 군집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군집에 해당되는 월별 회귀식을 산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전국 저수지로 산정된 회귀식과 농업 가뭄 예측을 위해 기상청의 GS5(Global Seasonal Forecasting System 5) 3개월 예보자료를 수집하여 회귀식에 적용해 2017년 전국 저수지의 3개월 저수율 전망정보를 생산하였다. 본 연구의 전국 저수지 군집결과 기반의 저수율 전망기술은 2017년도 관측 저수율과 비교한 결과 유의한 상관성을 나타냈으며 이 결과는 추후 농업용 저수지의 물 공급 및 농업가뭄 전망 자료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