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질골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33초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임플란트 경부 디자인이 골응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Cervical design effect of dental implant on stress distribution in crestal cortical bone studied by finite element analysis)

  • 김경탁;조광헌;이청희;유원재;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85-393
    • /
    • 2009
  • 연구목적: 임플란트 경부 디자인의 차이가 경부 치밀골의 응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재료 및 방법: 몸체 형상은 유사 (직경 4.3 mm, 길이 10 mm)하나 경부 디자인이 internal형, external형, 및 submerged형으로 다른 3종의 임플란트 시스템 ((주)덴티스, 대구, 대한민국)에 대하여 축대칭 유한요소모델을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악골 폭경은 7 mm로 동일하게 모델링하였고 하중 조건으로는 임플란트 장축에 평행한 수직하중 50 N, 임플란트 장축에 $45^{\circ}$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사력 50N을 설정하였다. 결과: 해석한 3종의 임플란트 모두 경부 피질골에 응력집중을 발생시켰으며 디자인 차이에 따른 응력 수준의 차이가 관찰되었다. 경부 피질골의 최대 응력은 수직력 조건에서 internal형, submerged형, external형의 순으로 컸으며, 그 값은 각각 2.71, 2.60, 2.48 MPa였다. 경사력 조건에서는 internal형, external형, submerged형의 순으로 컸으며 그 값은 각각 9.30, 9.14, 8.97 MPa였다. 결론: 임플란트 경부 디자인이 주위 치밀골의 응력 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노인덴테이션을 이용한 인체 피질골 골층판의 물성연구 (Mechanical properties on nanoindentation measurements of osteonic lamellae in a human cortical bone)

  • 최환석;송정일;주원경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27-528
    • /
    • 2006
  • In the proposed research plan, the effects of anisotropic and time-dependent mechanical properties on nanoindentation measurements of osteonic lamellae in a human cortical bone are investigated. The most popular method(Oliver-Pharr method) in nanoindentation data analysis is based on the assumption of elastic isotropy. Since cortical bone has exhibited anisotrop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effects of anisotropy on nanoindentation measurement for cortical bone. By comparison with the contact area obtained from monitoring the contact profile in FEA simulations, the Oliver-Pharr method was found to underpredict or overpredict the contact area due to effects of anisotropy. The mount of error depended on the indentation orientation. The indentation modulus results and were also similar to moduli calculated from mathematical model. The Oliver-Pharr method has been shown to be useful for providing first order approximations in analysis of anisotropic mechanical properties of cortical bone, although the indentation modulus is influenced by anisotropy.

  • PDF

골다공증 검사 시 검사부위에 따른 결과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Result of Test Site on BMD)

  • 홍동희;정홍량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9-180
    • /
    • 2012
  • 향후 21세기는 지금껏 경험해 보지 못한 고령화 사회로서, 골다공증은 심혈관 질환 및 당뇨병에 이어 가장 중요한 노인 질환으로 대두 되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골다공증에 대한 조기 진단과 예방을 위한 진단방법은 매우 중요하나 잘못된 진단으로 조기발견을 놓칠 수 있게 된다. 여러장비 중 Radiographic Absorptiometry는 단순 X선 촬영을 통해서 피질골(손의 metacapal bone)의 두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간단하지만 약간의 오류를 갖고 있어 검사부위의 변환을 통해 결과값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골밀도 변화에 따른 cage와 나사를 이용한 추체간 유합술의 유한요소 해석 (FEM Analysis of Lumbar Interbody Fusion using the Cage and Screw in Relation to Bone Mineral Density)

  • 김현수;박정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525-530
    • /
    • 2004
  • Cage와 나사를 이용하여 유합된 추체의 3차원 유한 요소 모델을 제작하여, 골밀도의 변화에 따른 골다공증과 cage의 위치 변화에 대해, Von-Mites 최대 응력과 최대 변형량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해면골의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피질골의 응력은 감소하고, 해면골에서의 응력은 증가하였다. 또한 cage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서 추체의 응력 분포의 양상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수술의 성공도를 높이고자 한다.

중수골의 거대 뚜렛 외골증: 증례 보고 (Huge Turret Exostosis of Metacarpus: A Case Report)

  • 강신택;김태형;김현우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9-112
    • /
    • 2012
  • 뚜렛 외골증은 수부의 신전기전 아래 골막하 골이 매끈한 돔 형태로 피질 바깥으로 침착되는 것으로 대부분은 중위지골과 원위지골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반해 거대한 뚜렛 외골증이 중수골에 생긴 매우 드문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원위 요골 골절의 수장측 금속판 고정술 후 발생한 신전건 활막염에 대한 초음파를 이용한 진단: 증례 보고 (Ultrasonographic Diagnosis of Extensor Tenosynovitis Caused by Dorsal Screw Prominence after Volar Plate Fixation of Distal Radius Fracture: Case Report)

  • 임태강;김상열;강홍제;하대호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0-64
    • /
    • 2013
  •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한 수장부 금속판 고정술이 많이 사용되면서, 합병증으로서, 원위 요골 배측 피질골을 관통한 나사못으로 인해 신전건 활막염이나 파열이 발생할 수 있슴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나사못에 의한 배측 피질골의 관통여부를 표준 방사선 촬영만으로 정확히 평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저자들은 수장측 금속판 고정술 후 발생한 신전건 건활막염 및 부분 파열이 의심된 환자에 대하여 수술 전 초음파를 이용하여 나사못에 의한 건활막염 및 활막 종괴 형성 소견을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각종 지대주 및 고정체 종류에 따른 골유착성 임플랜트의 응력 분포에 관한 삼차원 유한요소분석적 연구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osseointegrated implant on stress distribution in different abutment designs and fixture diameters)

  • 권호범;김창회;김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99-721
    • /
    • 1996
  • 브로네마르크가 골유착성 임플랜트를 소개한 이래로, 현재 골유착성 임플랜트에 의한 치료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골유착성 임플랜트를 이용한 초기의 치료는 무치악 환자의 저작기능 회복에 중점을 두어 왔다. 그러나 현재는 환자와 시대의 요구에 따라서 심미성이 주요한 관심사가 되었다. 그래서 표준 지대주보다 더 심미적인 지대주 시스템들이 개발되었다. 다양한 직경의 임플랜트 고정체에 관한 임상가들의 요구에 의해 직경 이 큰 고정체가 생산되기 시작했으며, 5mm의 직경을 갖는 고정체가 그 예이다. 골유착성 임플랜트를 사용하여 보철치료를 할 때, 골과 고정체의 계면은 보철물과 지대주에 가해지는 교합력을 인접골에 전달하게 되며, 이것은 계면에 생물학적인 반응을 야기할 수 있다. 임플랜트의 형태는 골흡수와 같은 바람직하지 않은 반응을 일으키지 않도록 고안되어야 하며, 임플랜트 자체가 교합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골유착성 임플랜트 시스템을 임상에 사용하려고 할 때 이것의 생역학적 분석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삼차원 유한요소분석적 방법을 사용하여 3.75mm직경을 갖는 고정체에 표준 지대주, 이세티콘 지대주, 마이러스콘 지대주를 연결한 모델과 5mm 직경을 갖는 고정체에 표준 지대주를 연결한 모델에 각각 수직하중, 경사하중, 수평하중을 가했을 때의 응력분포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모든 모델에서 금나사의 경부, 금원주, 지대주에 응력의 집중이 일어났다. 2. 임플랜트 고정체에서는 고정체 상방 2/3, 그리고 지대주와 접촉하는 고정체 상면에서 응력의 집중이 관찰되었다. 3. 골에서는 상부 피질골에 응력의 집중이 관찰되었으며, 해면골에서는 두드러진 응력의 집중을 보인 부위는 없었으나 고정체의 근단부 주위 해면골에서의 응력값이 비교적 높았다. 4. 5mm 직경의 고정체를 사용하지 않은 모델 중에서, 표준 지대주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응력분산에 유리하였으며 마이러스콘 지대주를 사용한 경우가 가장 불리하였다. 5. 3가지 하중 조건하에서 수평하중과 경사하중의 경우가 수직하중의 경우보다 더 높은 응력값이 관찰되었다. 6. 응력값은 골에서보다 임플랜트 내부에서 훨씬 높았다.

  • PDF

노인 환자의 급성 외상성 견관절 전방 탈구에서 회전근개 파열과 동반된 거대 Hill-Sachs 병변에 대해 간접 정복 및 지지대 목적의 동종 장골 삼중 피질골 이식을 통한 치료 1예 (Large Hill-Sachs Lesion Combined with a Rotator Cuff Tear in an Acute Traumatic Anterior Dislocation of the Shoulder in an Elderly Patient Treated with an Allogenic Iliac Tricortical Bone Graft)

  • 현윤석;임진규;백승하;박진호;이승진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88-192
    • /
    • 2020
  • 본 증례에서는 노인 환자에 발생한 견관절의 급성 외상성 전방 탈구에서 회전근개 파열과 동반되어 생긴 거대 Hill-Sachs 병변에 대한 치료법으로 상완 이두근 구를 통한 간접 정복과 동종 장골 삼중 피질골 이식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6개월째, 회전근개의 치유 및 골유합을 확인하였다. 또한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houlder score 95점, 전방 능동 거상 155도, 외전 120도, 외전 90도에서 외회전 70도와 내회전 30도의 운동 범위로 만족스러운 임상결과를 보였다. 노인 환자에 발생한 견관절의 급성 외상성 전방 탈구에서 회전근개의 파열과 동반된 거대 Hill-Sachs 병변 대해 본 수술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골절단을 이용한 급속 치아이동 후 치수 및 치주조직 변화 (Tissue changes of pulp and periodontium on rapid tooth movement with osteotomy in dogs)

  • 강경화;김은철;이선경;임채웅;마쓰다 기꾸;태기출;김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1-142
    • /
    • 2004
  • 본 연구는 골절단을 이용한 치아-치조골 분절의 급속 치아이동 후 치수, 치주인대 및 치조골의 변화를 유성견에서 평가하고자 하였다. 하악 제4소구치의 근심, 원심, 치근단 부위에서 피질골을 절단하여 치아-골 분절을 형성하고 하악 제3소구치를 발거하면서 협측, 설측 부위의 피질골을 삭제하였다. 1주 휴지기 부여에 따라 휴지기군과 비휴지기군으로 나누어 치아의존형 견인장치로 6일 동안 견인하고 강화기를 거친 후 0주, 1주, 2주, 4주, 6주, 8주에 희생시켜 치수 치주인대 및 치조골의 조직 변화를 임상적, 방사선적, 조직학적 및 면역화학적으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아이동 양과 강화기 동안의 조직 치유 양상에서 휴지기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2. 견인측에서 골형성은 강화기 8주까지 계속되었는데 강화기 1-2주에 가장 활발하였으며 6-8주간의 변화는 적었다. 3. 비휴지기군의 강화기 1주에서 치조골 흡수 및 파골세포 출현, 염증세포 침윤이 가장 많았으며, 특징적으로 파상아세포가 압박측의 치주인대와 치수 내에 나타났다. 4. $TGF-\beta$는 치조골의 골기질 및 골모세포, 파골세포, 치수 내 파상아세포에서 강양성 발현을 보인 반면 치수, 백악모세포, 무세포성 백악질에서 경미한 양성 발현을 나타내는 부위 특이성이 있었다. 5. $TGF-\beta$는 견인측 치주인대의 치조골에 인접한 혈관 및 치주인대세포, 골모세포에서 강화기 초기 1-2주에 주로 발현되었으며 6주 이후에는 발현이 크게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