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플라스틱 사출성형

Search Result 169,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플라스틱 비구면 Pick-up 렌즈의 사출조건에 의한 수차변화

  • 이승수;조언정;현동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10-210
    • /
    • 2004
  • 최근 광 디스크로부터 신호를 검출하고 기록하는 핵심장치인 장 Pick-up이 점차로 고기능화, 소형화, 경량화 되면서 광 기록장치들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초소형, 초경량 광 Pick-up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광 Pick-up의 무게와 크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 렌즈의 재료를 유리에서 플라스틱으로 전환하고, 비구면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플라스틱 비구면 렌즈를 대량 생산하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 사출성형이고, 소형, 경량, 휴대기능을 강조하는 제품동향으로 인하여 플라스틱 렌즈의 주요 생산기술인 사출성형의 중요성이 날로 부각되고 있다.(중략)

  • PDF

CAE Simulation Study an Filling Imbalance in Multi-Cavity Injection Molding (다수 캐비티 사출성형에서 충전 불균형 현상에 관한 시뮬레이션)

  • Jeon, Kang-Il;Kim, Dong-Ha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678-681
    • /
    • 2009
  • 사출성형은 열가소성수지의 가공법으로써 정밀도나 고품질의 제품을 효과적으로 생산하는데 널리 이용되며 플라스틱은 현재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공업재료 중의 하나이다. 과거에는 플라스틱을 일회용품 및 외장재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산업기술이 발전하며 플라스틱은 금속을 대체 할 수 있는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는 인식의 변화로 점차 기계요소용 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기계요소용 재료로 사용됨에 따라 플라스틱 제품이 정밀한 부품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금형의 가공뿐만 아니라 사출성형 시 용융수지가 금형의 각 캐비티에 균형적으로 충전되는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각 캐비티의 가공치수는 매우 높은 정밀도를 유지해야 하며, 각 캐비티에서의 충전과 냉각도 동일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충전 불균형은 성형품의 품질에 큰 저해 요인으로서 플라스틱 제품의 치수성, 밀도, 외관품질, 강도 등에 불균일한 결과를 가져오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실제로 충전 불균형은 충전 단계에서 런너 내에서 발생하는 불균일한 전단분포에 기인하여 발생되므로 점도변화에 영향을 주는 수지의 물성, 런너의 배열과 같은 외부 요인과 사출압력, 사출속도, 수지온도, 금형온도와 같은 성형공정 조건에 의한 요인에 의한 충전 불균형의 양상이 달라지게 된다. 본 연구는 다수 캐비티 금형에서 충전 불균형 현상에 대한 원인을 검토하고 실제로 사출성형을 실시하기 전 사출성형해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여 다수 캐비티에 대한 충전 패턴을 미리 예측하여 보았다.

  • PDF

The prospects and the present condition of Plastic Industry in Japan (세미나 - 일본의 사출성형기 기술개발 동향)

  • 등 영부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16
    • /
    • pp.128-134
    • /
    • 2011
  • 1869년 미국의 Hyatt 형제는 상아 당구공의 대체 재료로서 셀룰로이드(질산섬유계 플라스틱)를 발명하고, 1872년에는 이 재료들을 성형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사출성형기를 개발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성형된 셀룰로이드는 단단하면서도 약해 당구공으로는 사용할 수 없었으나, 브러시나 빗의 손잡이, 양복의 칼라, 사진의 필름, 탁구공 등으로 실용화되었다. 그 후 여러 기능을 가진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틱이 잇따라 발명되었다. 이와 같은 플라스틱의 기능을 활용한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 사출성형기는 끊임없는 기술개발을 통해 진화를 거듭해 왔다. 일본의 사출성형기 업계는 구미의 기술을 도입하며 발전해 왔다. 그 후 세계에서 제일 먼저 전동식 사출성형기를 개발해 실용화함으로써 최첨단 수준의 성능 및 기능을 달성해, 현재 많은 신기술제품의 중요한 수지부품생산에 공헌하고 있다. 아래에 항상 높은 수준을 추구하는 플라스틱업계의 니드에 부응하기 위해 계속되어 온 일본의 사출성형기의 기술개발 동향에 대해 그 개요를 소개한다.

  • PDF

A Knowledge-Based Plastics Injection Molding Expert System for Diagnosis and Troubleshooting (플라스틱 사출성형의 진단과 불량대책을 위한 지식기반 전문가시스템)

  • 최진성;서태설;한순흥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 no.1
    • /
    • pp.1-9
    • /
    • 1996
  • 사출 성형의 초보자도 이용할 수 있으며 사출 성형기의 이력 관리를 할 수 있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의 진단과 불량대책을 위한 지식 기반 전문가 시스템을 ATR-IM 이라는 범용 전문가시스템 쉘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지식베이스(knowledge base)는 수지 회사와 관련 서적, 전문가의 경험을 토대로 구축하였으며, 구현된 시스템은 크게 사출 공정 조건 설정 시스템, 사출기 ID에 따른 이력 관리 시스템, 사출성형 불량진단 시스템의 세부분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방법에 따라 업체별 사출기 성능에서 오는 공정 조건값의 차이를 사출공정 조건값의 저장에 의해 고려할 수 있으며, 불량 해결에 대한 전문가시스템이 추론 순서 결정을 경험적 확률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작업 환경을 고려한 전문가시스템이 되도록 하였다.

  • PDF

업체탐방 - ㈜동진레벨 -'플라스틱 사출성형 조립식 난상' 최초 개발

  • Jang, Seong-Yeong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3 no.8
    • /
    • pp.122-125
    • /
    • 2011
  • 난상은 대부분 평사 사육을 하는 종계와 유정란 농장에서 방란 파란 집란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치한 시스템이다. 이 가운데 국내 순수 기술과 연구과정을 통해 조립식난상을 제조 판매하는 (주)동진레벨이 국내 최초로 특허 받은 신제품 '플라스틱 사출성형 조립식 난상'을 출시해 선보인다. 기존의 철재나 목재 조립식 난상의 단점을 보완해 제작된 이번 신제품은 지난해 겨울부터 반년이상의 연구기간과 막대한 제품 개발비가 투자 되어 특허권 등록을 마치면서 금년 7월 1일 첫 선을 보였다. (주)동진레벨의 김진술 대표를 만나 신제품 '플라스틱 사출성형 조립식 난상'에 대해 인터뷰한 내용을 본지를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

Flow analysis of non-isothermal three dimensional filling phase in injection molding and its application (사출성형에서의 비등온, 3차원 유동해서과 그 응용)

  • 김대업;정근섭;이귀영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5 no.1
    • /
    • pp.17-24
    • /
    • 1993
  • 사출성형 문제는 열전달과 유체유동이 복합된 문제라고 할수 있다. 사출성형 공정은 충진(filling), 보압(packing) 및 냉각과정(cooling phase)으로 이루어 진다. 충진과정은 높은 점성의 Non-Newtonian유체가 몰드내의 캐버티로 사출됨으로써 이루어지며 플라스틱의 점성도는 플라스틱의 온도 및 유동속도와 관련이 크며 이 flow-rate는 점도와 더불어 변화한다. CAE 유동해석 프로그램은 유체의 흐름과 열전달을 이용하여 충진과정을 이해하는데 이용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사출성형 과정 중 충진과정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그 적용사례에 대하여 살펴본다.

  • PDF

Injection Molding Simulation Case of Plastic Gear using Planets (Planets을 사용한 플라스틱 Gear의 사출성형 해석 사례)

  • 김태훈;정우식;허용정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1.11a
    • /
    • pp.131-134
    • /
    • 2001
  • 플라스틱 성형 분야는 최근 급속도로 성장한 첨단기술 분야이다. 플라스틱 성형 분야는 종래 전문가의 경험에 주로 의존해 왔으나 시장의 요구가 점점 고급화, 다양화되어감에 따라 경험적인 내용에만 의존해서는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 의하여 플라스틱 성형 분야에 CAE 기법이 도입되었고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플라스틱분야에서 개발된 최첨단 상용 CAE 소프트웨어인 Planets을 사용하여 기존의 상용 소프트웨어로서는 충분한 정밀도를 얻기 어려웠던 플라스틱 Gear에 대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A Study on Supplementary Features of Injection-Molded Parts Using TRIZ and Axiomatic Design (트리즈와 공리설계 기법에 의한 사출제품 부형상 설계)

  • Lee, Jae-Chul;Huh, Yong-Jeo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1145-1148
    • /
    • 2010
  • 우리 생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플라스틱은 그 사용 정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중에서도 플라스틱은 사출성형제품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다. 사출성형의 제품은 높은 정밀도와 긴수명이 요구되며, 품질, 가격, 납기에 대해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어야한다. 하지만 플라스틱은 열이나 하중 등 사용 환경에 따라 변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일용잡화나 케이스류, 장식품 등의 일반적인 용도 이외에는 사용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설계자는 보다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이론적 지식이 필요하다. 이에 사출성형 제품의 합리적인 설계를 위해 공리적 설계 기법을 이용하여 보다 좋은 설계를 수행하고 트리즈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사출성형 제품의 문제들을 창의적으로 접근해봄으로써 문제 해결을 시도하려는 것이다.

  • PDF

"고정밀·고기능성 부품경쟁에서 사출성형해석 솔루션은 필수"

  • Park, Ji-Yeon
    • The Optical Journal
    • /
    • s.102
    • /
    • pp.46-48
    • /
    • 2006
  • 2002년 설립된 씨에이프로(주)(대표·이길호/www.caepro.co.kr)는 플라스틱 사출성형해석 솔루션 전문기업으로서 현재 사출성형해석 솔루션인‘3D-TIMON’을 한국 및 중국에 독점공급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다수의 광학관련 중소기업으로부터 구매 검토를 위한 BMT를 통해 결과의 신뢰도와 현업 적용가능성에 대해 좋은 호응을 받고 있는 가운데 국내에‘3D-TIMON’을 활용한 초정밀 광학부품 사출성형과 관련한 활발한 교육사업을 펼치고 있으며‘3D-TIMON’이 향후 플라스틱 광학부품의 양산기술 표준솔루션으로 자리잡을 것을 기대하고 있다.

  • PDF

복굴절의 이해와 렌즈의 복굴절 측정

  • Korea Optical Industry Association
    • The Optical Journal
    • /
    • s.97
    • /
    • pp.58-61
    • /
    • 2005
  • 복굴절이란 하나의 매질로부터 다른 매질로 진입하는 파동이 그 경계면에서 나가는 방향을 바꾸는 현상으로 등방성 매질에서 이방성 매질로 나아갈 때는 경계면에서 굴절파가 두 개로 나뉘어 굴절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휴대폰용 카메라모듈 렌즈의 사출성형공정에서 발생하는 렌즈 내의 잔류응력에 의한 복굴절률은 사출공정에서의 렌즈불량 발생의 원인이 되며, 잔류응력은 또한 사출성형 이후에 완화되어 렌즈의 외관 치수의 변형을 가져오게 된다. 그러나 플라스틱류를 사용하는 정밀가공 생산 공정 등 실생활에서는 제품의 제조에 있어서 복굴절은 광학적 특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서 성형시 복굴절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어느 정도 달성했는가의 수준에 따라 플라스틱 정밀 성형 제품의 등급이 결정되는 중요한 측정요소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