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프로젝트 타당성 검토

Search Result 4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Feasibility Study on Small-sized Rental Residential Building Project through Risk Management (리스크 관리를 통한 프로젝트 타당성 검토방안에 대한 연구 -소규모 임대주택을 대상으로-)

  • Kim Sang-Chul;Park Chan-Jeong;Yoon Jun-Seo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5 no.3 s.19
    • /
    • pp.97-105
    • /
    • 2004
  • Planning phase became very important because the construction market in Korea is often unpredictable. The existing feasibility analysis cannot fulfill its purpose in development projects because they are based on intuitive approach rather than systematic appro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prototype of feasibility model to be a good investment. To build the model, first, risk factors which can be occurred in project had to be selected. Risk factors were divided into several groups in basis of characteristical risk. Economical risk factors were input on financial analysis. Then, to catch the relevance and influence of all risk factors, influence diagram and decision tree were made. Finally, sensitivity analysis was activated, then what the critical factors were, and how those factors could be solved. Through these procedures, the feasibility model that was made in this study could includ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actors. This model is expected to be used as a guide of feasibility analysis including all risk factors and is to serve systematic frame in planning and feasibility stage.

The Casestudy of Computerization for the Feasibility Analysis Model on the Development Project of Apartment (공동주택 개발사업 타당성 분석모형의 전산화)

  • Park, Keun-Joon;Shin, Woo-Shi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8 no.2
    • /
    • pp.164-172
    • /
    • 2007
  • The development project usually aims to get a certain amount of return for its investment in land and capital. The success of such project is dependent on the accurate analysis of the feasibility and for casting. It is, however, very difficult to predict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For this, it is necessary to constitute a systematic and objective method of analysis. However, there is no method of analysis for numerous qualitative factors, such as legal, environmental, marketability. Moreover, conventional methods have some limitations because they are processed without all the scope of analysis items and any evaluation criteria.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vide computerization model for feasibility study focusing on the apartment development project by a pre-sall method. This research does casestudies to assess the feasibility analysis by the computerization model and compares to the results of the conventional methods. It showed that the evaluation results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were proportional to actual sale result. This implies that qualitative subjective factors have high correlation with sale rate and sale prices.

미국의 시행착오에서 배우는 폐광 환경복원 최적화 기법

  • 황대규;이진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11a
    • /
    • pp.45-58
    • /
    • 2002
  • 폐기물과 오염물질 투기로 인해 발생된 오염지의 복원은 1980년대 초반 미국이 본격적으로 시도하여 현장조사, 위해도 평가, 타당성 검토의 3단계를 거쳐 복원대책을 수립하는 정형이 이루어졌다. 이 정형에서는 먼저 현장조사로 오염상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위해도 평가로 오염도가 인체와 환경에 미치는 위해도를 정량화하며 타당성 검토에서 위해도를 제거하기 위한 각종대안을 검토하여 최종안을 선정한다. 이 과정 자체는 합리적이었으나 여러 가지 시행착오를 거치며 과잉대책이 남발되고 사업효과도 미흡하여 점차 예산낭비의 대표적인 사례로 비판이 제기되었다. 시행착오의 가장 큰 기술적 원인은 위해도 평가와 별개로 타당성 검토를 수행하며 비현실적인 완벽복원을 추구한 탓이며 이를 극복하려는 최적화 기법이 90년대 초반에 소개되었다. 이 최적화기법은 타당성 검토단계에서 각 대안의 잔류 위해도를 산정하고 해당대안의 비용과 비교하여 위해도를 허용수준으로 줄이는 최소비용 대안을 발견하는 방법이다. 이 최적화기법을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한 결과 복원대책 수행에 기대 이상의 비용절감을 이루고 정부의 수용도도 높았다. 특히 정비대책에 현장조건의 특성을 활용하는 창의적 대안을 도입하면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바 두 가지 사례를 소개하였다. 앞으로 상당한 투자가 예상되는 폐광오염 문제에도 이 기법을 적용하면 비용과 효과를 최적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그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A Database Model for Financial Feasibility Study of Buildings Offered for Sale (분양형 건축물의 재무적 타당성검토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모델)

  • Oh Hyun-Suk;Jung Jae-Gwan;Koo Kyo-Jin;Hyun Chang-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577-58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database model for financial feasibility study of buildings offered for sale which is helpful for improvement of business ability in construction and confidence of a project from a related participant. At first, we studied several thesis and met some professionalist which work for construction and did a first survey for examining latest situation of a feasibility study in construction. As a result, even though feasibility study is important, factors for information management wasn't systemized. So we did a second survey for fixing Factors of the database model. The database model was composed of the factors that we got from the second survey. ER(Entity-Relationship) analysis was used to making it. We expect thar we can get more reasonable information to study financial feasibility study and can diminish risks of project through the database model. So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o make a database model for more reasonable financial feasibility study of building offered for sale.

  • PDF

Project Management Risk Features between Information System Project and Commercial Packages (프로젝트 위기관리와 상용패키지의 위기관리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Hyun Sun;Lee, Seouk-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553-556
    • /
    • 2015
  • 정보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환경이 다양해지면서 다양한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도입이 검토되고 있다. 환경의 다양성이 증가함에 따라 프로젝트의 위험요소들이 늘어남에 따라,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프로젝트 전반에 걸친 위험요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 프로젝트관리 측면에서의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있어왔으나, 소프트웨어 관점에서의 위험요소에 대한 연구는 그 동안 부족했다고 판단, 기존 프로젝트 위험요소 정의를 기반으로 소프트웨어에서 정의된 위험관리요소에 대한 재정의를 통해 소프트웨어에 대한 위험요소 정의의 타당성에 대해 확인해 보고자 한다.

ESCO 실증프로젝트 평가에 관한 조사보고서(하)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6
    • /
    • pp.66-72
    • /
    • 2000
  • 이 보고서는 일본의 ''ESCO사업실증위원회''에서 통신산업성의 고효율 에너지 이용형 건축물 개수모델사업의 보조를 받는 건물 가운데 ESCO 사업을 염두에 두고 사업을 벌인 4모델에 대하여 에너지절약 진단서 조사, 듣기조사, 현장조사 등을 실시하여 개수계획의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이다. 보고서 내용중 중요 부분을 발췌하여 우리나라 ESCO사업과 비교해 보고자 한다.

  • PDF

ESCO 실증프로젝트 평가에 관한 조사보고서(상)

  • 에너지절약전문기업협회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5
    • /
    • pp.66-73
    • /
    • 2000
  • 이 보고서는 일본의 ''ESCO 사업실증위원회''에서 통산산업성의 고효율 에너지 이용형 건축물 개수모델사업의 보조를 받는 건물 가운데 ESCO사업을 염두에 두고 사업을 벌인 4모델에 대하여 에너지절약 진단서 조사, 듣기조사, 현장조사 등을 실시하여 개수계획의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이다. 보고서 내용중 중요 부분을 발췌하여 우리나라 ESCO사업과 비교해 보고자 한다.

  • PDF

The Common Temporary Work Management System Using Historical Database (실적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공통가설공사 관리 시스템 개발)

  • Park Kyoung-Ho;Lee Hoon-ku;Baik Jong-Keon;Kim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autumn
    • /
    • pp.367-370
    • /
    • 2002
  • The Elements of common temporary work in Construction Project have ambiguous work scope between client and builder. Also problems of non-breakdown, non-standardization in common temporary work are obstructive when contract. Finally they will be reached claim factors on the construction project. Because the common temporary wo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s not built, We have to develop common temporary wor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historical cost database for Construction Management. This system will successively accomplish the project in pre-construction step to standardize work items and to forecast the cost of common temporary work. Therefore feasibility study will be possible with historical database in new project.

  • PDF

부유식 교량 또는 부유식 터널 어떻게 넓고 깊은 피오르드를 건널 것인가?

  • Sin, Yun-Seop
    • Magazine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22 no.1
    • /
    • pp.36-44
    • /
    • 2020
  • E39 프로젝트 그룹은 초기 세미나 및 타당성 검토 결과는 통하여 송내 피오르드 크로싱을 위해 제안된 몇 가지 대안들에 대해서 기술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 향후 개발 단계에서 이를 검증하기 위한 설계 및 검증 과정이 필요하다. 프로젝트 그룹은 세 가지 주요 대안에 집중하고 있다. 가장 가능성 있는 컨셉은 사장교 형식의 부유식 교량이며, 일반교 형식의 부유식 교량도 대안이 될 수 있다. 또한 부유식 터널구조는 아직 적용된 사례가 없으나 검증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렇게 송내 피오르트 크로싱에 대한 대안은 아래 표 4와 같이 크게 3가지 컨셉으로 정리 할 수 있으며 향후 해결해야 할 많은 기술적인 과제들을 앉고 있다.

Estimation of Key Risk Management Factors for Construction Projects Based on Kano Model (Kano 모델 기반 건설프로젝트 핵심 리스크관리 요인 도출)

  • Cho, Jin-ho;Kim, Byung-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2 no.2
    • /
    • pp.239-248
    • /
    • 2022
  • Risks in construction projects are increasing remarkably due to recent changes in the construction environment. Active risk management is required to recognize risks as opportun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risk management model of the importance determination metho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using Kano model, Timko CSC (Customer Satisfaction Coefficient), and ASC (Average Satisfaction Coefficient).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validity of risk management factor determination is reviewed through a questionnaire modified Kano model through interviews with working-level workers using the Delphi technique. Through this, a suitable risk management model is presented by selecting key risk management factors recognized by domestic construction project practitione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ano model developed to verify risk management of construction projects was evaluated to be effective in verifying the risk management of practitioners. It is expected that the Kano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actively used to verify the importance of risk management for construction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