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난 계획

Search Result 12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xperiments on Egress of the elderly in High-rise Building (초고층빌딩에서의 고령자 피난실험 (설문조사))

  • Youn, Ho-Ju;Hwang, Eun-Kyung;Kim, Jong-Hoon;Kim, Woon-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369-372
    • /
    • 2012
  • 최근 대형고층건축물의 수적증가로 인해 화재 발생 시 재실자의 피난안전 확보가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특히 지속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는 고령자는 화재발생시 피난 및 대응이 부족해 많은 피해가 예상되기에 고층건축물의 피난계획 및 설계 시부터 재해약자인 고령자의 피난안전성 확보가 우선시 되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고령자의 피난행동특성에 대한 연구 및 실험을 통한 기초적인 피난Data구축이 선행 되어야하기에 본 연구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초고층건물의 상향과 하양의 이동피난실험을 진행했으면 노인들의 체력수준, 공간인지 수준, 화재발생시 피난 선호 방식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자 피난실험 전과 후로 구분하여 설문을 실시 분석하였다.

  • PDF

Applications of Elevators for Egress in High-rise Buildings (고층 건축물의 엘리베이터 피난 적용)

  • Kim, Woon-Hyung;Kim, Jong-Sung;Bukowski, Richard W.;Choi, By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2.04a
    • /
    • pp.62-65
    • /
    • 2012
  • 비상시 엘리베이터의 피난 활용은 피난층과 함께 초고층 및 복합연계건축물의 새로운 피난 수단으로 인식되며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 상황에서 엘리베이터의 고려는 대부분 설계단계에서 이루어지나 비상대응계획 차원에서의 명확한 가이드라인 없이 설계자의 판단에 의하여 진행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 문헌과 설계자들에 의하여 현재 고려되어지는 요소를 인적, 환경적, 전략적인 고려요소로 구분하여 검토하였다. 엘리베이터 피난에 고려되는 요소를 목적과 기능, 역할에 따라 하위 단계위 구성요소를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요소는 상위 요인에 종속되는 것으로 설계하였다. 종합적으로 볼 때 엘리베이터 피난에 있어서의 많은 요소가 고려되어지며, 각각의 요소는 계단과 피난층 등의 피난수단의 복합적인 이용에 따른 피난설계단계뿐만 아니라 유지관리단계에 있어서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Evacuation Safety in Welfare Facilities of Handicapped (장애인 복지시설의 피난안전성평가에 관한 연구)

  • Hong, Hae-Ri;Seo, Dong-Goo;Kwon, Young-Sook;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344-347
    • /
    • 2011
  • 최근 대형화된 재난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건축물의 피난설계가 중요시 되고 있지만 일반인에 비해 재해 시 피난이 곤란한 재해약자가 이용하는 시설에서의 성능설계나 피난계획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장애인 복지시설을 대상으로 피난안전성평가를 실시하여 그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 장애인시설의 피난안전을 위해서는 피난개시시간, 엘리베이터 피난, 내장재, 발코니 유무, 출구 폭 등의 문제점에 관한 대책이 시급하며 또한 성능기반 피난안전설계 의무화가 우선시 되어야 할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 Study for Mass Evacuation Simulation Using Operations Research (Operations Research를 이용한 광역 피난시뮬레이션에 관한 연구)

  • Koo, Won-Yong;Kim, Tae-Hwan;Kim, Jung-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70-71
    • /
    • 2015
  • 2011년3월에 발생한 동일본대지진에서는 일부지역에서 대규모 쓰나미 경보 사이렌의 고장 및 긴급시 사용하는 방조제 개폐장치의 고장 등, 상상외의 여러가지 일들이 발생하면서 그 피해가 더 커졌다. 이러한 사태를 바탕으로 대규모 지역에서의 피난 계획 및 시뮬레이션의 필요성이 최근에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광역 피난계획을 풀기 위한 동적 네트워크 흐름 문제(dynamic network flow problem)를 적용한 방법론을 소개하고, 동적 네트워크 흐름 문제를 풀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론 중 시간 확대 네트워크 문제 및 시간 확대 네트워크의 문제점인 계산시간을 해결하기 위한 고속연산 휴리스틱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vacuation Model Considering Occupancy Load in Child Care Center with Disabilities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재실자 피난 부하를 고려한 피난 모델 연구)

  • Lee, Jeong-Soo;Oh, Young-Sook;Kwon, Yong-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1
    • /
    • pp.553-561
    • /
    • 202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opose evacuation recommendations through evacuation model considering occupancy load model in child care center with disabilities.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survey on the occupancy load and egress model and evacuation experiments have carried out, and evacuation occupancy load model for child care center with disabilities are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evacuation pla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necessary special considerations according the type and levels of disability, and various egress means and method for children in child care center with disabilities conditions. (2) The evacuation occupancy loads are different with non-impaired children and evacuation occupancy loads and evacuation corridors width are necessary considering impaired children's evacuation behaviors. (3) The temporal evacuation area(refuge area) is essential for children with disability who are impossible vertical evacuation such as impaired children using wheelchair and cerebral palsy.

An Abroad Case Study on the Initial Evacuation Period of Weak Person for PBD (재해약자의 성능적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피난개시시간에 관한 국외사례조사)

  • Hong, Hae-Ri;Seo, Dong-Goo;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348-351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의 급격한 고령화추세 및 등록장애인수 증가에 따른 재해약자시설의 피난안전설계를 위한 기초연구로서 국내 재해약자시설의 화재사례 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과 화재발생 시 인명피해를 최소화 시키기 위해 가장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피난개시시간 및 초기대응행동에 관한 국외연구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의 경우 피난행동특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며 또한 실제적인 성능설계나 피난계획이 미흡한 실정이므로 향 후 재해약자의 피난행동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연구를 통한 DATA확보가 시급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Silver Housing on Evacuation Safety using Human Behavior Simulation - Focused on Floor Planning of Corridor Types in Urban Silver Housing - (인간행동 시뮬레이션을 통한 노인주거 피난안전성 검증에 관한 연구 - 도심형 노인주거의 복도 유형별 평면계획 분석 중심으로 -)

  • Cho, Seung-Woo;Kim, Kyeong-Bae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 /
    • v.35 no.9
    • /
    • pp.41-48
    • /
    • 2019
  • Recently as the rapid increasing of the elderly, silver housing has grown up. Though much fire evacuation and safety law, fire accident is most dangerous problem in our society. So this study is the purpose to analyze evacuation safety in urban silver housing of floor planning by corridor types using human behavior simulation.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is 'Literature Review' and 'Simulation'.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on silver housing's definition, types, fire safety theory and relation law. To proof evacuation safety, this study measured escaping time, longest distance, and bottleneck counting using human behavior simulation. This study use game engine simulation program to analyze 6 corridor types experimental model. As the result of simulation, this study compare between ASET and simulation result. The result come down to 3 part. First, double loaded corridor type is the most dangerous on urban silver housing. Second, Safe shelter's location and number cause increasing of escaping time. Lastly escaping time is influenced by behavior of agent, bottle neck strike frequency.

A Comparative Study on Evacuation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rainees according to Experience Level on board a Training Ship (운항실습선 교육생의 승선 숙련도에 따른 피난행동특성 비교분석)

  • Hwang, Kwang-Il;Lee, Yun-Sok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8 no.3
    • /
    • pp.233-238
    • /
    • 2014
  • With the increasing needs on various leisure activities, the users of passenger ships and cruisers have been increased year by year. Although over 15 accidents per year betide on domestic passenger ships for last decade, the researches on the safety of crews and guests on boards are difficult to find. This study performed the comparative analysis by experiments on the evacuation characteristics between experience levels on board a training ship.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From the seniors' experiments, it is found that more various evacuation scenarios have to develope and drill as a part of education contents. And from the freshmen's trials, the importances of the evacuation education and the roles of existing crews on evacuation guides are pointed out as to increase the safety of new crews and/or guests who are not accustomed to onboard a ship. On the other, it is explained that the communications between evacuees are worthy and useful, and also save more evacuation times. And on the viewpoint of evacuation methodology, it is clear that captain and evacuation-related crews have to control all the evacuation passages and evacuees of each passages to save more lives.

A study of on the occupant movement speed during emergency evacuations for the evacuation safety assessment of domestic buildings (국내 건축물의 피난안정성평가를 위한 비상대피 시 재실자 이동속도에 관한 연구)

  • Youn, Ho-Ju;Hwang, Eunkyung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3
    • /
    • pp.332-338
    • /
    • 2013
  • Recently in Korea, in order to ensure evacuation safety within buildings, reviewing and evacuation assessment using computer simulations has been performed from the planning and design stages. Since the results from the assessment mainly depends on the initial values of input element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element specific data. Nevertheless evacuation related experiments and research are still insufficient to apply overseas standards to domestic conditions. This study intended to conduct a experiment on evacuation movement speed by age as part of element-specific data construction for domestic occupant movement speed. After analyzing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on evacuation movement speed, we conducted the experiment of evacuation movement speed for 134 people. Then, by carrying ou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movement speed obtained from the experiment with overseas movement speeds, we followed the validation procedure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under domestic evacuation conditions. The data derived from the experiment is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the movement speed of domestic evacuation safety assessment.

A study on investigation method of The Population Density for Performance-Based Design (성능 기준 도입을 위한 재실자 밀도의 조사 방법에 관한 연구)

  • Kim, Jong-Sung;Hwang, Eun-Kyung;Youn, Ho-Ju;Kim,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117-122
    • /
    • 2010
  • 최근 대형화 고층화 복합화 등 점차 발전하는 건축물의 피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성능위주 중심의 피난안전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관련 법규의 세부적 기준이 없어 국외 기준에 기반하여 피난안전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점차 도입되고 있는 성능적 기준의 도입을 위하여 국내외 관련 기준 및 관련 재실자 밀도 조사 사례를 분석한 결과 국내 제정된 법규는 기준 자체의 목적이 다르고 제한적 용도라는 한계점이 있었으며 또한 기존 연구 사례를 통해 조사 시기 및 방법과 결과의 적용, 신뢰성 확보 등 법규화를 위한 재실자 밀도 기준의 연구 방향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