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복변화

Search Result 970,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오대산국립공원의 용도지구 및 토지피복변화

  • Han, Gap-Su;Park, Gye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85-8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오대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용도지구의 변화와 이에 따른 토지피복 변화경향을 파악하였다. 용도지구의 경우 취락지구의 면적이 증가하여 공원 개발의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토지피복변화에서도 공원 전체면적 중 개발지와 나대지의 면적증가에 따른 녹지의 감소가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각 지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 자연보존지구와 자연환경지구에서 녹지의 감소와 나대지의 증가경향을 보였으며, 기존 개발성격의 용도지구인 취락지구와 집단시설지구의 경우 개발지의 증가가 두드러져 토지이용특성에 있어서 개발이 심화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결과를 통해 개발성향의 취락지구의 증가가 토지피복변화의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지구의 경우 토지피복분포상개발지가 증가하여 개발이 심화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향후 토지피복변화 경향을 고려하여 공원계획의 수립시 용도지구의 조정을 검토하며, 각 용도지구에서의 토지피복변화를 고려한 공원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 PDF

Urban Temperature Variation by Land Cover of Cheongju City (청주시 토지피복 분포에 따른 도시 기온 변화)

  • Oh, Si-Young;Park, Jong-Hwa;Na, Sang-Il;Park, Jin-Ki;Baek, Sh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66-266
    • /
    • 2012
  • 오늘날 도시는 인간 중심적으로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채 개발위주의 발전이 계속되고 있으며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도심지에 콘크리트와 아스팔트의 비율이 증가하고 농경지와 녹지가 감소하는 등 도시주변의 피복 변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이와 같이 열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도시의 급성장은 각종 인공 열과 대기오염 물질의 증가와 함께 도시상공의 기온을 상승시켜 도시의 기온이 주변 지역보다 높아지는 열섬현상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아시아지역에서도 도시열섬현상 대책수립이 활발히 진행되어오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열섬완화 대책 수립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자연토지피복은 농경지, 나지, 수면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피복으로 구성되며 각 피복특성에 따라 도시내부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도시계획에 반영될 수 있는 자연피복의 종류와 피복비율의 적정조합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를 대상으로 농경지를 포함하는 녹지의 감소, 공업단지의 증가에 따른 열 환경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청주시의 연도별 토지피복 분포 현황과 과거 기상자료를 통해 토지피복 분포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토지피복은 농경지, 녹지, 주거지, 공업 단지 및 수역으로 분류하였으며, 대상지역의 기후 특성 파악을 위하여 청주시 총 면적에 대한 면적비율의 증감추이와 그에 따른 온도 변화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청주시는 녹지의 경우 정체 또는 감소추세를 나타낸 반면 공업단지는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나타내었다.

  • PDF

Prediction of Urban Land Cover Change Using Multilayer Perceptron and Markov Chain Analysis (다층 퍼셉트론(MLP)과 마코프 체인 분석(MCA)을 이용한 도심지 피복 변화 예측)

  • Bhang, Kon Joon;Sarker, Tanni;Lee, Jin-D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6 no.2
    • /
    • pp.85-94
    • /
    • 2018
  • The change of land covers in 2026 was prediceted based on the change of urbanization in 1996, 2006 and 2016 in Seoul and surrounding areas in this study. Landsat images were used as the basic data, and MLP (Multilayer Perceptron) and MCA (Markov Chain Analysis) were integrated for future prediction for the study area. The land cover transition potentials were calculated by setting up sub-models in MLP and the driving factors of land cover transition from 1996 to 2006 and transition probabilities were calculated using MCA to generate the land cover map of 2016. This was compared to the land cover map of 2016 from Landsat. MLP and MCA were verified and the future land covers of 2026 were predicted using the land cover map from Landsat in 2006 and 2016. As a result, it was predicted that the major land cover changes from 1996 to 2006 were from Barren Land and Grass Land to Builtup Area, and the same trend of transition will be remained for 2026.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pplied for the first time to predict the future coating change in Seoul and surrounding areas by the MLP-MCA method.

Development of Prediction Technique for Future Vegetation Information Using NOAA AVHRR Image and Weather Data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 (NOAA AVHRR 위성영상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기상자료를 이용한 미래 식생정보 예측 기법 개발)

  • Ha, Rim;Shin, Hyung-Jin;Park, Geun-Ae;Kim, Seong-J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162-168
    • /
    • 2007
  • 기후변화는 강수유형, 기온상승과 일사량의 변화로 인한 증발산량의 변화, 유역 식생피복변화로 인한 지표-대기 관계의 변화와 같은 현상을 통해 지역 부존 수자원과 유출량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지표면의 76%를 차지하고 있는 식생피복은 지표와 대기 사이의 물 순환과정에서 중요한 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넓은 지역에 대한 식생피복의 파악이 용이한 NOAA 위성의 AVHRR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 센서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규화 식생지수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를 통하여 현 식생정보를 정량화하였다. 이로부터 토지피복별 NDVI와 기상인자(기온, 강수량, 일조시간, 풍속, 습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기상인자로 부터 토지피복에 따른 미래 NDVI를 추정하였다.

  • PDF

Land Cover Classification in order to Predict Soil Moisture Using Satellite Image (인공위성 영상을 통해 토양수분 예측을 위한 토지피복 분류)

  • Yu, Myung-Su;Choi, Cha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22-322
    • /
    • 2011
  • 지표에서의 토양수분은 작은 구성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여러 수문 현상을 연계하는 매우 중요한 인자로써 최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토양수분은 침투나 침루를 통하여 강우와 지하수를 연결하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강우사상에 따른 유출특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증발산을 통하여 에너지 순환을 연결하는 기능을 하는 인자로 기후변화와 인간의 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지난 수십 년간 산림개간과 도시화는 토지이용의 변화를 초래하여 토지피복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도시화는 불투수층을 증가시켰고, 산림개간으로 산림이 농장으로 변하여 침투율을 감소시켜 유출률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이처럼 토지피복의 변화는 토양수분의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분류를 위해 구름의 영향이 적은 Landsat TM 영상을 사용하여 청미천 유역의 토지피복을 분류하여 토지피복도를 작성하였다. 청미천 유역은 현재 국제수문관측사업(IHP)의 일환으로 체계적인 수문관측이 진행되고 있는 지점으로, 추후 인공위성 영상을 통해 산정한 토양수분 자료를 비교할 수 있는 유역이다. Landsat TM 영상은 2009년 5월 23일에 관측된 115-34(path row) 영상으로 구름이 거의 없는 날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다중 스펙트럴 위성영상인 Landsat TM 영상은 30m 공간해상도로써 토지피복분류와 식생 등의 정보를 추출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청미천 유역의 위성영상에 대하여 영상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무감독분류와 감독분류기법을 적용하여 토지피복을 분류하였다. 분류한 토지피복도는 국토해양부에서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WAMIS) 을 통하여 제공되는 토지피복도와 비교하였다.

  • PDF

Fundamental Study of Ilmenite Type Coated Arc Welding Electrode - Effect of the variation of the basicity in ilmenite type coated arc welding electrode on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mechanical porpeties - (일미나이트계 피복아아크 용접봉의 기초적 연구 - 일미나이트계 피복아아크 용접봉의 염기도가 화학성분 및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

  • 권영수;손병영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2 no.2
    • /
    • pp.1-6
    • /
    • 1984
  • 피복아아크 용접봉(이하 용접봉이라 함)의 피복제는 염기도에 따라 산성, 중성, 염기성으로 대별할 수 있다. 용접에서의 화학야금반응은 제강의 화학야금반응과 원리는 비슷하나 양자간 크게 다른 점은 용접시의 반응시간이 극히 짧다는 점이다. 이와같이 반응시간이 짧다는 점 이외에도 작업자가 직접 용융반응을 지켜 보면서 반응후에 나타나는 제반 문제점에 대비하여야 하는 어려운 점이 있다. 제강반응은 전문가만의 독특한 기술인 반면 용접은 용접봉 제조자 뿐만 아니라, 용접작업자 고유의 기술이므로 용접야금반응을 상식화 하고자 하는데 본 고는 의의를 두고 있다. 피복제 중에서의 염기도의 변화, 즉 염기도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 탄산칼슘의 양을 임의로 변화시키므로서 다음과 같은 현상을 기대할 수 있다. (1)용접 작업성의 변화 (2)용착 금속의 화학성분 변화 (3)용착금속의 조직 변화 (4) 용착금속내의 수소 함유량 변화 (5)용착금속의 기계적 성질변화 등이다.

  • PDF

A Study on distribution and change of NDVI with Land-Cover change in City of Sungnam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식생지수(NDVI)분포 및 변화에 관한 연구: 성남시를 중심으로)

  • 성효현;박옥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8 no.2
    • /
    • pp.275-28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the NDVI change pattern and landcover change pattern in the City of Sungnam during 1985 and 199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NDVI of the level 6 and 7 is decreased and the level 5 is increased in the area where Forst area changed to the other land cover during 1985 and 1996. (2) In the area where Agricultural-Pasture changed to forest, NDVI level became higher certainly during that time. But in the area where there has been changed from Agricultural-Pasture to Urban or built-up, Agricultural-Pasture to Barren land, the level of NDVI is decreased. (3) In the Urban or built-up to other land, or built-up the level of NDVI is increased. (4) In the area where Barren land changed to other land cover, the level of NDVI is increased.

  • PDF

Landcover Change Detection in Korean Peninsula using MODIS Data (MODIS 영상을 이용한 한반도 토지변화 탐지)

  • Yoon, Jong-Suk;Kang, Sung-Jin;Yoon, Yoe-Sang;Lee, Kyu-Sung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8.03a
    • /
    • pp.131-136
    • /
    • 2008
  • 중저해상도 영상으로서 공급되고 있는 MODIS영상은 높은 temporal resolution 특성을 가짐으로써 넓은 면적에 대한 토지 이용이나 토지 피복의 변화 탐지에 대한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고해상도 영상 자료 또는 관측 자료는 중저해상도 영상과는 비교할 수 없는 경제적인 비용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중저해상도에서 변화를 탐지하여 고해상도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갱신이나 변화의 속성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추출하는 전략적인 토지 피복에 대한 모니터링 방법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중저해상도 영상 자료는 고해상도 관측 자료를 획득 할 수 있는 일종의 alarm system으로써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주기적으로 촬영된 MODIS의 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에서 일어나는 토지 피복의 변화에 대한 패턴을 알아보고자 한다. 즉, 한반도에서 일어나는 일 년 간의 토지 피복의 변화로 생각할 수 있는 예로는 계절이나 경작에 의한 식생의 변화가 영상에 나타나는 주기적인 패턴을 살펴봄으로써 인간의 개발이나 재해와 같은 영향으로 일어나는 지표면의 이상적인 변화를 탐지하고자 한다. 사용된 영상은 MODIS Lnad product 중 Surface reflectance 8day composite 영상이며, NIR과 RED 밴드에서 나타나는 광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 PDF

Detection of Land Cover Change Using Landsat Image Data in Desert Area (Landsat 영상자료를 이용한 사막지역의 토지피복 변화 분석)

  • M, Erdenechimeg;Choi, Byoung-Gil;Na, Young-Woo;Kim, Tae-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8 no.4
    • /
    • pp.471-476
    • /
    • 2010
  • This study aimed at monitoring, mapping, and assessing the land degradation in the desert area. In this research, the Landsat TM and ETM+ imageries to assess the extent of land degradation for study area during the period from 1991 to 2007. Were used to study supervized, unsupervized classfication and NDVI land cover changes in the desert area in Mongolia. The classified map consists of five classes of water, vegetation, slight desertification, middle desertification and sever desertification. It shows that for determination classfication methods and NDVI, desertification map of the study area are prepared. The result showed accounting for a clear deterioration in vegetative cover, an increase of sever desertification and a decrease in middle desertification and slight desertification respectively of the total study area.

Temporal and Spatial Analysis of Landcover and Temperature in Rural Area using Satellite Images and GIS (위성영상과 GIS를 이용한 농촌지역 토지피복과 열 분포의 시.공간적 해석)

  • 조명희;이광재;신지현;서애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Conference
    • /
    • 2001.06a
    • /
    • pp.57-60
    • /
    • 2001
  • 도시지역에서의 지속적인 인구집중화 현상에 따라 도시주변에서는 도시역의 확대, 택지개발 등에 의한 지표면피복형태의 변화가 심각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오늘날 농촌지역에서도 도시화로 인하여 산림 및 경작지의 감소, 공업단지 조성 등과 같은 다양한 토지이용변화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는 농촌지역의 내ㆍ외적 경관변화 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국지기후 변화 등도 함께 초래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지표피복의 변화는 자연상태에서 열의 존재 방법에 큰 영향을 미친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