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난 계획

Search Result 125,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A Study on the Disaster Scenario Based Evacuation Planning of Super High-Rise Buildings (초고층 건축물의 재난시나리오 기반 피난계획수립)

  • Choi, Doo Chan;Kim, Hak Kyung;Sim, Hae 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345-34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재난상황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인 재난대응에 실패하면 다수의 인명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초고층 건축물의 재난시나리오 기반 피난계획수립에 대한 연구과정을 제시하고 발전방향을 제안하였다.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계획수립을 위해서 초고층 건축물에서 발생 가능한 재난시나리오를 자연재난, 인적재난, 전쟁 또는 테러재난, 건물시설관계재난인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이를 프로토콜화하여 건축물의 피난관리시설과 자원을 고려한 피난계획을 작성하고 이를 피난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검토하고 보완하는 연구를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효율적인 피난계획서를 수립하였다.

  • PDF

건축물 화재 시 재해약자를 고려한 피난계획 중요도 분석

  • Lee, Ho-Yeong;Choe, Yeong-Sang;Choe, Yeong-O;Choe, Jae-Won;Hong, W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175-176
    • /
    • 2013
  • 지금까지의 피난계획이 피난 시 가장 취약한 재해약자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여 이들을 고려한 피난계획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며, 건축물 화재 시 재해약자들의 피난안전성 확보를 위해 기존문헌들을 통해 피난계획 항목 및 요소를 조사하고, 건축 소방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예비 조사 및 본 조사를 실시한 후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중요도분석, 상관분석을 통해 피난계획의 항목 및 세부요소의 중요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vacuation safety for disaster of weak person during building fire (건축물 화재 시 재해약자의 피난안전성에 관한 연구)

  • Seo, Dong-Goo;Kim, Dong-Eun;Eun, Eun-Kyung;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9.04a
    • /
    • pp.74-81
    • /
    • 2009
  • 최근 국내의 대규모 건축물은 기존의 사양적인 피난안전계획은 미흡한 실정이다. 실질적인 방재대책 및 구체적인 피난안전계획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성능설계 등이 현재 법제화가 이루어 졌으나 구체적인 방법론이 미비한 실정이다. 특히 재해약자의 피난특성을 고려한 피난안전계획은 이루어지지 않고 일반적인 피난성능만을 고려한 설계가 계획되고 있다. 따라서 재해약자 중 고령자를 중심으로 국외의 피난대책을 고찰하고, 이에 대한 한국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 PDF

An Architectural Study on Optimum Evacuation Route of School Facilities (학교시설의 피난동선 최적화에 대한 건축계획적 연구)

  • Kim, Hee-Ky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
    • /
    • pp.177-183
    • /
    • 2021
  • This study chiefly aims to clarify optimize evacuation circulation which can be applied to architectural planning through the analysis of educational facilities. On the planning phase, the evacuation circulation of buildings are defined through the zoning of plans and sections based on the functions and purposes. It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efficient evacuation circulation under the circumstances of disasters such as fire and earthquake etc, and it is directly related with the lives of people in the educational facilities.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methods can be applied to architectural planning and architectural design through optimized circulation after th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human.

An Architectural Study on the Efficient Evacuation Plan for the Change of Circulation System (동선체계 변경 시 유효한 피난계획에 대한 건축계획적 연구)

  • Kim, Hee-Ky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1
    • /
    • pp.261-268
    • /
    • 2022
  • It is a common situation to limit entrance to the multi-use buildings for efficient control and prevention of the spread of COVID-19. This study chiefly aims to find out efficient methods to establish evacuation plans when temporary changes of the building circulation system occurs. If architectural design were done with the pre-consideration for the changes of building circulation systems, through the analysis of multi-use buildings, it is expected to we can prevent the spread of disasters when they happen. This study is geared to establish efficient evacuation plan for the temporary circulation plan when disaster happen, through the analysis of multi-use buildings for architectural planning as well as the human behavioral patterns.

A Study on Efficiency of Elevator Evacuation in High-Rise Building. (고층 건축물의 엘리베이터 피난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 Kim, Dong-Eun;Hong, Hae-Ri;Seo, Dong-Goo;Kwon, Young-Jin;Hong, Jin-Wha;Hong, Yun-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317-321
    • /
    • 2010
  • 최근 축조되고 있는 건축물의 경우 고층을 넘어서 초고층화가 되어가는 현실이다. 이러한 사항에서 현재 이용되고 있는 피난계단 및 수평 수직 피난에서는 고층화가 되어가는 건축물에서의 피난이 어렵다는 점을 인지하여 고층건축물의 필수요소인 EV를 통한 피난계획 작성에 기초적인 자료가 되기 위하여 국외적으로 연구중인 EV피난에 대해서 알아보고 또한 그 내용을 토대로 현재 국내에서의 EV피난에 대한 효율성을 제시하여 향후 고층건축물의 피난계획에 일부분에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Escape Safety in the Hospital by the Change of Floor Plan Types (병원평면의 변화에 따른 피난안정성의 변화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

  • Jeong, Gun-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33.1-33.1
    • /
    • 2010
  • 불특정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숙박계시설이며, 자립피난이 곤란한 피난약자에 해당하는 환자 및 노약자, 임산부, 어린이가 대다수 이용하는 병원은 피난안전상 매우 불리한 용도의 건축물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재병원의 건립 당시 평면계획과 실재 사용 중 평면을 조사하고, 이를 대상으로 본 연구의 선행연구에서 발표된 피난안전성의 평가법에 적용하여, 병원 평면의 변화에 따른 피난안전성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불가피한 평면의 변경 시에 참고자료로 활용 될 수 있는 근거를 제시 하고자 한다.

  • PDF

Study on the Escape Safety of University Dormitory with the Consideration of Plan Types (대학 기숙사의 평면 형태에 따른 피난 안전성 검토)

  • Jeong, Hyeon-Jae;Jeong, Gun-Sik;Ahn, Young-Chul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6
    • /
    • pp.1-7
    • /
    • 2010
  • University dormitory has some weaknesses against disaster such as fire because of high population density and strict control of access in night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ion of a guide of effective floor plan for improvement of evacuation safety. Plans for preventing disasters are studied and evacuation safeties are analysed using network model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plan types. The weakness of disaster prevention is quantified, and effectiveness of bidirectional evacuation is confirmed. The circuit type floor plan shows best evacuation characteristics and this result is anticipated to be adopted to design process of new dormitories and will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evacuation safety.

플로팅 건축물 방재 및 피난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 Gang, Yeong-Hun;Do, Geun-Yeong;Lee, Ha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5-7
    • /
    • 2013
  • 수상공간의 적극적인 활용방법의 하나로 수상에 부유하고 있는 플로팅 건축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복합공간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늘어가고 있다. 하지만 기능, 용도 및 형태에 있어 일반건축물과 유사하며 입지 및 구조적 특성에 있어서는 선박과 유사한 플로팅 건축물의 특성을 고려한 방재 및 피난 기준이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플로팅 건축물의 건축적 특성과 선박적 특성을 고려하여 플로팅 건축물에서 발생 가능한 재해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플로팅 건축물의 방재 및 피난 특성을 분석하여 플로팅 건축물에 적합한 방재 및 피난계획 특성을 도출하였다.

  • PDF

A Study on Security Plans At Large-Scale International Event Halls: Focusing on Assessment of Escape Safety of K Stadium for The Incheon Asian Games (대규모 국제행사장의 경호경비계획에 관한 연구: 인천 아시안게임 K경기장의 피난안전성 평가를 중심으로)

  • Park, Nam-Kwun;Lee, Young-Ju;Yoon, Myong-O
    • Korean Security Journal
    • /
    • no.30
    • /
    • pp.7-32
    • /
    • 2012
  • Korea faces The 2014 Incheon Asian Games and 2018 Pyungchang Winter Olympics. It is imperative to hold a safe event for the economic benefits, enhancing Korea's image, social integration, national harmony and unity in order to be evaluated as a successful international event. Furthermore, since the international event tends to draw many spectators, the host country must be ready to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injured people in the event of an accident or terror attack. As stadiums for international events are where a large number of spectators gather in, a large refuge is essential, when dangerous situations happen. In this study, evacuation simulation was conducted using three scenarios in order to predict escape behaviors of spectators during the large escape by destruction of safety systems of stadiums and assess escape safety. As the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and proposals were extracted. Firstly, it is considered that dangerous situations during the security of stadiums should be predicted in advance and concrete plans for a large refuge of spectators have to be established to minimize damage.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reduction in evacuation exits has an important impact on evacu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It implies that securing escape exits are quite important. Thirdly, there were areas where spectators stayed, due to blocked escape exits, while they were dispersed and concentrated at once. It demonstrates that security plans considering properties of facilities are required to solve these problem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