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플랫폼 생태계

Search Result 24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Integrated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Using Meta Model (메타모델을 활용한 기후변화 통합영향평가)

  • Yu, Myungsu;Song, Ye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10-410
    • /
    • 2019
  •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인 환경문제 중 하나이며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4차 평가보고서에서는 인류가 직면한 최대 위협이라고 하였다. 또한, IPCC는 현재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은 명백히 나타나고 있으며 향후 기후변화에 의한 기상이변 예측과 적응 정책 및 조치가 중요하다고 권고하였다. 적응 정책 및 조치를 위한 기후변화의 영향분석은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진행하고 있으나 개별 및 분류의 선형의 순차적 관계에 따라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기후변화는 자연생태계와 인간 활동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기에 개별적 연구 보다는 타 부문의 영향 및 결과가 환류되고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후변화 영향평가는 농업, 물, 산림, 생태, 건강 등 다양한 부문 내/간 상호작용을 고려할 수 있는 통합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 통합 평가를 위해 플랫폼 개발은 필수적이며, 신속한 분석을 위해서는 개별 부문의 상세모델을 모방한 메타모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메타모델을 개발하고, 상호 연결을 통해 다양한 연계양상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랜섬웨어를 이용한 암호화폐 탈취 및 자금세탁 방법에 대한 대응방안 연구 동향 분석

  • Jo, Uk;Kim, GuemBo;Heo, ShinWook;Kim, Howon
    • Review of KIISC
    • /
    • v.32 no.3
    • /
    • pp.19-26
    • /
    • 2022
  • 스마트컨트랙트를 사용하는 블록체인 2세대를 넘어오면서 블록체인 생태계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블록체인 플랫폼 내에서 자체 발행되는 암호화폐는 다양한 수익 상품들(ICO, DeFi, NFT, Staking 등)을 등장시켰다. 암호화폐가 실물 화폐를 대체할 새로운 대안이라고 여겨지고 있지만, 최근 암호화폐를 악용한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시스템을 감염시켜 몸값을 요구하는 랜섬웨어의 경우 기존의 현금을 요구하기보다 자금 세탁에 용이한 암호화폐로 요구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암호화폐의 경우 손쉽게 믹싱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블록체인의 특성상 모든 트랜잭션을 확인할 수 있음 제3의 신뢰기관이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네트워크는 계좌로 연결되기 때문에 익명성이 보장되어 범죄자들이 자금세탁에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 랜섬웨어에 사용되는 암호화폐 자금세탁 사례를 살펴보고 자금 세탁 시 사용되는 믹싱 서비스에 대해서 분석했다. 또한 불법 자금세탁을 식별하기 위한 기술적 연구 동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A Study on the Status and Prospects of Blockchain, the Core of Metaverse's Economic System (메타버스 경제 시스템의 핵심인 블록체인의 현황과 전망에 대한 연구)

  • Hwa-Seon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229-231
    • /
    • 2023
  • 최근 대화형 AI와 생성형 AI의 폭발적인 성장과 현실화로 인해, 한 때 온세상을 떠들썩 하게 했던 메타버스와 블록체인 기술은 잊혀지고 있다. 하지만 메타버스는 필연적으로 Web 3.0 시대의 대표적인 플랫폼으로 흘러갈 것이며, 블록체인 기술은 디지털 경제 생태계의 핵심 기술임에 틀림이 없을 것이다. 언제가 될지는 모르지만 다시금 메타버스가 세상을 혁명적으로 변화 시키는 그 때를 염두에 두며, 메타버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블록체인 기술의 현황을 살펴보고 그리 멀지 않은 미래에서의 모습도 전망해 본다.

  • PDF

항로표지 기반의 해양환경정보 활용 방안 연구

  • 최원진;문성배;정민;이신걸;송재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1.11a
    • /
    • pp.46-47
    • /
    • 2021
  • 항로표지 기반 정보의 디지털화 및 표준화를 위해 개발 중인 스마트 항로표지는 단순한 항로표지 및 수집 하드웨어가 아닌 해양정보 플랫폼의 개념으로, 해양에서 분석하고 싶은 정보가 있을 경우 스마트 항로표지에 센서 등을 설치하여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이에 항로표지를 이용하여 방사능, 미세플라스틱 및 해양부착생물에 관련된 정보를 생성하여 일반사용자, 기관 및 연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일본 오염수 해양 방출, 플라스틱 사용의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 및 지구온난화 등의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 생태계 및 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고자 한다.

  • PDF

블록체인 기반 NFT 서비스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

  • Heesang Kim;Dohoon Kim
    • Review of KIISC
    • /
    • v.34 no.1
    • /
    • pp.27-32
    • /
    • 2024
  • 블록체인 기반 NFT(Non-Fungible Token)는 자산 디지털화 및 소유권을 위한 독특한 기회를 제공하면서 디지털 경제를 변화시키는 원동력으로 등장했다. 블록체인 생태계 내에서 NFT의 급속한 출현은 디지털 자산 관리 및 소유권에 있어 중요한 발전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기술 혁신, 시장 역학 및 규제 프레임워크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블록체인 기반 NFT 서비스의 운영 전략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기술과 시장 역학의 교차점을 강조하면서 이더리움 블록체인에서 NFT의 기술적 토대, 확장성과 상호 운용성의 과제, 다양한 시장 관행의 의미를 연구한다. 디지털 경제에서 기능을 향상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NFT 표준화, 확장성 및 사용자 참여의 과제와 기회를 조사하여 다양한 시장 애플리케이션에 맞게 NFT 플랫폼을 최적화하는 데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Policy Recommendation for New Regional Industrial Polic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4차 산업혁명시대의 새로운 지역산업정책방향에 대한 정책제언)

  • Lee, Daeshi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6
    • /
    • pp.193-200
    • /
    • 2019
  •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performance of regional industrial policy in the face of the weaken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under the global trend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uggests the policy direction that regional industrial policy as a new national growth strategy. This study focuses on the suggestion of new regional industrial policy framework under new policy environment based on literature review. We propose a new industrial policy framework that simultaneously pursues equality between regions and efficiency within the region at the same time. As a core policy recommendation, we suggest first, establishing the region-centered industrial policy governance, second, strengthening planning function of local government through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institutionalized national government consulting, and the third, constructing lifestyle industry-ecosystem based on cultural asset and identity of region, fourth, utilizing Smart City, as a platform for participatory innovation, entrepreneurial and capital attraction, and cultivating new industry based on public procurement and data. Main suggestions of this study would be a new guideline coping with the declining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d the Fouth Industrial Revolution. Details would be necessary.

management and exploitation of ecological data in lakes and rivers (수생태계의 데이터수집과 활용)

  • KIM, Bom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3-103
    • /
    • 2017
  • 생태학 분야에서는 생물의 분포, 변동, 서식환경요인의 변화, 등의 여러 종류의 데이터들이 수집되고 있는데 데이터의 형태가 다양하여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형태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근래에 들어 각 종 측정기기들이 개발되면서 생태조사 분야에서도 데이터의 양이 급증하는 시점에 있다. 수생태계 분야에서도 전통적인 생물상조사의 데이터는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지만 자동측정센서가 개발된 항목의 경우에는 데이터가 급증하는 단계에 있다. 수생태계에서 흔히 조사되는 플랑크톤의 군집구조 자료를 보면 하나의 조사대상 시료에서 출현하는 종의 수가 50 종정도에 이르며 각 개체의 종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있으므로 종조성조사는 아직 자동화가 어렵다. 그러므로 플랑크톤 자료의 특성은 조사의 시료수(case)는 적고 측정항목(변수 variable)이 많은 특성을 가진다. 반면에 센서가 개발된 수질과 관련된 항목들은 자동측정설비가 확대되고 있어 변수는 적지만 장기간의 time series 들이 수집되고 있다. 녹조현상이 관심을 끌면서 여러 곳에 식물플랑크톤의 양을 측정하는 chlorophyll 센서가 설치되고 있는 것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그 외에 정량화되지 못하는 정성적 자료들도 수집되고 있으며 자료수집방법의 표준화도 미흡한 예가 많이 있고, 자료의 형태가 다양하여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을 어렵게 한다. 환경부는 전국의 주요 하천 지점에서 정기적으로 수질을 측정하여 공개하고 있으며, 일부 지점에는 자동수질측정시설을 설치하여 측정의 빈도를 높이고 있다. 하천이나 호수에서 센서를 이용한 고빈도 모니터링은 그 동안 인지하지 못하였던 단기적 생태계 변화에 대해 새로운 정보를 제공하여 연구의 장르를 넓혀 가고 있다. 도시하천에서 산소를 측정한 사례를 보면 강우 시에 일시적으로 산소가 고갈되는 현상이 관찰되며, 부영양한 호수와 하천에서는 주야간 산소의 급격한 변동이 생태계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식물플랑크톤 센서의 연구에 의해 단기적인 변동이 크게 나타나고 있음이 새로이 밝혀지기도 하였다. 데이터의 수집과 활용도를 높이려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과거에는 개인단위로 이루어지던 연구가 이제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공유하는 플랫폼이 만들어 지면서 공동연구가 확대되고 있고, 국제적으로 지역을 초월하는 공동연구도 가능하게 되었다. 국제호수관측망학회(Global Lake Ecological Observatory Network, GLEON)이 그 사례이며 세계 여러 나라의 학자들이 참여하여 국제적으로 데이터를 공유하고 공동연구를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생태계데이터의 증가는 생태학자들의 연구역량을 초과하는 데이터의 관리와 활용의 능력을 요구할 것이며 환경 생태 IT 분야의 융합연구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그간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에는 일부 성과가 있었으나 아직 수집된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이고 타분야와의 협력연구 시너지를 확대하려는 노력은 부족하다. 이제는 데이터의 수집과 저장뿐 아니라 데이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학제적 협력연구를 촉진하는 off-line 모임도 확대할 때이다.

  • PDF

Exploring the Formation Process and Key Drivers of a Creative Milieu in the Early Arts and Cultural Ecosystem: The case of Seongsu-dong, Seoul, Korea (초기 문화예술생태계에서 창조적 환경의 형성과정과 추동요인: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 지역을 사례로)

  • Lee, Jiw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51 no.5
    • /
    • pp.691-711
    • /
    • 2016
  • Recently, Economic spaces around the world have changed dynamically. Creative arts and cultural actors have begun to emerge in old industrial neighborhoods of major metropolitan cities. These new actors can be seen as creative actors in arts and culture, as well as non-economic actors that have been somewhat overlooked in the traditional approaches of economic geography. They contribute to overcoming regional economic crisis, as these actors bring a particular deviant and creative atmosphere in the neighborhood. Especially, informal gatherings of artistic communities play a pivotal role in knowledge platforms for dynamics of knowledge creation and creativity, whi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haping a creative milieu in the initial stage of formation of a regional ecosystem. In this regard, this paper will investigate the fundamental mechanisms and driving forces of urban spatial restructuring through a case study of the creative arts and cultural ecosystem in Seongsu-dong, Seoul, Korea. Thu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ormation process and key drivers behind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arts and cultural ecosystem in Seongsu-dong from an evolutionary perspective.

  • PDF

Development of Contents on the Marine Meteorology Service by Meteorology and Climate Big Data (기상기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해양기상서비스 콘텐츠 개발)

  • Yoon, H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1 no.2
    • /
    • pp.125-138
    • /
    • 2016
  • Currently, there is increasing demand for weather information, however, providing meteorology and climate information is limited. In order to improve them, supporting the meteorology and climate big data platform use and training the meteorology and climate big data specialist who meet the needs of government, public agencies and corporate, are required. Meteorology and climate big data requires high-value usable service in variety fields, and it should be provided personalized service of industry-specific type for the service extension and new content development.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 it is essential to build the collaboration ecosystem at the national level. Building the collaboration ecosystem environment, convergence of marine policy and climate policy, convergence of oceanography and meteorology and convergence of R&D basic research and applied research are required. Since then, demand analysis, production sharing information, unification are able to build the collaboration ecosystem.

The Characteristics and Future Trends of Short-Form Animation (숏폼 애니메이션의 특성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Lee, Sun-Ju;Han, Je-Sung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8
    • /
    • pp.29-51
    • /
    • 2015
  • With the progress in high speed internet networks, mobile devices and social networking, the eco-system of the media has shifted from that where the flow of content was one-way from the producer to the consumer. A so-called 'prosumer' culture has taken root where the consumer himself produces media content. Along with these trends, various video-sharing platforms such as youtube has a method of allocating advertisement profit to the content producer, offering a win-win platform for content pro-sumers. This allows the channels to attract several tens of millions of subscribers and raise an annual income of over 10 billion Won, marking a revolutionary change in the content industry. This paper seeks to analyze video distribution channels and short-form media content that are showing continuous growth to identify new markets where animated content can make progress in an era of online video media platforms, as well as provide a future direction for small teams of creators of animated films to survive and thrive in this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