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부변형

Search Result 83,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tudy on Fuzzy Minutiae-Based Matching Method (퍼지를 이용한 지문 정합에 관한 연구)

  • Eom, Ki-Yol;Kang, Min-Koo;Hong, Da-Hye;Kim, Mun-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8.04a
    • /
    • pp.359-361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the fuzzy minutiae-based matching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difference between template and imput fingerprint image. Minutiae-based matching method is the most well-known and widely used method for fingerprint matching. However, fingerprint pressure, dryness of the skin, skin disease, sweat, dirt, grease, and humidity in the air cause the noisy fingerprint images and the distortion is produced by users moving their fingers on the scanner surface. The input image may be rejected from the Fingerprint Recognition System, because the distorted fingerprint image is very different from the original image. Large tolerence boxes and fuzzy discriminant func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 accuracy.

  • PDF

A Face Detection using Pupil-Template from Color Base Image (컬러 기반 영상에서 눈동자 템플릿을 이용한 얼굴영상 추출)

  • Choi, Ji-Young;Kim, Mi-Kyung;Cha, Eu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1
    • /
    • pp.828-831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detect human faces from color image using pupil-template matching. Face detection is done by three stages. (i)separating skin regions from non-skin regions; (ii)generating a face regions by application of the best-fit ellipse; (iii)detecting face by pupil-template. Detecting skin regions is based on a skin color model. we generate a gray scale image from original image by the skin model. The gray scale image is segmented to separated skin regions from non-skin regions. Face region is generated by application of the best-fit ellipse is computed on the base of moments. Generated face regions are matched by pupil-template. And we detection face.

  • PDF

Real-Time Human Tracking Using Skin Area and Modified Multi-CAMShift Algorithm (피부색과 변형된 다중 CAMShift 알고리즘을 이용한 실시간 휴먼 트래킹)

  • Min, Jae-Hong;Kim, In-Gyu;Baek, Joong-Hwa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5 no.6
    • /
    • pp.1132-1137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Modified Multi CAMShift Algorithm(Modified Multi Continuously Adaptive Mean Shift Algorithm) that extracts skin color area and tracks several human body parts for real-time human tracking system. Skin color area is extracted by filtering input image in predefined RGB value range. These areas are initial search windows of hands and face for tracking. Gaussian background model prevents search window expending because it restricts skin color area. Also when occluding between these areas, we give more weights in occlusion area and move mass center of target area in color probability distribution image. As result, the proposed algorithm performs better than the original CAMShift approach in multiple object tracking and even when occluding of objects with similar colors.

Reviews Value-in-Use of Specific Proteins Induced from Biological Resources (생물자원 유래 특이적 단백질의 이용가치에 관한 고찰)

  • Hyun, Dong-Yun;Kim, Ok-Tae;Bang, Kyong-Hwan;Kim, Young-Chang;Kang, Seung-Weon;Cha, Seon-Woo;Kim, Se-Yu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05a
    • /
    • pp.3-3
    • /
    • 2010
  • 소나무에서 추출해낸 천연유기유황(Natural Sulfur)의 의학적 가치는 1972년 Jacob 박사와 Herschler 박사가 오래곤 과학대학에서 천연식이유황(Natural Sulfur/MSM)을 가지고 표피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면서 keratin 단백질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 되기 시작하였다. 세포내 골격물질은 크게 형태와 조성에 따라서 actin microfilament, microtubule, 그리고 intermediate filament(IF)로 구분된다. keratin의 특성은 keratin intermediate family중에서 K17 IF가 새로운 기능을 나타내는데 피부세포의 성장에 핵심적인 조절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 지면서 Dr. Pierre A. Coulombe(Th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연구실은 브로컬리와 같은 십자화과 식물 등에 과량 존재하는 항산화 및 항암물질인 sulforaphane이 K17의 발현을 특이적으로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아내어 피부박리와 같은 피부손상을 기능적으로 복구시킬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재는 수포성 표피박리증 환자군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K14 돌연변이와 동일한 유전적 변형을 일으킨 생쥐모델을 이용한 약물 효과 검증과 전 임상단계의 인체실험을 함께 진행중에 있다. Mark E. Van Dyke 박사(Wake Forest Institute for Regenerative Medicine Medical Center)는 인간의 머리털에서 유래된 keratin으로 외상에 의한 신경 절단이나 압좌(압박손상)는 현재 다른 부위의 신경을 잘라 이식하거나 절단된 신경 양끝을 인공도관(conduit)으로 연결해 신경재생을 유도하는 미세수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신경재생을 유도하는 도관에 keratin을 주입하면 신경이식과 맞먹는 신경재생 성공률을 기대할 수 있다고 하였다. 앞으로는 동물성 keratin뿐만 아니라 식물성 keratin도 함께 연구할 필요가 있다. 동물성 keratin의 농업적 이용은 가금류 깃털의 keratin을 축출하여 친환경 육묘용 용기를 만드는데 있다. 이 용기는 자연조건에서 생분해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 PDF

The Effect of Hydrolyzed Jeju Ulva pertusa on the Proliferation and Type I Collagen Synthesis in Replicative Senescent Fibroblasts (제주 구멍갈파래 가수분해물에 의한 노화된 섬유아세포 증식 및 콜라겐 합성증진 효과)

  • Ko, Hyun Ju;Kim, Gyoung Bum;Lee, Dong Hwan;Lee, Geun Soo;Pyo, Hyeong Bae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39 no.3
    • /
    • pp.177-186
    • /
    • 2013
  • Skin dermal fibroblast is the major collagen-producing cell type in human skin. As aging process continues in human skin, collagen production is reduced and fragmentation is increased, which is initiated by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This imbalance of collagen homeostasis impairs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dermal collagenous extracellular matrix (ECM), thereby promoting skin aging. Cysteine-rich protein 61 (CCN1), a member of the CCN family, negatively regulates collagen homeostasis in primary human skin dermal fibroblast cells. It is known in aging fibroblast cells that elevated CCN1 expression substantially reduces type I procollagen and concurrently increases MMP-1, which initiates fibrillar collagen degradation. And proliferation rate of aging fibroblast cells is reduced compared to the pre-aging fibroblast cells.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replicative senescence dermal fibroblast cells in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MMP-1 and decreased the production of type I procollagen. Our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replicative senescence dermal fibroblast cells increased in the expression of CCN1 and decreased in the proliferation rate. Hydrolyzed Ulva pertusa extracts are the materials to improve photo-aging by reducing the expression of MMP-1 that was increased by ultraviolet and by promoting the synthesis of new collagen from fibroblast cells. In this study, we also investigated the hydrolyzed U. pertusa extract to see whether it inhibits CCN1 protein expression in the senescence fibroblasts. Results showed that the hydrolyzed U. pertusa extract inhibited the expression of MMP-1 and increased the production of type I procollagen in the aging skin fibroblast cells cultured. In addition, the proteins that regulate collagen homeostasis CCN1 expression were greatly reduced. The hydrolyzed U. pertusa extract increased the proliferation rate of the aging fibroblast ce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plicative senescent fibroblast cells may be used in the study of cosmetic ingredients as a model of the natural aging. In conclusion, the hydrolyzed U. pertusa extract can be used in anti-wrinkle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to improve the natural aging skin care as well as photo-aging.

SURGICAL CORRECTION OF A CUPID'S BOW USING A DOUBLE Z-PLASTY: REPORT OF A CASE (중복 Z-성형술을 이용한 큐피드활의 교정)

  • Ryu, Sun-Youl;Seo, Il-Young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v.27 no.1
    • /
    • pp.66-70
    • /
    • 2005
  • Cupid's bow, upper lip, columella, and ala of nose are esthetically important, in which their symmetrical plasties determine success or failure of the surgery in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Z-palsty and its modifications are simple and effective. The double Z-plasty is economical in surgical time and esthetics in reconstructing the cupid's bow compared with other methods. We report a 29-year-old male patient who represented reversed cupid's bow and whistle deformity after the primary repair of the cleft lip. He was corrected the cupid's bow using a double Z-plasty. The reversed cupid's bow was corrected to a normal shape and the whistle deformity disappeared. The tightness of the upper lip was relieved after the operation. The double Z-plasty was esthetically successful because the procedure was limited in the vermilion and did not produce a new scar on the skin. Furthermore, the lip tubercle became protuberant. The cupid's bow was symmetrically smoothly curved at 4 years after the oper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double Z-plasty is simple, less traumatic to the surrounding tissues, and suitable for the correction of whistle deformity.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for Thyroidectomy ; A Modification of the Conventional Thyoidectomy Technique (최소침습 갑상선 수술법 :전통적 갑상선 수술법의 변형술식)

  • Park Cheong-Soo;Chung Woung-Youn;Chang Hang-Seok
    • Korean Journal of Head & Neck Oncology
    • /
    • v.16 no.2
    • /
    • pp.177-181
    • /
    • 2000
  • 배경 및 목적: Theodor Kocker에 의해 일반화된 전통적인 갑상선 수술방법은 갑상선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수술범위와 상관없이 광범위한 수술범위로 인한 조직 손상으로 인해 수술후 환자들의 여러가지 불편감은 물론 경부의 넓은 부위의 통증과 경부 피부부종, 장액종, 혈종 등과 같은 후유증을 동반할 수 있다. 최근 본 저자들은 이같은 전통적 갑상선 수술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작은 피부절개($3{\sim}4.5cm$) 후 피하 피판(subplatysmal skin flap) 없이 직접 갑상선으로 접근하는 새로운 수술기법으로서 최소침습 갑상선 수술기법을 개발하였기에 그 술식을 소개하고 전통적인 갑상선 절제술에 대한 우월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 15일 부터 2000년 1월 14일까지 573예의 갑상선 수술 예 중 최소침습 갑상선절제술이 시행되었던 466예와 1998년 1월 15일부터 1999년 1월 14일까지 전통적 갑상선 수술을 시행한 549예 중 거대 종양(양성>6cm, 악성>5cm), 흉골하 선종, 국소진행암, 재발암, 측경부의 다발성 림프절 전이가 있었던 112예를 제외한 437예의 임상병리적 특성과 피부절개 길이, 수술 시간, 수술중 출혈양, 수술후 진통제 요구빈도 및 재윈기간, 수술 후 합병증 발생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두 군간의 임상병리적 특성상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피부절개 길이($3.7{\pm}0.7cm,\;vs\;9.6{\pm}3.3cm$), 수술 시간($57.6{\pm}11.7$분 vs $85.2{\pm}32.3$분) 수술 중 출혈양($18.4{\pm}15.3ml\;vs\;43.1{\pm}21.8ml$), 수술후 재원기간($1.6{\pm}0.5$일 vs $4.3{\pm}1.6$일), 및 수술후 진통제 요구빈도가 전통적 수술군에 비해 최소침습 수술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p<0.05), 수술후 장액종 및 혈종 형성, 일시적인 음색변화, 일시적인 저칼슘혈증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빈도는 각각 4.3%(n=20)와 4.8%(n=21)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최소침습 갑상선 수술법은 새로운 수술기구의 도입 없이도 갑상선 수술의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안전하고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으며, 기존 수술법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통적 인 수술법을 대치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Flexible/Stretchable Electronics Based on Transfer Printing Technology

  • Song, Ye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104-104
    • /
    • 2014
  • 미래형 전자소자는 높은 성능과 더불어 소형화, 박막화를 거쳐 휘어질 수 있고(flexible), 착용이 가능하며(wearable), 접을 수 있거나(foldable) 늘어날 수 있는(stretchable) 방향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실리콘, 갈륨비소 등 무기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전자소자의 경우 그 성능은 우수하나 딱딱하고 휘어질 수 없는 반면, 유기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 보다 유연한 구조를 가질 수 있지만 성능이나 신뢰성면에서 아직 개선할 점이 많이 남아있다. 최근에는 성능이 우수한 무기소재를 초박막 형태로 구성하여 이를 휘거나 늘어날 수 있는 기판에 부착하는 형태의 소자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박막트랜지스터, LED, CMOS 회로, 태양 전지 및 각종 센서 등이 휘거나 심하게 변형될 수 있는 형태로 진화하였으며, 기존에 구현하기 어려웠던 피부에 부착이 가능한 전자소자, 반구형 구조를 갖는 이미지 센서 등의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무기소재 박막을 플렉서블 기판에 부착시키는 데에는 전사 프린팅(transfer printing) 방법이 핵심기술로서 주로 이용된다. 본 튜토리얼은 플렉서블/스트레쳐블 전자소자의 구현을 위한 전사 프린팅 방법을 소개하고, 구체적인 공정 방법과 이를 이용한 독특한 형태 전자소자의 개발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 PDF

전기유변성 유체

  • 문탁진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v.10 no.1
    • /
    • pp.1-9
    • /
    • 1994
  • 어떤 유체는 전기장에서 순간적으로 고체화한다. 이러한 다변형의 물질은 더욱 신속하고 적절한 기계의 앞날을 약속하고 있다. T-1000 (영화 터미네이터2; 심판의 날에서 생동하는 거의 불멸의 로보트)는 능숙하게 액체에서 고체로 변환다. T-1000은 총탄으로 관통되었을 때, 로보트의 액체-금속 피부는 관통된 구멍으로 흘러 들어가고, 산산조각이 났을때 T-1000은 녹아버린 후에 다시 제원형으로 응결된다. 전기유변성 유체는 이 영화제작자의 상상력에 어느 정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기유변성 유체는 전기장이 있는 곳에서 변형을 일으키는 물질이다. 주어진 전기장의 세기에 따라 전기유변성 유체는 물처럼 자유롭게 흐르기도 하고, 꿀처럼 진득하게 흐르기도 하며 제라틴처럼 고체화하기도 한다. 참으로 물질이 수천분의 일초사이에 한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할 수 있는 것이다. 전기유변성 유체는 만들기 쉽다; 절연액체에 미시적 입자가 분산된 것이다. 그러나 아직은 상업용으로 쓰이지 못하고 있다. 여러가지 문제점 중의 하나가 고체로서는 구조적으로 약하고, 또, 액체로서는 마찰성이 문제이며, 특히 고온에서는 화학적으로 불안정하다는 것이다.

Audio-Visual Integration based Multi-modal Speech Recognition System (오디오-비디오 정보 융합을 통한 멀티 모달 음성 인식 시스템)

  • Lee, Sahng-Woon;Lee, Yeon-Chul;Hong, Hun-Sop;Yun, Bo-Hyun;Han, M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707-710
    • /
    • 2002
  • 본 논문은 오디오와 비디오 정보의 융합을 통한 멀티 모달 음성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음성 특징 정보와 영상 정보 특징의 융합을 통하여 잡음이 많은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사람의 음성을 인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음성 특징 정보는 멜 필터 캡스트럼 계수(Mel Frequency Cepstrum Coefficients: MFCC)를 사용하며, 영상 특징 정보는 주성분 분석을 통해 얻어진 특징 벡터를 사용한다. 또한, 영상 정보 자체의 인식률 향상을 위해 피부 색깔 모델과 얼굴의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찾은 후 강력한 입술 영역 추출 방법을 통해 입술 영역을 검출한다. 음성-영상 융합은 변형된 시간 지연 신경 회로망을 사용하여 초기 융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실험을 통해 음성과 영상의 정보 융합이 음성 정보만을 사용한 것 보다 대략 5%-20%의 성능 향상을 보여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