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피난기준

Search Result 168,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of Dualization of Evacuation Standards (피난기준 이원화의 문제점 및 대책방안)

  • Koo, Gi-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9-110
    • /
    • 2023
  • 건축물 화재에서의 피난대책은 Passive 대책과 Active 대책으로 대별될 수 있다. Passive 대책은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개념으로 공간적 구조체인 특성에 따라 건축법규에서 규율하고 있는데 반하여, Active 대책은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개념의 설비적인 측면에 따라 소방법규에서 규율하고 있다. 따라서 양 법규간 피난기준이 상호 대체적 기능보다는 소방법규에서의 보완적 기능이 보다 더 강하다. 본 연구는 피난기준이 건축법규와 소방법규로 이원화되고 관련설비에 대한 설치기준이 관계법규에 혼재됨에 따라 양 법규간의 상호기능보다는 기준적용의 혼선, 기준간 충돌 등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피난기준 적용을 위한 대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Identifying Problems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High-Rise Apartment Evacuation Design Codes (고층 아파트 피난설계기준 비교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 연구)

  • Hwang, Eun-Kyoung;Seo, Dong-Go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1 no.6
    • /
    • pp.47-52
    • /
    • 2017
  • The recent tragic outbreak of fire at the Grenfell Tower in the United Kingdom compels all branches of government to reexamine and reassess the safety measures against fires in high-rise buildings from a broad perspective.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what problems stem from the current evacuation codes by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igh-rise apartment evacuation codes that range over various individual laws before introducing a new evacuation code. The outcome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amending the existing evacuation codes for high-rise buildings. The codes related to high-rise building evacuation include the Building Act, the Housing Act, the Skyscraper Disaster Management Act, and the Fire-Fighting System Act. Some local governments have also drawn up their own codes and put them into practic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ajor evacuation codes has helped identify a variety of problems, such as different codes being applied to each individual law and ordinance, the use of additional codes other than the provisions of laws and ordinances, and the in effectiveness of evacuation codes. Most of these problems occur when diverse codes are applied to a single building, which means that cooperation among the relevant ministries is urgently needed to improve the related codes in the future.

A Code Review of Egress Performance in Sunken Area (지하 피난안전공간 기준 검토)

  • Kim, Woon-Hyung;Lee, Yong-Jae;Kim, Jong-Sung;Seo, D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266-271
    • /
    • 2011
  • 지하공간 건축물의 피난공간확보는 인명안전설계의 첫 단계로서 이를 위한 선큰설치 기준은 피난안전기준의 제도적 선진화를 위한 매우 중요한 규정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적용되는 선큰의 법적 기준에 대해서 살펴보고 일본과 비교하여 실제 건축물에 대한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다. 현재 사용 중인 선큰 건물을 대상으로 피난시간을 비교 분석한 결과, 비상계단만을 이용한 피난 시간보다 선큰과 비상계단을 함께 이용한 피난 시간이 각각 52%와 65%의 감소하였다. 따라서 비상계단으로의 대피에 비하여 선큰의 피난 효용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선큰 출입구의 설치 위치 및 평면 배치형태가 피난시간에 미치는 영향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High-rise building Egress Safety Rule in Countries for improvement of High-rise evacuation safety design criteria (초고층 피난안전설계 기준 개선을 위한 국내외 피난관계법령 비교에 관한 연구)

  • Hwang, EunKyung;Park, SuRoh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9 no.4
    • /
    • pp.429-438
    • /
    • 2013
  • In this study, compare and analyze for high-rise evacuation safety design criteria improvement about internal high-rise building egress safety rule. To the result, high-rise evacuation safety design criteria improvement data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hould compute the evacuation capacity about the number of persons and when more than 2 exits are requested, over 50% of evacuation capacity must be satisfied even approaching to 1 exit is unable. Second, 2 ways of evacuation can be made smoothly by the stair or exit separation-distance standard regulation. Third, regulate the length limitation of dead-end corridor or passageway and it should give grades in limitation of whether the spring-cooler has been installed. Fourth, must secure the evacuation way and do the evacuee guidance when it's safety area and elevator or stair. Also needs to provide extra safety area to secure horizontal direction Escape Safety except fire escaping floor.

The Improvement of Evacuation Performance for Discount-Store in Underground (할인점 지하매장의 피난성능 개선에 관한 연구)

  • 김영일;윤명오;김종훈;김운형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5 no.1
    • /
    • pp.93-99
    • /
    • 2001
  •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Evacuation Performance o( the I)inc()unto-store in underground that is rapidly new shopping store in Korea. In this paper, The architectural properties of the floor plan and section was reviewed with egress focus, occupant load density of the Discount-store was surveyed and the procedure and method of performance based egress design for this occupancy was analysed with SIMULEX model and calculation method. As a result of modeling, more longer available safe egress time (ASET) is expected than required safe egress time (RSET)in underground discount-store. In order to improve the Evacuation Performance for this type occupancy, egress capacity including escape stair, aisle width, escape door is calculated with based on occupant load density and review of shopping cart's structure and size and maximum escape capacity of the cash counter.

  • PDF

A study on the code improvement about the refuge safety area in high-rise buildings (초고층 건축물 피난안전구역 관련 기준의 개선을 위한 개념적 연구)

  • Han, Myung-Sin;Park, Jae-Sung;Choi, Young-K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149-154
    • /
    • 2010
  • 건축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경제적 가치추구 등에 따른 국가 사회적 수요로 인하여 초고층 건축물의 건설물량은 이들 건축물에 대한 효과적인 피난안전대책을 정립하기도 전에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는 2009년 7월 16일 재정된 건축법 시행령을 통하여 층수가 5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200미터 이상인 건축물을 '초고층 건축물'로 규정하고, 이러한 건축물의 피난안전을 위하여 지상층으로부터 최대 30개 층마다 설치하는 대피공간을 '피난안전구역'으로 정의하였다. 이후 2010년 2월 18일 개정령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의 피난안전구역을 건축물의 '피난층'으로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피난대상인원 등에 따른 대피공간의 면적이나 구조 등 내부시설에 대한 설치기준이 없어 피난안전구역으로서의 충분한 신뢰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어 이에 대한 심층적 연구와 기준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 PDF

Comparison of Evacuation Efficiency for Stair Width and Code for Occupant Load Calculation in High-rise Buildings (고층의 주상복합건축물 계단폭과 수용인원 산정기준에 따른 피난효율의 비교)

  • Lee, Yang-Ju;Ko, Kyoung-Chan;Park, Woe-Chul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5 no.1
    • /
    • pp.1-6
    • /
    • 2011
  • An evacuation simulation was carried out to confirm evacuation efficiency for stair width and problems in calculation of occupant load for high-rise buildings. The evacuation time and number of evacuated persons from a 39 story condominium-mercantile building were calculated by using Simulex for stair widths of 1.2 m, 1.5 m, and 1.8 m. The total occupant load based on the Korean code was higher than the number of actual residents by 2.3 times, and that based on the NFPA 101 Life Safety Code by 2.6 times, respectively. For the occupant load based on the Korean code, smaller stair width resulted in lower evacuation efficiencies due to bottlenecks in egress. For the actual residents and NFPA code-based occupant load, a high evacuation efficiency and negligible effects of the stair width on evacuation efficiency were confirmed.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bottleneck even at the stair width of 1.8 m for the Korean code-based occupants, while the stair width of 1.2 m provided safe egress to the actual residents or NFPA code-based occupants. This recommended further studies on possibility of lowering the level of the Korean code in calculation of the occupant load.

Study on Horizontal RSET Evacuation safety verification process Based ASET in Underground Link Multi-Complex building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ASET 기반의 수평 RSET 피난안전성 검증 프로세스 연구)

  • Song, Chang-Young;Song, M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146-149
    • /
    • 2015
  •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건립이 급증함에 따라 건축물의 피난 성능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복잡 다양해진 피난유도에 대한 피난시설 배치와 RSET(Required Safe Egress Time)이 필수적으로 관련 지침에 명시되고 있다. 그러나 RSET에 대한 신뢰성 검증 및 용도별 수용인원 산정 방법이 주관적인 관점에 의해 제시되고 있으며 이런 검증 자료의 검토기준이 정량적이지 않아 안전성 확보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피난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가장 적합한 검증을 위해 방재 선진국의 ASET 기준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지하연계 건축물 등에서 국내 실정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최적화된 ASET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ASET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피난안전구역 및 준하는 구역의 현실 가능성을 분석하고 국내 외에서 상용화되고 있는 피난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통해 건축물의 용도에 따른 수용인원 산정기준의 현실적 방안과 피난경로 설정의 Logic을 감안하여 피난의 안전 및 최단시간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지하연계복합 건축물에서 요구하는 피난성능과 수용인원의 최적화된 RSET을 정량적으로 도출함에 따라 피난 안전성에 대한 검증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 PDF

피난기구의 적응성 비교 연구

  • Choe, Gyu-Chul;Na, Pan-J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04a
    • /
    • pp.12-13
    • /
    • 2013
  • 국가화재안전기준(NSFC 301)에서 규정하고 있는 소방대상물별 피난기구를 선정하여 사용자 특성을 고려한 상황을 가상하여 행동실험을 통해 피난기구별 그 효용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단순한 체험실험을 통해서 얻어진 결과는 노인요양시설이나 유아교육시설과 같은 피난 시 협조자의 도움이 필요한 시설에서의 피난기구 선정은 현 기준에서 제시한 다수의 피난기구가 그 적응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Capacity of Refuge area in Multiple Occupancy Building with Underground Facility (지하연계복합건축물의 피난 안전구역 면적 산정)

  • Kim, Jong-Sung;Kim, Woon-Hyung;Lee, Yo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272-276
    • /
    • 2011
  • 최근 발생한 부산 해운대 화재 이후 피난 활동이 제한적인 고층 건축물의 화재 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규정은 50층 이상의 초고층 건축물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준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제도적 기반과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하연계복합건축물에 관한 피난 안전구역면적 산정 기준에 대한 적용성을 분석하고자 국외의 관련 기준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용 인원에 관한 기준은 홍콩, 한국, 싱가포르, 중국 순으로 강화 적용하고 있으며 피난안전구역의 면적은 싱가포르의 경우 전체 수용 인원의 50% 이상과 1명당 $0.3m^2$을 전제로 하는 피난안전구역의 면적 기준이 국내의 각 층별 1/10의 면적의 합과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