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로크랙발생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5초

과대, 과소 응력하에서의 피로크랙 발생거동 (피로한도 응력을 중심으로) (Behavior of Initiation and Propagation of Fatigue Crack under Periodic Overstressing (In the case of Fatigue Limit Stresses))

  • 송남홍;원시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839-1851
    • /
    • 1991
  • Fatigue crack behavior is studied through the two-level rotary bending test with the deep non-through radial holed notch specimens of low carbon steels(SM22C). The main factors investigated are the effects of the damage zone size around crack tip and phenomena of closing or opening of the crack tip.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atigue crack behavior in second level stressing slightly lower than fatigue limit is closely related to the size of damage zone produced by the first level stress higher than fatigue limit and to the phenomena of crack closing and opening for the second level stress. The non-propagating crack limit condition depends upon the crack length l$_{1}$ propagated under the first level stress and the magnitude of second level stress .sigma.$_{2}$ lower than the fatigue limit. The non-propagating crack limit condition is expressed by following eq. $\sigma_2^{6.1}{\times}l_{1}=7.35{\times}10^{6}[(kg_{f}mm^{6.1}(mm)]$

접촉 열저항 효과를 이용한 피로균열의 적외선검사 (Thermographic Inspection of Fatigue Crack by Using Contact Thermal Resistance)

  • 양승용;김노유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7-192
    • /
    • 2013
  • 크랙 계면에서의 접촉 열저항에 의해 만들어지는 온도 강하 특성을 적외선을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피로균열을 검사하였다. 크랙과 같은 불연속면을 지나는 열 유동은 연속체에서와는 달리 접촉경계면에서 급격한 온도구배를 나타내는데 이 변화를 표면에서의 적외선 방사량으로 측정하여 피로균열의 위치를 탐지하였다. 표준 피로균열 시편의 중앙부에 노치를 생성한 후 저주기 피로균열을 노치 끝단으로부터 발생시킨 다음, 이 시편의 한쪽 끝단에 할로겐램프를 이용하여 일정한 열을 가함으로서 시편의 길이 방향으로 열 유동이 일어나도록 하면서 시편의 표면온도 분포를 적외선 실험장치로 계측하였다. 열 유동이 크랙을 지나면서 온도구배가 크게 변화하는 것을 적외선 열화상 이미지로부터 알 수 있었으며 균열 면에서의 적외선 온도 데이터로부터 크랙의 위치와 크기를 평가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微小圓孔 및 微小슬릿材의 疲勞크랙 傳播擧動 (Behavior of Fatigue Crack Propagation of Micro-Hole and Micro-Slit Specimensns - For High-Frequency Heat Treantment Specimens -)

  • 송삼홍;윤명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78-85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결함재의 결함선단에 발생 전파하는 피로거동을 검토하기 위해서 미소원공과 미소슬릿을 가공하고, 이것들의 피로한도를 기준으로 해서 이들 결함의 형상이 피로크랙 전파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고찰하고자 한다.

구상흑연 주철재의 피로크랙 발생 및 피로강도에 미치는 기지조직의 영향 (Effect of a Matrix Structure on the Initiation of Fatigue Crack and Fatigue Strength in Nodular Graphite Cast Iron)

  • 윤명진;이경모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7권5호
    • /
    • pp.66-71
    • /
    • 1998
  • It is required the superior materials for the parts of machines or structures, which could be endurable in severe load and environment. According to advancement of casting technology, nodular graphite cast iron is used as suitable for such condition. But nodular graphite cast iron is scattering of fatigue strength and low relia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matrix structure and number of nodular graphite on the initiation of fatigue crack and fatigue strength. It was found that the material which has relatively high ferrite volume fraction was more easily cracked than other materials and fatigue limit was low. The material which has not found pinhole on the surface, the crack was initiated in graphite went through ferrite and propagated into through graphite, but separated graphite and ferrite grain boundary and combined with other cracks to fro large one.

  • PDF

구멍 또는 이종재료를 가진 재료에서의 크랙의 전파 거동 (A Propagation Behavior of Crack in Material with Holes or Another Materials)

  • 조재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6권6호
    • /
    • pp.531-535
    • /
    • 2005
  • 본 논문은 구멍 또는 이종 재료들로 채워진 구멍들 사이에 전파화는 피로 크랙의 거동을 연구한다. 중앙 크랙의 선단이 구멍의 중심선 가까이에 도달할 때 중앙 크랙은 멈추고 작은 크랙이 구멍이나 다른 이종 재료들로 채워진 구멍 주위로부터 발생하여서 최종 파단에 이르게 된다. 다른 이종 재료들 가까이에서의 중앙 크랙의 역학적 거동들이 또한 조사된다. 이러한 크랙이 진행하여 파괴에 이르는 현상을 컴플라이언스법으로 연구한다.

  • PDF

철도차륜의 구름접촉피로에 의한 수명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fe Span Prediction of Railroad Wheels caused by Rolling Contact Fatigue)

  • 전종균;양진승;박삼진;이규세;마양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012-1020
    • /
    • 2006
  • 철도차량의 차륜에서 발생하는 크랙은 표면으로부터 개시하는 표면크랙, 내부에서 개시하는 내부크랙으로 나눌 수 있고, 이들 크랙은 철도의 안전운행에 위험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이들 크랙의 성장수명 판단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차륜의 표면크랙 및 내부크랙의 응력분포상태, 변위 및 성장수명을 연구하였다. 특히 내부 및 표면크랙에 대해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여 크랙선단의 응력상태, 변위, 응력확대계수를 찾아내었고, 이를 바탕으로 Paris 공식을 사용하여 성장수명을 예측하였다.

  • PDF

종의 Crack과 용접에 관하여

  • 염영하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7권1호
    • /
    • pp.2-16
    • /
    • 1989
  • 종은 타명기로서, 소리(음향)를 내기 위해서는 동양종은 외부에서 타격하고 서양종은 내부에서 타격한다. 그러므로 종을 사용하는 사이에 이 타격으로 인하여 종에는 누적된 피로(Cumulated fatigue)가 생기고, 이것이 원인이 되어 크랙의 발생.rarw.성장.rarw.파괴로 진전되어 사용 불가 능케 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이와같은 사례는 국내에서 그 실례를 많이 볼 수 있다. 예 1) 상원사종(국보 36호), 2) 보신각종(보물 2호), 3) 완주송광사종, 또한 외국의 경우, 미국의 자유의종 (Liberty Bell)등 대단히 많다. 여기서는 위의 종에 대한 크랙과 상원사종의 용접을 중 심으로 달아보겠다.

  • PDF

表面欠陷 에 發생하는 疲勞크랙擧動 (Behavior of Fatigue Crack Propagation from Surface Flaw)

  • 송삼홍;오환섭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50-157
    • /
    • 1985
  • 본 연구에서는 자연적인 미소흠함주위에 발생, 전파하는 피로크랙의 거동을 검토하기 위하여, 기존재료가 갖고 있는 흠함이나 비금속개재물을 대신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크기가 다른 비관통 인공미성구멍을 갖는 여러 종류의 시험편을 준비하고, 이 시험편들이 갖는 인공미성구멍주위에 발생전파하는 피로크랙의 거동을, 금속현미경 관찰을 토대로 상세히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관찰을 기초로 하여 비관통인공미 성구멍의 대성에 따른 피로한계도거동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직접측정법에 의한 피로크랙 개구거동의 해석 (Analysis of Fatigue Crack Opening: Belhlavioll Using Direct Measuring Method)

  • 송삼홍;김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8호
    • /
    • pp.1493-1502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크랙선단의 소성변형에 의해 발생하는 소성유기 크랙개구거동 을 검토하기 위하여, 크랙선단 최인접 영역에서 COD를 측정할 수 있는 직접 측정법을 개발 사용하고 (1) 직접측정법의 적용범위와 크랙선단의 개구거동 (2) 측정위치에 따 른 개구하중의 변화 (3) 개구비에 영향을 주는 하중변수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복합조직강의 저 및 고사이클 피로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I) - 저사이클 피로특성 - (An Empirrical Study on Low and High Cycle Fatigue Properties of Dual Phase Steel (I) -Low Cycle Fatigue Properties -)

  • 옹장우;성낙원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477-486
    • /
    • 1986
  • 본 연구에서는 SM20C를 모재로 하여 입경의 크기가 다른 3종의 복합조직강을 제작 동일한 분위기에서 저 및 고사이클 전영역에 걸쳐 피로특성을 검토하고져 한다. 제일보는 그 중 저사이클특성에 대한 보고이다. 일반적으로 저사이클 피로현상은 재 료가 탄소성 상태하에서 전위, 미소크랙, 보이드(void) 등의 인자가 복합적으로 작용 하여 발생함으로 변형률속도, 제어파형, 온도, 시험방법 및 분위기에 따라 많은 영향 을 받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가지 실험방법을 사용, 응력-변형율거동을 검토 복합조직강의 피로특성과 입경크기가 피로거동 및 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고찰하 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