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난안전법

Search Result 4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Effective width of the Exit of the Evacuation Stairs on the Evacuation Time of the Occupants (피난계단 출입구 유효너비가 수용인원의 피난시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Yang, Sung-Hoon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8 no.1
    • /
    • pp.73-79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imum effective width (90cm) of the exit of the evacuation stairway installed in accordance with the Building Act and the evacuation time of all occupants using the corresponding floor from an evacuation point of view. Method: The evacuation simulation (Pathfinder) was used to investigate how the change in doorway width affects the evacuation time of occupants. Result: It was found that as the effective width of the doorway became larger than the minimum standard of 90cm, the evacuation time to the evacuation stairs was shortened. This is also proof that the effective width of the evacuation stair entrance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number of occupants on the floor. Conclusion: In the future, in order to secure evacuation safety of occupants, it is judged that the effective width standard for the exit of the evacuation stairway considering the total number of occupants by use is necessar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 evacuation efficiency of occupants can be greatly increased if various effective width standards for entrances are made according to the number of occupants by use through research and experiments.

A Study on the Fire Life Safety Improvement in Deteriorated Buildings - Focus on the Jongro Goshiwon Fire Analysis (노후 건축물의 화재인명안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종로 고시원 화재사고의 분석을 중심으로 -)

  • Choi, Doo Cha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2 no.6
    • /
    • pp.63-68
    • /
    • 2018
  • In this study,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fire safety in existing deteriorated buildings in Korea, and to analyze the fire case of Jongno Gooshiwon, the fire life safety assessment was performed and analyzed through fire egress simulation and analyzed the domestic and foreign related codes and regulations. In order to secure the fire safety of existing deteriorated buildings, it is necessary to adopt the systematic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fire safety performance evaluation of buildings based on quantitative and objective indicated method for performance maintenance and management for fire life safety.

Research and Analysis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to Prevent Fire (노인복지시설의 화재방지를 위한 실태조사 및 분석)

  • Jeong, Seong Hui;Shim, Kee Oh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86-186
    • /
    • 2011
  • 고령화사회의 도래는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특성과 더불어 장기적인 보살핌과 보호에 대한 요구를 증대시키고 있다. 노인을 입소시켜 급식과 요양서비스를 제공해주는 노인복지시설은 점차 그 시설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재난상황에 대비한 시설의 설계, 운영, 관리, 유지단계에서 화재방지대책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시설의 실태조사를 통해 양로시설에서는 입지유형과 시설규모별 특징을 분석하고, 노인요양시설에서는 시설의 설계방식과 운영방식에 따른 재난상황 발생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중점 조사항목은 화재발생시 대피장소 확보, 대피시설 및 장비 유무, 인력배치 기준 준수 등 이며 각 시설별 도출한 취약점을 바탕으로 법 제도적 측면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선이 필요한 항목은 크게 3분류로, 첫째, 설계 및 건축 단계는 노인복지시설 건축허가 기준 재정립, 피난계단, 피난공간 등 기준 보완을 위해 건축 허가시 화재안전성 검토 등이 필요하다. 둘째, 운영 및 유지 단계는 피난 방화(防火)시설 관리 개선, 시설운영자의 책임안전관리, 소방시설 기능유지 강화 등이 필요하다. 셋째, 대응 및 경감 단계는 방재관련 운영관리매뉴얼, 장비 등의 정비 및 보완, 현장대응 및 전문능력 향상, 화재상황전파 시스템 개발 등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Evacuation Safety Design laws based on the Fire Risk (화재리스크에 기초한 피난안전설계법에 관한 연구)

  • Huh, Ye-rim;Kim, Hye-Won;Lee, Byeong-Heun;Jin, Seung-Hyeon;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51-52
    • /
    • 2019
  • Currently in domestic, it is difficult to the evacuation in fire due to the building is hig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cuation safety design of building. To conduct the evacuation fire design of building, it should be done the Evacuation Safety Verification. But it is not sufficient the Study about Evacuation Safety Verification in currently domestic.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evacuation safety verification using people who they can't the evacuation themselves. The method of verification, we suggest the comparative that people who they can't the evacuation themselves and available safety evacuation time. Available safety evacuation time is determined by determined method from disaster statistics of casualties or equivalence with current standard requirement. it is doing to objectively judge of evacuation safety design validity in building.

  • PDF

A Study on Improvement According to Korea and China Evacuation Laws in Office Building (오피스 빌딩의 한국과 중국 피난관련 법 검토에 따른 개선 연구)

  • Lee, Byung-Hyun;Lee, Kyung-Hee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29 no.2
    • /
    • pp.51-56
    • /
    • 2017
  • In the case of office buildings, domestic and Chinese evacuation laws were compared regarding the evacua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buildings and evacuation to refuge safety areas. A simulation was conducted based on a refuge safety area in China. In the case of evacuating 1 floo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low of occupants to an ancillary room area in a domestic or Chinese building, but in China, the corridor width was narrower and the occupants have saw a long. In the case of evacuating 15 floors, the flow of occupants to an ancillary room area was different. In the case of China, it was possible for occupants to enter the ancillary room more quickly because the ancillary room area was wider than those found in domestic buildings, allowing quickly passage the ancillary room door.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at if corridor width and ancillary room area were wider, evacuation times could be reduced.

Design of Truck Escape Ramps (자동차 긴급 피난 차선의 계획 설계)

  • 구본충
    • Journal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s Association
    • /
    • v.28 no.4
    • /
    • pp.54-75
    • /
    • 1995
  • This synthesis has been prepared from a review of literature on Truck Escape Ramps technology and a survey of current practice by stat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Their locations have been determined usually from a combination of accident experience and en-gineering judgement, but new tools are emerging that can identify needs and sites without waiting for catastrophic accidents to happen. The Grade Severity Rating Systems holds promise in this regard. Design Procedures for truck excape ramps continue to evolve. Gravel arrester beds are clearly the preferred choice across the country Rounded aggregate, uniformly graded in the approximate size range of 13 to 18mm. Tech-nical publications typically have dassified TER types as paved gravity, sandpile, and ar-rester bed ramps. The design speed for vehicle entry into the ramp in critical to the deter-mination of ramp length. An escape ramp should be designed for a minimum entry speed of 130km/hr, a 145km/hr design being preferred. The ramps should be straight and their angle to the roadway align-ment should be as possible. The grade of truck escape ramps show the adjustment of ramp design to local topography, such as the tradeoff of ramp length against earthwork requirements. A width of 9 to 12m would more safety acommodate two or more outof con-trol vehicles. Reguarding comments on the most effective material, most respondents cited their own specification or referred to single graded, rounded pea gravel. The consensus essentially Is that single graded, well -rounded gravel is the most desirable material for use in arrester beds. The arrester beds should be constructed with a minimum aggregate depth of 30cm. Successful ramps have used depths between 30 and 90cm.

  • PDF

Improvement for BF (Barrier Free) Certification to Ensure Disaster Safety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장애인 재난 안전확보를 위한 BF(Barrier Free) 인증제도의 개선 방향)

  • 박진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230-233
    • /
    • 2023
  • 우리 헌법은 인간의 존엄과 가치 그리고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보장하고 있으며, 편의증진법과 교통약자법을 통해 장애인등이 교통수단, 여객시설 및 도로 등을 비장애인들과 차별 없이 이용하여 이동하고, 도로와 대중교통수단, 공공 건축물과 주거 등 생활 필수시설에 자유롭게 접근하기 위한 접근권을 보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이동권의 보장을 편의시설 제도라는 독자적인 체계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하여 장애물 없는 환경 인증 제도(BF 인증제도)를 도입하였다. 시행 15년을 맞은 BF 인증제도는 양적으로는 많은 발전을 가져왔지만, 질적으로 특정 건축물 등 일부에 대한 인증 편중 현상이 있으며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재해 안전확보에 대한 고려가 포함되지 않아 부진정한 이동성과 접근성의 보장이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동권 보장이 얼마나 잘 이루어지느냐는 그 나라의 사회 안전망이 얼마나 잘 갖추어져 있는지 판단하는 척도라 할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이동권 보장은 위험상태에서의 안전한 피난을 함축하고 있으며 중첩적으로 국가의 기본권 보호 의무의 이행과 관련된다. 이에 따라 이동권과 접근권의 증진을 위한 BF 인증 규정을 안전 규범으로 보완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사회의 일원으로서 평등한 인격적 주체로 공동체에 기여하는 안전한 사회적 환경의 조성이 긴절히 요청된다고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 Comparison and Error Calculation in Relation to Fire Room Range Set Conditions of Performance Based Fire Safety Designers (성능위주설계자들의 화재실 범위 설정 방식에 따른 소요피난안전시간(RSET) 비교 및 오차산정에 관한 연구)

  • Baek, Sona;Choi, Jun-Ho;Hong, Won-Hwa;Jung, Jong-Ji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0 no.3
    • /
    • pp.73-78
    • /
    • 2016
  • The Installation, Maintence, and Safety Control of Fire-fighting Systems Act of South Korea regulates that over 30-storey high-rise buildings including underground spaces should vitally perform the Performance-based Design to minimize property damage and personal injury as a fire risk assessment in advance. Therefore a PBD designer such as a fire safety professional engineer evaluate occupant's life safety by a scientific methodology. In order to evaluate the life safety, fire safety designers calculate the Required Safety Egress Time (RSET) which does not have the legal criteria regarding the standard method of calculation yet. So this way has been showing different results depending upon the designer's choice, knowledges and experiences. In this study, RSET calculation methods by six designers respectively were analysed from the thirteen reports of real performance based design projects conducted in Busan for a last five years. In particular, the Response Time calculation methods which have the most powerful effect for figuring the RSET are compared with the other designer's to deduce an error value.

Analysis of Civil Defense Shelters and Measures (민방위 대피소의 실태분석 및 대책방안)

  • Kim, Tae-Hwa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31-31
    • /
    • 2011
  • 1990년 이후 공산체계인 구소련과 동구권이 몰락하고 세계적으로 탈냉전의 변화와 우리의 민주정부 수립 후 햇빛정책 등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적화통일을 포기하지 않고 작년 11월에 연평도에 포격을 가하여 민간인과, 군이 2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 하였다. 또한 북한의 공격은 과거의 포탄공격뿐만 아니라 미사일이나 화생방과 같은 생화학물질 탑재 가능한 공격이 예상된다. 이에 대비 정부에서는 고정시설의 화생방 방호는 일단유사시에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데 필수요소로서 집단보호개념에 도입하고 있으며, 현재 각 중요 대피시설 및 지자체의 기존 대피시설을 개인방호, 탐지, 제독, 운용절차를 포함한 실태파악 및 재래식 탄을 포함한 통합적인 조치를 마련하고 있다. 작년 2010년 11월 연평도에서의 북한 포격이후 우리는 서해5도나 접경지역 주민과 그리고 근접거리의 서울시민들이 안전하게 포격으로부터 피난 할 수 있는 민방위대피소에 대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대책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소방방재청 기준에 따르면 직격(直擊) 핵폭탄을 제외한 화생방, 재래식 무기 공격에 견딜 수 있는 시설은 '1등급 대피시설'인데 서울에는 한 곳도 없다. 고층건물의 지하 2층 이하나 지하철, 터널 같은 2등급 대피시설도 폭격은 견딜 수 있지만 화생방 공격에는 취약하다. 지하상가 등 건축물의 지하층, 지하차도나 보도는 그보다 더 취약한 3등급이며 단독 주택의 지하층처럼 방호 효과가 떨어지는 곳이 4등급이다. 2등급으로 분류된 대피소의 경우 분류만 되어 있을 뿐 장기간 대피시 시민들이 사용 할 수 있는 거주공간이 아닌 임시 대피로서의 역할만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민방위 기본법에 따라 지하에 $3.3m^2$ 당 4명 이상이 대피할 수 있는 규모의 공간을 갖추기만 하면 대피시설로 볼 수 있는 현 문제점과 1등급에서 4등급으로 나뉘어져있는 민방위 대피소와 대피소가 있지만 피난공간으로서의 역할과 구조적으로 안전한가에 대한 국내외 실태 분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우리는 서해5도 대피시설의 반 이상이 무용지물이고 접경지 또한 피난시에 피난장으로서의 대피소가 난방이나, 구급품과 식구 시설 등이 구비가 되어 있지 않고 대피시설로 지정한곳이 간판이나 안내시설이 없다. 외국의 경우 스위스는 연방정부의 관리책임으로 전쟁이나 핵 확산에 따른 화생방 업무 전담팀을 두고 있으며, 방독면은 개인 방호물자로서 전국민 100% 보유하고, 각가정이나 건축, 시설물의 경우 화생방 표준 대피시설 설치관련 규정 마련 시행하고 있다. 대피시설은 화생방 방호가 가능한 지휘부용 대피시설과 일반 주민대피용 시설을 구분하여 설치운영하고 있으며, 전국에 650만개를 설치하고 있다. 결론은 대피시설이 북한 공경시 피난시설로의 활용방안을 모색 등급구분에 따른 현실적용 수정과 기존 대피소 보강과 재선별이 필요하고, 신축시 설계 표준설계안 그리고 기존의 대피소에 대한 보수, 보강방법 가이드라인과 장기간 거주에 대한 설비구축 등과 국민 대홍보등을 제안하였다.

  • PDF

Analysis for Jamming Accident on Emergency Escape through the Bottleneck under High Density Condition (과밀상태하의 병목구간에서 피난 시 보행자 압사사고 해석)

  • Song, Gyeong-Won;Park, Ju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490-493
    • /
    • 2011
  • 공연과 스포츠 문화의 발전으로 한정된 구역에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모이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에 비례하여 불특정 다수의 압사사고 역시 자주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압사사고는 인도, 일본, 독일 등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며, 국내에서도 자주 발생하는 압사사고는 단순히 안전불감증 문제로만 치부되어 특별한 과학적 해석이 행해지지 않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압사사고는 보행자의 심리와 물리적 충돌에 의한 힘에 의하여 일어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집합행동심리를 고려한 이산요소법을 활용하여 과밀상태하의 병목구간에서의 보행자 피난 유동 해석 연구를 진행한다. 연구의 변수로는 출구의 폭, 출구 각도 그리고 보행자의 혼란정도를 나타내는 Panic Factor가 선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