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난보조기구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성능기준도입을 위한 재해약자의 피난 안전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gress planning safety factor of weak person for PBD)

  • 김종성;황은경;윤호주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219-226
    • /
    • 2011
  • 최근 대형화 고층화 복합화 등 점차 발전하는 건축물의 피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성능위주 중심의 피난안전계획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관련 법규의 세부적 기준이 없어 국외 기준에 기반하여 피난안전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신체적 약자로 대변되는 재해약자는 전체 인구 중 17%를 차지하여 점차 증가되는 추세로 그 필요성이 강조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해약자의 피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재해약자의 연구 문헌을 검토한 결과 신체적인 장애보다는 장애에 따른 이동 형태에 따라 재해약자의 보행형태를 구분하여 크게 도보를 이용한 자력 이동과 보조기구를 이용한 조력 이동, 보조기구를 이용한 자력 이동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연령과 장애 모두 영향 인자로 작용하였으며 연령이 높아질수록, 자력 이동이 불편할수록 이동 속도가 저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국내의 현실을 반영하여 조사된 내용을 기반으로 실험적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일개 노인요양병원의 피난안전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Evacuation Safety Function of an Elderly Care Hospital)

  • 김종범;김자옥;백은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9-19
    • /
    • 2010
  • 최근 우리나라는 노인요양병원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화재등과 같은 비상 상황에서 노인의 행동 특성과 신체 상태를 고려한 종합적인 피난계획의 수립이 요구된다. 또한 시설 이용자의 대부분이 중증의 치매 및 뇌졸중을 앓고 있는 환자이기 때문에 자력으로 피난이 곤란하고 환자의 보행상태(침대, 휠체어, 각종 보조기구) 등에 따라 피난시간이 상이하여 이용자 전원을 피난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성능위주의 설계 시 참고가 될 자료를 제시하기 위해 의료시설인 노인요양병원을 모델로 여러 수집된 자료들로 Simulex를 이용하여 피난시간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과정에서 몇 가지 문제시 되는 사항을 발견할 수 있었다.

환자의 유형을 고려한 종합 병원의 피난 절차 분석 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cuation Procedure Analysis Model of General Hospital Considering Patients Types)

  • 이선영;권지훈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7-16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n analysis model evaluating evacuation performance considering patient types and procedural evacuation in the medical facility. The user group of the medical facility, including users challenged in evacuation behavior, entails the risk of many casual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 an evacuation procedure that considers the evacuation characteristics of users. Methods: Through the review of precedent studies, the evacuation procedure of the medical facility, the classification of patient types, and the evacuation procedure was set as conditions and variables for the analysis. The result caused by a variety of conditions and variables were explored. Results: 1) The total evacuation completion time and congestion time were shortened at the procedural evacuation. Moreover, it derived many users from evacuating at the initial phase. 2) The proposed model can provide a basis for proposing a space planning direction that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not carrying out the evacuation plan. 3) It supports safe evacuation by identifying variables that reduce overcrowding by comparing the congestion time of overcrowded spaces. 4) The analysis model can identify the overcrowded space through the evacuation route and suggest the basis for architectural improvements that reduce overcrowding. Implications: The study results can be us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evacuation procedures and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evacuation procedures and building plans for safe evacuation for medical fac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