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난 계단

Search Result 117,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nalysis on the Heat-resisting Coating of High Heat-resisting/Smoke Retardancy Fireproof Fabrics and Products (고내열/차연성 방화제품의 내열 코팅에 관한 연구)

  • Kim, Sang-Ryong;Kim, Sang-Wook;Lee, Do-Hyun;Min, Moon-Hong;Son, Hyun-Sik;Ahn, Seung-Guk;Bae, Ji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97-97
    • /
    • 2011
  • 현대사회에서 화재에 의한 물적 피해는 물론 인적피해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희생자의 사망원인이 종래에는 화재시 발생한 열에 의한 화상을 중심으로 하는 소사였지만, 최근에는 화염보다 독성가스로 인하여 사망하는 경우가 많아졌고, 희생자는 거의 화상을 확인할 수 없거나 화상자이더라도 혈액 중에서 일산화탄소를 중심으로 한 유독가스가 확인되기 때문에 이들 유독가스의 흡입으로 인하여 행동불능상태 이후 열의 영향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대규모 건축물에 있어서는 화재발생시 유독가스가 건물 전체로 연소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넓은 면적을 일정한 면적으로 구획하거나 계단실 등과 다른 부분 또는 층별 등으로 구획하고 있으며, 국내의 방화구획은 크게 다른 층으로 화재전파를 막기 위한 층간 방화구획, 연소면적을 제한하기 위한 면적별 방화구획, 다른 용도로 인한 화재 위험성 감소를 위해 용도별 방화구획으로 3가지를 법에서 채택하고 있다. 방화구획은 방화문 또는 자동방화셔터를 이용하거나, 내부구조의 바닥, 벽, 각종 방화문으로 구획할 것을 정하고 있다.(피난방화규칙 제14조) 본 연구에서는 철제방화셔터 대체용으로 직물방화셔터용의 실리카 소재를 이용하여 제직한 직물에 내열/차연 기능성 코팅의 공정 조건을 변화하여 최종 방화시험을 거치기 전 내열성 테스트중 하나인 불꽃열 통과량 실험을 실행하여 방화 직물의 내열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고내열/차연성 방화 제품 기술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연구를 수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

A Study on the Barrier-Free Space through IPA Method for the Elderly in Multi-family Housing (IPA 분석기법을 통한 공동주택의 무장애공간 인증기준 적합성 분석연구)

  • Kim, Ju-Whan;Kim, Won-Pil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1
    • /
    • pp.187-194
    • /
    • 2020
  • When a human being grew older, followed by visually and perceptually impaired, and dementia, it jeopardizes safety and life unless supportive design is secured for a living environment. This supportive space is based on universal design concept which offers safe-oriented, and simple use by incorporating gender and physical/mental limitation. The study of purppose was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barrier-free standard for seniors' living in apartment through IPA. Chi-square analysis found that satisfaction with BF space is lowered as aging is continued and for female group.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sink was the prime predictor in satisfaction, and stair/elevator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PA concluded that sink, bath, shower/locker and alert/egress were prime BF indexes to be improved among 14 elements, implying careful design in sanitation area for seniors.

Analysis of Performance-based Design Guides of Smoke Control System (성능위주 연기제어 설계지침 분석)

  • Kim, Jung-Yup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4
    • /
    • pp.6-13
    • /
    • 2016
  • With regard to smoke control system, the design guidelines of smoke exhaust for accommodation and smoke control for evacuation stairs and vestibule has been proposed domestically, but after reviewing the applicability to modern buildings that tend to be larger, higher and complex, a smok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domestic design guidelines might have difficulty in securing the safety from smoke in a fi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opt the performance-based design of a smoke control system that can enhance the safety and integrate the smoke control functions and desig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fire and building structure in the case of fire in a large, high-rise, and complex building. This study analyzed the domestic design guidelines of a smoke control system and this paper proposes the part requiring improvement, and examines the legal system and guidelines on performance-based design of smoke control system in foreign countries.

The Analysis of Correlation Major System Factors with the Performance of Smoke Control Systems Using Pressure Differentials (차압제연설비의 성능과 관련된 시스템 및 환경 변수와의 상관성 분석)

  • Yeo, Yong-Ju;Kim, Hak-Jung;Park, Yong-Hwa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4 no.2
    • /
    • pp.97-105
    • /
    • 2010
  • The smoke control systems using pressure differentials are already well known as the most reliable method to prevent the smoke infiltration into the emergency stairs or safe spaces. However, it is true that many problems are domestically pointed out due to the insufficient understanding and technology on the smoke control systems using pressure differentials. In this regard, this work analyzed the effect of major factors for smoke control system using pressure differentials such as a duct area, opening area of air supply damper, improvement on open vestibules, stack effect and location of air supply. In conclusion, adequate pressure differentials can not be maintained in small duct because the smaller duct area have the large friction loss. Especially, It is confirmed that the major factor for deterioration of smoke control system performance is stack effect that makes pressure differentials smaller in the lower floors.

A Study on the Fire Alarm System of Vertical Fire Spread Structure by Using FDS (FDS을 이용한 수직 연소확대 구조의 화재경보방식에 관한 연구)

  • Gu, Seon-Hwan;Song, Young-Jo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5
    • /
    • pp.100-107
    • /
    • 2016
  • Today, high-rise buildings expected to meet various needs and improve the quality of frequency of fire and the potential risks are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fire spread risk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ncreasing.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with delays in the evacuation time of occupants. To overcome this problem,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and develop a system for the early detection of fire by applying a fire alarm system according to the risk ranking. Therefore, this paper describes the vertical fire spread characteristics of a multistory double-skin and stairs structure with risk. The data were compared with that from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fire alarms as well as with. smoke density, smoke detectors, visibility, and CO concentration using FDS. A fire alarm system for each structure is proposed.

Cause and Countermeasure of Inundation Damage in Underground Space (우리나라 지하공간 내수침수피해 원인 및 대책)

  • Cho, Jae-Woong;Choi, Wo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20-420
    • /
    • 2011
  • 도시지역의 내수침수피해는 거의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반지하와 같은 거주공간이 매우 취약한 상태이다. 특히 최근에는 지하철, 지하상가 등이 대규모 개발되고 복합네트워크화 되어 지하공간의 침수대책과 대피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일본의 경우 2000년 토카이 호우피해 후 통합유출해석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1999년 및 2003년 후쿠오카 침수피해 발생 후 특정도시하천침수피해대책법을 제정, 1999 후쿠오카, 2004년 하마마츠, 2008년 카누마 피해 후 일본 방재연구소에서는 실시간 1차원 지표범람모형과 모니터링을 통한 실시간 내수침수지도를 개발하였다. 특히 지하공간에 대해서는 "지하공간에 유입하는 범람수가 계단상 보행자게에 주는 위험성에 관한 연구" 등 실험을 바탕으로 각종 지하공간 침수대책 매뉴얼 및 지하시설의 침수시 피난확보계획 지침, 지하공간 침수대책 가이드라인 등 인명피해를 줄이고자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오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6년 경기도 고양시 3호선 정발산역이 침수되었으며, 2010년 서울시 지하철 2호선 사당역 및 4호선이 침수되는 등의 지하철 침수피해와 2010년 서울시 광화문 지하상가, 인천시 부평구 우림라이온스 벨리, 우남플라자, 계양구 농협하나로마트, 서원아파트 등의 지하상가와 지하다층의 침수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2006년 3호선 정발산역 침수는 17시간이나 지하철이 불통되었고 이로 인하여 심각한 교통 체증이 유발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집중호우로 인한 서울, 인천지역의 지하공간 침수피해를 중심으로 최근 10년간 지하공간 침수피해사례로부터 대표적인 침수피해 원인 및 특성을 정리하였으며, 그 결과 지하공간 침수의 주요원인은 지상공간의 침수류가 지하공간으로 유입하고, 지하공간의 배수설비 용량부족, 지하공간으로의 유입을 방지하기위한 방지턱, 차수판, 침수시 비상전원 공급, 침수시 지하공간 대피 매뉴얼의 부재 등 다양한 원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방방재청에서 고시한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에 지하공간 침수 방지를 위한 각종 시설의 설치 및 대피 경로지정 등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나, 지하공간 중 유동인구가 가장 많은 지하철역에서 조차 침수에 대한 행동매뉴얼이나 대피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하공간 침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를 이용한 자동 차수판과 경보기 설치, 지하공간의 사람들이 안전한 대피로를 찾을 수 있도록 지상공간 및 지하공간 출입구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CCTV의 설치, Dry Area를 두어 비상대피 할 수 있는 공간의 마련 등 시설적인 부분에 대하여 '지하공간 침수방지를 위한 수방기준'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지상공간의 침수 상황을 고려한 지하공간의 대피매뉴얼 또는 가이드라인 등의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이와 더불어 재산 및 인명피해를 더욱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실시간 예 경보를 위한 침수해석 모형의 개발이 시급하다.

  • PDF

A study on the standard of effective fire facilities for the Atrium (아트리움 공간의 효과적인 방화설비 기준연구)

  • Choi, Don-Mook;Kim, Jae-Woon;Min, Se-Hong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Investigation
    • /
    • v.6 no.1
    • /
    • pp.49-66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reference data to be considered in designing fur the fire safety of atrium buildings.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atrium buildings in the fire safety aspect, analysis of fire examples and foreign fire codes of atrium space. And con-crete factors to be consigning fur the fire facilities of atrium buildings are presented. Recently many atrium spaces have been built in Korea. They provide new experience of space with resident and pedestrians. However, because of the lack of knowledge in design principle and disaster prevention, large loss of lives is expected in an emergency situation. cion. Therefore safety ensuring from the case is urgently needed.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n the standard of effective fire facilities for the atrium. 1. The smoke control. inside atrium must use the machine ventilation in the atrium. 2. It is desirable to divide the section between atrium and nearby living room by anti-smoke screen in order to prevent damage by smoke when fire break out. 3. It is desirable to instill an excellent fire detector like infrared light detector as a replacement of old one. 4. It is desirable to transfer from closed operating sprinkler to fire-cycle sprinkler equipment or ablative sprinkler when the height is lower than 20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