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난특성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3초

사회복지시설 화재안전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Social Welfare Facilities Study on Fire Safety Management)

  • 최규출;이기배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13-217
    • /
    • 2011
  • 사회복지시설 화재사례 분석과 국내외 화재시 피난의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현행 소방관련법으로 설치된 소방시설은 충분하다고 판단되었으며, 향후 개선되거나 보완하여야 할 조치로는 복지시설 이용자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피난시설과 경보시설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설별 특성에 맞는 경보시설의 설치를 제안하였고, 사회시설 건축시 내연재료 사용과 방염처리를 통한 원천적인 화재안전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3차원 공간 기반의 화재피난 시뮬레이션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Fire Evacuation Simulation System Based 3D Modeling)

  • 황연정;구원용;황은경;윤호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156-167
    • /
    • 2011
  • 최근 건물의 대형화, 고층화, 복잡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건축물 화재 발생건수와 이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의 증가함에 따라 화재피난 시뮬레이션을 통한 건축물의 안전성 점검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산 프로그램에 의존하고 있는 화재피난 시뮬레이션 분야에 한국인의 특성을 고려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3차원 공간 정보 기반으로 공간의 토폴로지를 생성하고, 피난 경로를 탐색하는 화재피난 시뮬레이션을 구축하였다.

동선체계 변경 시 유효한 피난계획에 대한 건축계획적 연구 (An Architectural Study on the Efficient Evacuation Plan for the Change of Circulation System)

  • 김희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61-268
    • /
    • 2022
  • 코로나 19의 확산 방지를 위하여 다중이용시설의 입구를 통제하는 것은 일반적인 상황이 되었다. 이 연구는 현재의 코로나 19와 같은 재난으로 인하여 건축물내 동선체계의 변화가 발생하였을 때 효과적인 피난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이다. 만일 다중이용시설의 분석을 통하여 건축물의 동선체계의 변화에 대한 사항을 미리 고려하여 건축계획을 한다면 재난의 발생 시 확산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인간의 행동패턴의 특성과 다중이용건축물의 설계단계에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을 분석하여 재난의 발생시에 능동적으로 대처가능한 임시적인 동선체계의 변경에 유효한 피난계획의 수립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한다.

고층건축물의 피난기구 도입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승강식피난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Evacuation Instrument in High-rise Buildings - Focusing on Elevator Type Evacuation Instrument -)

  • 최규출;나판주;설영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10-19
    • /
    • 2014
  • 고층건물화재에서는 화재층에서 피난층까지 신속한 대피가 이루어져야만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현행 국가화재안전기준(NSFC 301)이 정하는 적응성 있는 피난기구 중 고층건축물에 적용이 가능한 피난기구를 선정하여 현장 적응시험을 통한 11층 이상에서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현장 시험결과 현재 11층 이상에서 제한하고 있는 피난기구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신기술로 개발된 신개념 승강식피난기는 소방기관의 안정성 검사와 성능인증시험을 마친 제품으로 고층건축물 피난기구로 도입하여도 문제가 없다는 분석결과를 얻었다.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 피난자의 체중(體重)을 이용하는 승강식피난기는 고층건축물 화재시 짧은 시간에 많은 인원의 피난이 가능한 피난기구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장애인이나 중증환자 등이 이용하는 건물에서 이용자 특성을 고려한 피난기구로는 무동력으로 작동되는 승강식피난기가 맞춤형 피난기구로 적응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선원들의 가시거리별 피난시간 연구 (A Study on Evacuation Time According to Seafarer Visibility)

  • 김원욱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00-606
    • /
    • 2016
  • 선원들은 선박의 충돌, 침몰, 좌초 및 화재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긴급 피난을 감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사고 발생 시 인명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피난시간 단축이 아주 중요한 요소이나 선박의 좁고 복잡한 구조는 신속한 피난에 장애 요소가 되고 있다. 또한, 선박은 해상에서 운항하는 특성으로 좋지 않은 바다 상태에서는 행동의 제약이 발생한다. 이 연구에서는 선원들의 피난시간을 증가 시킬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현재 승선중인 선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고 그 데이터를 정리하였다. 실험 시나리오는 선원들에게 피난 공간 구조를 설명한 후와 하지 않은 후로 구분하였으며 가시거리를 0 m, 3 m, 5 m으로 구분하여 피난 시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피난속도는 구조 설명 여부에 따른 영향은 크지 않았으나, 가시거리의 경우 5 m와 0 m 및 3 m는 최대 2.5 ~ 2.6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피난시간을 감소에 필요한 요인인 가시거리는 5 m 이상 확보가 중요한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향후 선박에 승객 및 선원들의 인명 생존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가시거리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선박구조가 승무원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w's Survival ratio according to ship's structure)

  • 김원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23-427
    • /
    • 2010
  • 선박은 충돌로 인한 침수, 화재 등 여러가지 이유로 긴급피난을 감행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선박의 경우 그 구조의 특성상 좁고 미로같은 복잡한 형태로 구성되어 신속한 탈출이 어렵다. 화재에 의한 인명손상의 경우 연기에 의한 질식사가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신속한 탈출은 생존율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선박화재시 연기거동과 가시거리 확보 등에 대해 화재 분석 전용프로그램인 FDS(Fire Dynamic Simulator)를 이용하여 검토한다. 승무원 피난의 경우는 인간행동특성을 고려한 Pathfinder로 검토하였다. 이러한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존 선박구조에 대한 화재확산과 승무원 피난시간을 검토하고 이와 동시에 변경된 구조가 승무원 피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대피장애 행동특성을 반영한 비상사태 피난 시뮬레이터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mergency Evacuation Simulato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Behavior Pattern in Crowding)

  • 리송준;이상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319-1327
    • /
    • 2008
  • 비상시 대피 상황을 분석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시뮬레이터 개발 관련 연구가 있어왔다. 하지만 주목할만한 것은 비상사태에서 과밀로 인한 대피장애 행동특성을 고려한 연구는 아주 미미하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화재와 같은 비상사태 시 과밀공간에서 생기는 재실자간의 충돌, 짓밟음 등과 같은 대피장애 행동특성을 반영하는 비상사태 피난 시뮬레이터(EAS: Evacuation Agent Simulator)를 개발하여 건조물 내에서 과밀로 인한 대피장애를 예측함으로써 피난계획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건축물 계단실 내 재실자의 합류를 고려한 피난특성 분석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nalysis of Evacuation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e Joining of Occupants in a Building Staircase)

  • 김윤성;허예림;최윤주;김혜원;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04-205
    • /
    • 2021
  • In the event of a fire in a high-rise building, rapid evacuation through the stairwell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rapid evacuation. However, in the event of an actual fire, most of the occupants evacuate at the same time, resulting in a stay in the stairwell, reducing the evacuation speed. In Korea, conditions for buildings are created to evacuate quickly and safely while introducing performance-oriented designs to solve these problems, but there is no research data related to the evacuation speed due to joining in the event of vertical evacu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experiment conducted at W University in Japan, the density-speed relationship when staying in the staircase room was derived, and the regression equation was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 PDF

영동지역 관목류 부위별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The Characteristics of Combustion for Living Leaves and Branches of Shrubs in Youngdong Areas)

  • 박영주;오진열;이시영;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548-55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 시 삼림 내 가연물의 화재강도 및 산불위험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영동지역에서 자생하는 관목류 가운데 주요 분포수종으로 생강나무와 초피나무를 대상으로 생엽과 가지부위를 채취하여 착화특성, 화재전파특성, 피난특성을 고찰하였다. 발화온도 범위는 400$^{\circ}C$${\sim}$440$^{\circ}C$로 확인되었으며 생강나무의 생엽은 착화가 가장 빠르게 개시되었으며 가지부위는 생엽보다 착화는 늦으나 착화 후 화염유지시간이 길고 비교적 빠른시간에 많은 열량을 방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피나무의 가지부위는 연기방출량과 CO 및 $CO_2$의 방출량이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