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플랑크톤

Search Result 1,295, Processing Time 0.04 seconds

호수 생태계에서의 먹이사슬과 먹이연쇄

  • 김명운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33 no.1
    • /
    • pp.66-71
    • /
    • 1997
  • 호수 생태계내의 생물군집은 생산자로서의 식물플랑크톤과 소비자로서의 동물플랑크톤 및 어류가 주된 위치를 차지하고 세균은 분해자로서 기능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1970년대에 들어 세균군집이 생태계내에서 먹이사슬을 연계하는 2차 생산자로서도 기능한다는 사실이 제기되어, 오늘날에는 생태계내에서 세균군집의 역할이 보다 강조되고 있다(6,40,41,42,50). 먹이사슬에 대한 관심은 많은 연구결과들을 생산하였지만 복잡한 먹이사슬 구조는 아직까지 부분적인 이해만을 허락하고 있다. 특히, 어류, 동물 플랑크톤, 식물플랑크톤, 미생물의 각 분야가 서로 구분되어 발전해 왔기 때문에 이들간의 상호작용을 정확하게 밝히는 데에는 많은 한계가 있어 왔다. 1970년대 이래로 담수생태계의 부영양화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생태계내의 먹이 사슬을 이용하는 생물조작의 개념이 대두되었으며, 각 분야의 통합적 연관성을 필요로 함으로써 생태계 이해에 많은 지식을 제공하였다. 이 글에서는 담수생태학의 한 분야로서 생물군집간의 상호작용인 먹이사슬의 연구동향을 생물조작 개념을 중심으로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성층 호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태풍의 영향

  • 조혜경;김형미;이학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241-244
    • /
    • 2003
  • 2000년에 발생한 12호 태풍(Prapiroon)에 의한 성층 호수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화양상을 주암호의 복교지점에서 2000년 8월 30일부터 9월 29일 까지 조사하였다. 프라피룬은 복교지점에서 초속 40m의 강풍을 동반하였는데, 이 물리력은 성층으로 인해 불연속적 층을 형성하고 있던 수괴 전체를 혼합시켰다. 수체의 혼합은 격리로 인해 이질적 환경과 생물조성을 이루고 있던 층간의 혼합을 유도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우점 분류군, 종조성, 우점종을 교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추측되었다. 식물플랑크톤의 우점 분류군은 태풍 이전의 규조류에서 녹조류로 교체되었고, 후에 남조류로 교체되었다. 우점종은 태풍 이전에는 Melosira granulata였으나 태풍 이후에는 Scenedesmus spp.와 Staurastrum sp.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체수의 밀도는 태풍에 의한 변화가 크지 않았다. 태풍에 의해 파괴되었던 성층은 태풍 이후 재성층화 되기 시작하여 6일째엔 안정된 성층이 관찰되었다. Secchi depth는 태풍에 의해 많이 감소하였으나 수체가 안정화되면서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태풍은 여름의 성층으로 분리된 수괴를 혼합시킬 수 있는 물리력을 가져 수서 생태계 내 생물의 동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남해 연수연안의 거머리말 해초지 식물플랑크톤의 분포 특징

  • O, Hyeon-Ju;Lee, Sang-Yong;Kim, Jeong-Bae;Mun,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283-284
    • /
    • 2006
  • 해초지와 해초가 없는 수괴에서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특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해황과 해초지의 규모가 다른 가막만의 원포연안과 여자만의 백일도 주변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을 채집하고, 수온, 염분, 용존산소, Chlorophyll a와 영양염을 2006년 2월부터 8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동안 해초의 유무에 따른 수온과 염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용존산소, Chlorophyll a와 영양염 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거머리말 해초지와 조사 시기에 따른 수온, 염분, 용존산소, Chlorophyll a와 영양염 농도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원포의 수온은 백일도보다 낮았으나, 염분은 유의하게 높았다.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과 종조성은 조사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현존량은 해초지에서 낮게 나타났다.

  • PDF

2002년 통영연안의 적조발생전후의 수질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특성

  • 강양순;권정노;손재경;정창수;홍석진;공재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40-141
    • /
    • 2003
  • 식물플랑크톤은 여러 환경요인들의 변화와 해역의 해양학적 특성에 따라서 매우 다른 형태의 군집구조를 나타내고(Legendre and Legendre,1978), 물리적, 화학적 환경요인의 변동에 따라 종조성이나 출현수에 있어서 뚜렷한 변동을 보이므로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Smayda,1978).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는 해양생태구조 파악이나 해역의 환경지표 및 효율적 해역이용관리를 위해 무엇보다 우선 파악되어야하며(Gou and Zang, 1996),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양상 및 군집구조를 환경요인과 같이 연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중략)

  • PDF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 the Northern Yellow Sea During Autumn and Winter (가을-겨울철 황해 북부의 동물플랑크톤 시공분포 특성)

  • Lim, Dong-Hyun;Yoon, Won-Duk;Yang, Joon-Yong;Lee, Y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5 no.4
    • /
    • pp.339-344
    • /
    • 2009
  • The joint cruises of six times between Korea and China were carried out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al and ocean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Yellow Sea for 6 years from 1998 to 2003. Zooplankton samples were collected one time per year at 24 stations on 3 lines of the Yellow S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easonal fluctu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the Yellow Sea. There is no trend 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pepoda, the major taxon of the Yellow Sea, was high in distribution in the eastern part and Chaetognatha in the western part of the Yellow Sea. In this results, the dominant copepods were Calanus sinicus, Paracalanus parvus s.l., Oithona atlantica, and Corycaeus affinis during the study periods. The density fluctuation of these dominant species may b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fisheries resource of the Yellow Sea.

  • PDF

Seasonal Change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Water Quality in Yeongsan River Watershed (영산강 수계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변화)

  • Son, Misun;Park, Jong-Hwan;Lim, Chaehong;Kim, Sekyung;Lim, Byung-Ji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1 no.2
    • /
    • pp.105-112
    • /
    • 2013
  • Environmental parameter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at four sites of Yeongsan River between April 2010 and December 2011. The standing crops of the phytoplankton ranged from $275cells{\cdot}mL^{-1}$ to $58,600cells{\cdot}mL^{-1}$ with an average of $5,850cells{\cdot}mL^{-1}$. The dominant species were Cyclotella sp., Stephanodiscus sp., Aulacoseira granulata, Scenedesmus quadricauda, Pediastrum biwae, Coelastrum sp., Aphnizomenon sp., and Oscillatoria sp.. The most dominant species was Stephanodiscus sp..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ranged from $2.3mg{\cdot}m^{-3}$ to $164.2mg{\cdot}m^{-3}$. The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of the survey area was influenced by temperature and rainfall.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Kyeonggi Bay, Yellow Sea (경기만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 윤석현;최중기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8 no.3
    • /
    • pp.243-250
    • /
    • 2003
  •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was investigated in Kyeonggi Bay with monthly samples from February 2001 to December 2001 at 5 stations along a transect between Incheon coastal waters and Seongap-Do. Monthly mean abundance of total zooplankton ranged from 1,100(Feb.)∼404,200 indiv./㎥ (Aug.) and annual mean abundance of total zooplankton was 55,000 indiv./㎥. The spatial mean abundance of total zooplankton varied from 114,600 indiv./㎥ (Incheon coastal waters) to 16,500 indiv./㎥ (Seongab-Do). Zooplankton abundance was higher in the inner bay than in the outer bay. Noctiluca scintillans, Acartia hongi, Oithona davisae, Paracalanus crassirostris, Paracalanus indicus and Oikopluera spp. were dominant species in Kyeonggi Bay and they contributed 95% of annual mean abundance of total zooplankton. Most of dominant species distributed widely in study area throughout the year, however seasonal abundance peak only happened in inner part of the Bay. This pattern suggests that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zooplankton is affected by the varia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phytoplankton standing stock.

The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Kyeonggi Bay, Yellow Sea -IV. The Successional Mechanism and the Structure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서해(西海) 경기만(京幾灣) 식물(植物) 플랑크톤에 대(對)한 생태학적(生態學的) 연구(硏究) -IV. 식물(植物)플랑크톤의 군집구조(群集構造)와 계절적 천이 기작)

  • Choi, Joong Ki;Shim, Jae Hyung
    • 한국해양학회지
    • /
    • v.23 no.1
    • /
    • pp.1-12
    • /
    • 1988
  • To clarify the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in the Kyeonggi Bay, the commun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phytoplankton communities. Low diversity with occurrence of few dominant species throughout the year, except summer, implies that ecological environment of this study area is very unstable due to incessant physical perturbation and large fluctuation of other environmental facto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luster analysis this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river discharge, polluted and unpolluted are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overall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is area clearly showed four seasonal succession patterns grouped into the spring type, the summer type, the late summer type, the late autumn-winter type. Summer communities composed of common phytoplankton are high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and transparency. Winter communities composed of most tychopelagic plankton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spended substances and nutrient, whil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ransparency.

  • PDF

Study on Resources Annexation in Tongyeong Marine Ranching I. Effects of Zooplankton Attraction by Night-lights (통영 바다목장 자원조성을 위한 연구 I. 야간점등에 의한 동물플랑크톤 유도효과)

  • Yoon, Ho-Seop;Choi, Sang-Du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4 no.2 s.62
    • /
    • pp.126-137
    • /
    • 2006
  • Effect of night-lights on zooplankton attraction has been studied in Tongyeong marine ranch area during the period from 12 July to 30 August, 2004. Each sampling has been carried out to collect zooplankton from both control area in natural waters experiment area of night-lights waters at night. A total of 43 taxa of zooplankton occurred during the study. Copepods showed the prosperity in species number with 15 species. Acartia erythraed and Copepodite occurred abundantly in night-lights waters. Zooplankton abundance appeared to increase in night-lights mainly due to the gathering of copepods and larvae through the study period. Average $3\sim166$ times of zooplankton abundance was recorded in night-lights when compared with that in control area of natural waters due to the gathering of copepods and larvae. Cluster analysis, based on monthly abundance data of the 13 most frequent species, showed that the species were seperated into two different groups: the photo-positive group and the photo-negative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