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프로젝트 효율성

Search Result 58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estbed of CPLM System for Civil Projects (토목 프로젝트를 위한 CPLM 시스템의 테스트 베드)

  • Lee, Chang-Woo;Kang, Hyoung-Seok;Han, Song-I;Jo, Jae-Hun;Lee, Kwang-Myong;Noh, Sang-D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99-10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토목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자 개발된 CPLM(Construction Project Lifecycle Management) 시스템을 현재 진행 중인 교량 건설 프로젝트에 적용함으로써 실제 토목 프로젝트의 전주기에 걸쳐 CPLM 시스템의 활용 가능성과 효율성을 검토하였다. 테스트베드 대상은 ${\bigcirc}{\bigcirc}{\bigcirc}$대교의 Ramp A 구간과 주경간 교량의 주탑이며, 적용 절차는 대상에 대한 정보 모델을 구축하고 CPLM 시스템을 통한 참여 조직간 협업을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의 효율성 및 활용성을 도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토목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CPLM 시스템의 개선안을 도출하고, 토목 프로젝트의 효율적 수행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ole of PMO for SI Projects Success (SI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한 PMO의 역할에 대한 연구)

  • Park, S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466-469
    • /
    • 2017
  • SI 프로젝트가 대형화되고 장기화 되면서 투입 인력과 구축 비용의 단위가 점점 커짐에 따라서 프로젝트의 복잡성과 위험요소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프로젝트 수행에 대한 종합적인 점검과 평가로 프로젝트에 대한 신뢰성과 안전성을 증진시키고, 각종 위험 및 역기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프로젝트 관리에 대한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다. PMO(Project Management Office)는 프로젝트의 수행을 일관성 있게 관리하고, 성공적인 완료를 위하여 지원, 감독, 통제 등의 제반 활동을 수행하는 조직이다. PMO의 도입은 사업관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데, 특히 과거 프로젝트의 성공이나 실패에 대한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거나, 프로젝트 팀에게 프로젝트 수행과 관련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효율적인 방법으로 인식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SI 프로젝트가 되기 위해서 프로젝트 내에서 PMO의 역할에 대해서 분석 및 연구하였다.

A Study on PMO for Betterment of Project Success (프로젝트 성공 촉진을 위한 프로젝트관리조직(PMO)에 관한 연구)

  • Kim, TaeWoo;Lee, Seouk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425-1428
    • /
    • 2012
  • PMO(Project Management Office)는 프로젝트 수행을 일관성 있게 관리하는 조직으로 프로젝트의 효율성 극대화를 위하여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도모한다. 이미 해외에서는 PMO 도입으로 인한 프로젝트 성과 향상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었으며, PMO운영을 통해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정부에서는 공공기관 PMO제도 의무화를 발표하였고, 국내 IT 기업들은 PMO도입을 고려하는 등 PMO제도 정착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PMO 초기화 단계로 어떤 기능이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며, 조직에서 PMO가 어떤 가치를 줄수 있는지는 정의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전문가 집단 인터뷰를 바탕으로 국내 PMO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PMO 조직이 국내 소프트웨어 산업에서 프로젝트의 범위, 일정, 통합 관리 부분의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Developing Measurement System for Key Performance Indicators on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건설 프로젝트 효율적 성과관리를 위한 핵심 지표 체계 구축)

  • Cha, Hee-Sung;Kim, Tae-Kyou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9 no.4
    • /
    • pp.120-130
    • /
    • 2008
  • In construction industry, project performance should be evaluated in terms of project value objectives, i.e., cost, time, quality, safety, and environment. However, there have been few, if any, systematic approaches in assessing comprehensive performance level which encompasses the whole spectrum of project value objectives. It is non trivial to establish the standardized performance metric system due to the project individualities. This study provides a new approach in assessing the wide variety of project performance types by collecting the real industry project data. In addition, the proposed system has been validated through industry survey on project practitioners. It is concluded that the developed quantitative project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would be effectively useful in indicating the level of current status of a particular project and furthermore, to provide a meaningful strategy for the future project in a more sustainable way.

A Study of Project Characteristics and Project Performance Level of difficulty (건설 프로젝트 특성과 프로젝트 성과 난이도 도출에 관한 연구)

  • Cho, Young-Seon;Cha, Hee-Sung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1 no.6
    • /
    • pp.78-88
    • /
    • 2010
  • Since the larger and complex construction projects are performed, project performance measurement i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to eliminate inefficiencies and plan to reasonable management practices. So many researchers are conducting research about the project critical sucess factor. But, these factors are mixed both management practices to improve performance and native project characteristics. Therefore performance measurement data couldn't apply to another project successfully. And the project characteristics affect project performance. But contractor couldn't change characteristics. This study provides a project characteristics's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This study provides a quantitative level of performance improvement difficulty through out project manager survey. The contractor can estimate a level of performance difficulty through initial project information. With this, project contractor can more efficiently manage project.

PMO Research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IT Project (조직 내 프로젝트의 성과를 개선하기 위한 PMO 활용에 관한 연구)

  • Kuu, Hee-Hyun;Lee, Seouk-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360-1363
    • /
    • 2011
  • PMO(Project Management Office)는 프로젝트 수행을 일관성 있게 관리하는 조직으로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수행 초기부터 전체적인 일정을 계획하고 관리하며,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도모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IT 프로젝트를 수행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첫째,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주는 PMO의 핵심 기능을 5가지로 정의하고 둘째, PMO가 조직의 성과에 기여하는 영역을 경쟁가치모형1)을 이용하여 4가지 모델로 분류하였다. 셋째,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PMO 기능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로 한국은 PMO 기능 중에 프로젝트를 통해 알게 된 교훈이나 지식을 관리하는 학습영역은 조직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프로젝트에 대한 통제 및 보고, 표준화 된 관리 방법론은 성과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PMO가 조직에서 성공적으로 도입되기 위해서 수행해야 할 주요 역할을 명확히 함으로서 프로젝트 관리 수준을 향상시키고 프로젝트 수행에 PMO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An Analysis of Software Metrics Using the SPEM(Software Project Estimation Model)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평가모델을 통한 소프트 웨어 메트릭스 분석)

  • Lee, J.K.;Shin, S.K.;Nam, S.S.;Park, K.C.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7 no.5 s.77
    • /
    • pp.107-118
    • /
    • 2002
  • 본 논문은 대형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리소스, 인력, 개발비용 및 소프트웨어 소스에 대한 데이터를 추정하여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모델인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평가모델을 이용하여 기 수행된 프로젝트의 경험데이터와 수행되고 있는 프로젝트의 소프트웨어 메트릭스(metrics) 데이터를 활용하여 생산성, 품질, 자원투입 효과, 개발될 소프트웨어 소스 규모 등을 추정해 보고 이를 경험적인 모델(empirical model)에 적용하여 프로젝트 별로 평가, 비교 분석해 본다. 또 향후 유사 프로젝트 관리(similar project management)에 필요한 사항들을 제안한다.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DMU to Civil Infra Structures to Improve Constructibility (토목구조물분야에서 DMU 적용을 통한 시공성개선 사례 연구)

  • Park, Kyoung-Lae;Lee, Kwang-Myong;Lee, Yoon-Bum;Lee, Chung-Hee;Lee, Tae-You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320-32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BIM의 기술 중 하나인 DMU(Digital Mock-Up)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업무 효율에 기여한 결과를 소개한다.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경우 DMU는 건설 프로젝트의 입찰단계 및 시공계획 단계에서 적용되어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 입찰단계의 경우 대상 프로젝트의 교량, 터널 등의 구조물을 실제와 같은 지형조건 및 설계 조건으로 모델링하여 프로젝트의 개요 파악, 정보의 공유, 선정된 공법의 효과 분석 등에 적용하였으며 시공단계에서는 주로 복잡한 구조물의 철근 간섭 검토 및 효율적인 배근 방법 분석을 위한 도구로 사용되었다. 적용결과 공기단축, 원가절감, 시공성 향상에 기여하였으며, DMU는 향후 프로젝트 관리도구로 통합되어 구조물공사의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Efficient Transmission & Substatio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Based on ICT (ICT 기반의 효율적 송변전 건설 프로젝트 관리방안 연구)

  • Suk, Kwang-Hyun;Min, Byeong-Wook;Hwang, Jeong-Ill;Lee, Seung-Kyun;Lee, Si-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555-556
    • /
    • 2011
  • 오늘날 전기는 물과 같이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생활 필수품이다. 특히 21세기는 IT, 디지털, 초정밀 산업의 시대로 순간정전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고품질의 전력이 요구되는 시대이다. KEPCO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전기품질과 저렴한 요금으로 모든 국민에게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해야 하는 막중한 책임이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전력을 주요 수요지로 수송하기 위한 송전선로와 변전소의 적기 건설을 위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프로젝트관리 중요성이 대두되었으며, KEPCO는 경영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회사내부의 자원 및 업무 프로세스를 통합관리하고자 도입한 전사적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시스템내에 송변전 건설 프로젝트 시스템(PS)을 구축함으로써 송변전건설 프로젝트 관리업무를 ERP라는 통합된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송변전 건설관련 민원과 각종 건설규제 법률 강화 등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통제 가능한 송변전설비 건설프로젝트 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KEPCO의 효율적인 송변전 건설사업 공정관리를 위한 ICT기반의 건설 프로젝트 관리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An Approach on Life Cycle Based Efficiency Measure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건설 생산의 Life Cycle을 고려한 효율성 측정방안)

  • Jung Soon-Oh;Yoon Su-Won;Chin Sangyoon;Kim Yea-Sang;Park Ji-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4.11a
    • /
    • pp.608-611
    • /
    • 2004
  • E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proce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project success. However efficiency is not well defined or measured in construction projects in general. More importantly, e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should be viewed through the life-cycle of the whole production system not in a single phase of the construction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defines the concept of efficiency and suggests the efficiency measurement model in construction. As a case study, the suggested model was applied to the curtain wall construction process of the high rise buildings as wel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