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난 시뮬레이션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5초

화재 확산 및 피난 통합 모델의 적용성 검토를 위한 시나리오 연구 (Study on Scenario Examining Applicability of Comprehensive Model of Fire Spread and Evacuation)

  • 김태운;이영주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8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 /
    • pp.337-338
    • /
    • 2008
  • 화재시뮬레이션과 피난시뮬레이션은 일반화 되어있으나 이들을 모두 고려한 통합 시뮬레이션의 모델은 잘 알려진 바 없다. 피난은 화재 상황의 영향을 받으나 그 역은 성립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 통합시뮬레이션은 화재시뮬레이션의 결과 데이터를 피난시뮬레이션에 적용하는 형태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화재시뮬레이션의 결과가 피난상황에 영향을 주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과, 그를 위한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서 필수적인 기능과 고려할 사항에 대하여 기본적 경로변경 시나리오를 예로 들어 검토해 본다.

  • PDF

화재 시뮬레이션 FDS와 피난시뮬레이션 Pathfinder 사례분석 (The Case Analysis through Fire Simulation FDS and Evacuation Simulation Pathfinder)

  • 김종윤;전용한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6호
    • /
    • pp.253-26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화재 시뮬레이션인 FDS와 피난 시뮬레이션인 Pathfinder를 이용하여 건물의 중앙제어실을 화재발생 지점으로 설정하여 화재안전성 평가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가시거리 분포, 온도분포, CO의 농도분포 등의 정량적 결과를 도출 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피난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재실자들의 피난시간을 계산함으로써 최종적인 피난안전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였다. 화재 시뮬레이션 결과 가시거리의 분포에 따라 위험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이 값을 이용하여 피난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최종적으로 127.9초에 모든 인원이 대피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수치해석 결과 건물 내 모든 장소에서 피난 소요시간이 피난 허용시간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대피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안전성 평가의 결과는 최악의 조건인 소방설비의 미작동에 근거한 종합안전성평가로서 실제 화재 발생 시 소방설비와 연계한다면 보다 우수한 피난안전성능이 확보될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 PDF

피난유도자 수와 배연설비를 고려한 요양병원의 피난안전성 평가 (Egress Safety of Nursing Hospital Considering Egress Guides and Smoke Exhaust System)

  • 최승호;할리오나;허인욱;김강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6권3호
    • /
    • pp.64-71
    • /
    • 2022
  • 이 연구에서는 요양병원의 피난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Fire Dynamics Simulator (FDS)를 활용하여 배연설비 유무을 변수로 화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요양병원의 피난허용시간을 산정하였다. 또한 Pathfinder를 활용하여 재실자의 특성과 피난지연시간을 고려한 요양병원의 피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피난요구시간을 산정하였다. 피난허용시간과 피난요구시간을 비교함으로써 피난유도자수, 피난지연시간, 배연설비 유무에 따른 요양병원의 피난안전성을 평가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피난지연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사상자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피난유도자의 수가 증가할수록 피난요구시간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KFPA에서 제시하는 용량을 갖춘 배연설비가 확보된 경우 피난허용시간을 크게 늘릴 수 있으며, 사상자의 수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객선의 힐링각 변화에 따른 피난성 예측

  • 황광일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0-271
    • /
    • 2014
  • 육상 건축물에서의 인적피난 해석과 달리 선박과 같은 해상구조물에서의 인적피난 해석을 위해서는 선박의 6자유운동에 대한 고려가 반영되어야만 한다. 또한 시뮬레이션 툴 역시 해상용은 육상용과 구분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일부에서는 육상용 시뮬레이션 툴로 선박의 피난성을 평가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용 시뮬레이션으로 특화된 시뮬레이션 툴을 이용하여 ${\cdots}$(중략)${\cdots}$. 시나리오별 피난성을 비교해 보면 초기반응시간과 피난개시 시간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cdots}$(중략)${\cdots}$.

  • PDF

대규모 복합건축물의 한국형 피난시뮬레이션 개발을 위한 연구

  • 김재홍;윤성민;정기택;최진원;이수호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62-63
    • /
    • 2013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여러 가지 목적으로 초고층 및 대형건축물이 급속도로 건설되고 있다. 건축물이 대형화, 고층화 될수록 피난 동선 및 피난 소요시간은 길어지게 된다. 이에 많은 국내 외 연구에서 대규모 건축물에서의 피난안전성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의 피난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실제 실험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외산 시뮬레이션을 사용한다. 이러한 외산 프로그램들은 국내의 법규 및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복합건축물의 한국형 피난시뮬레이션 개발을 위한 연구 및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한국형 피난 시뮬레이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Korean Evacuation Simulation)

  • 김재홍;이준호;홍원화;최진원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50-53
    • /
    • 2012
  • 현대 건축물은 고층화 및 복합화로 인하여, 재난발생시 대처하기가 더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많은 연구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피난안전성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한국형 피난시뮬레이션 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며, EXODUS와 같은 외산 프로그램에 의존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국내의 실정 및 한국인의 특성을 반영 못하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특성에 적합한 피난시뮬레이션을 개발할 수 있도록 영향 인자를 분석하여, 한국형 시뮬레이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동경소방청의 화재피난시뮬레이션과 각국의 시뮬레이션 특성 및 알고리즘 분석 (An Analysis of algorithm fire & evacuation simulation developed by TFD and all countries of the world of simulation.)

  • 김동은;이현진;서동구;이재원;원전화전;황은경;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8
    • /
    • 2009
  • 2009년 국내에서 실행되는 성능위주설계인(PBD)을 비롯하여 화재안정성평가를 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자체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이용빈도 보다 타국의 프로그램의 이용 빈도가 높은 추세이다.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영국의 SIMULEX와 EXODUS가 대표적인 프로그램이 되겠다. 일본의 동경소방청에서 개발된 화재피난 시뮬레이션(FEA)에서는 연기와 화재성상을 고려하여 피난과 연동하여 피난을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FEA가 국내에 적용방안에 합당한지 파악하고자 SIMULEX와 EXODUS 비교를 실시하여 FEA의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 PDF

가시도에 따른 이동속도 변화 모듈을 적용한 피난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Pedestrian Evacuation Simulator with Variable Evacuation Speed along with Visibility)

  • 이동호;노세호;김하영;윤성욱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20-125
    • /
    • 2010
  • 건축기술의 발달에 따라 건축물은 심층화, 고층화, 대형화 하고, 내부 구조도 복잡화 되고 있으며, 화재시 인명안전에 대한 위험성은 증대 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화재시 건물내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피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은 피난자의 종류 별 이동속도를 기준으로 한 안전성 평가는 가능 하지만, 화재시 발생하는 열 과 연기의 확산상태를 고려한 피난자의 이동속도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화재 피난 시나리오에 SFPE 방화공학 핸드북의 3-362(연기속의 이동)를 참고하여, 가시도 변화를 적용한 피난자의 이동속도 저하를 구현하여 보다 현실적인 피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피난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초고층건물의 피난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n Egress Algorithm for High-rise Buildings Using Egress Simulation)

  • 김원국;서동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1호
    • /
    • pp.33-39
    • /
    • 2018
  • 초고층 건물에서 발생한 화재가 초기 진화에 실패하여 지속적으로 확산되는 경우, 희생자 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일은 건물 내의 인원을 안전하게 건물 밖으로 피난시키는 일이 될 것이다. 최근 초고층 화재로 인한 대규모 인명피해를 경험하면서 이러한 취약점들을 보강하기 위한 조치가 취해졌으나, 개선 사항들이 모두 적용되지 않았고, 적용되었더라도 작동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한다면, 최후의 보호막은 효율적인 피난유도가 될 것이 분명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화재피난 방법을 조사하고 거주자들이 안전하고 신속하게 피난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화재발생층과 화재위험층에 있는 거주인 들에게 피난 우선권을 주는 순차 피난방법이 적용되어야 하며, 이 들의 피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나머지 층의 인원들에 대한 전체피난이 이루어져야 한다. 화재위험층의 범위는 화재실물시험, 화재 시뮬레이션 등을 통하여 예측하고 결정되며 실제상황이 예측과 달라지는 경우에는 실제 상황에 우선권을 주어야 한다. 이러한 피난방법에 소요되는 피난시간은 피난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 비교하였다. 피난시뮬레이션 결과 화재위험층의 순차피난이 건물전체의 동시피난과는 적은 시간차이를 보이면서 피난로의 내화시간 이내에 가능하였으며, 피난용승강기를 사용하는 경우 많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luent와 EXODUS를 이용한 승객피난 시뮬레이션 (The Passenger Evacuation Simulation Using Fluent and EXODUS)

  • 장용준;이창현;박원희;정우성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95-100
    • /
    • 2008
  • 2003년 대구지하철 중앙역에서 화재사고로 인한 화재 유동 및 승객 피난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화재의 발화 지점은 지하 3층의 객차 내이며, 지하 3층 및 2층의 화재 유동이 FLUENT 6.2를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객차 내 및 역사 내의 CO (이산화탄소) 및 온도의 분포가 분석되었으며, 이의 data가 피난 시뮬례이션 data로 사용되었다. 해석된 온도장중 가장 높은 온도는 1500k 이다. 승객 피난 시뮬레이션을 인하여 EXODUS가 사용되었으며, 객차 내에 640명, 역사 내에 360명의 승객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층 135명이 사망하고, 평균 피난 시간은 10분 19초로 계산되었으며, 피난 경로들이 분석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