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프로젝트 단계별

Search Result 312,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Project stage Modeling to Implement the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ERP시스템 구축을 위한 프로젝트별 모델개발에 관한 연구)

  • Kim, Kyung-W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6 no.1
    • /
    • pp.130-138
    • /
    • 2001
  • Combining a qualified group of people and following through the appropriate phases in the necessary order is crucial to project success. Companies face a wide range of issues and obstacles during implementation that can remain until they start using the system. Benchmarking Partners categorizes these problems into three groups: people issues, process issues, and technology issues Companies should try to implement ERP software as quickly as possible. in fact most companies now use a technique commonly referred to as a rapid implementation methodology. This paper outlines the challenges companies can anticipate during implementation and identifies and describes the six common steps of an ERP project. the paper also discusses new approaches, known as rapid ERP methodologies that are designed to help companies hasten the implementation of such systems.

  • PDF

Optimal Effort Allocation in Software Development Phase (소프트웨어 개발 단계별 최적의 노력 할당)

  • 박재흥;노명옥;하석운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3 no.3
    • /
    • pp.295-306
    • /
    • 2002
  • Successful project planning relies on a good estimation of the effort required to complete a project, together with the schedule options that may be available. Despite the extensive research done developing new and better models, existing software effort estimation models are present only the total effort and instantaneous effort function for the software life-cycle. Also, Putnam presents constant effort rate in each phase. However, the size of total effort are variable according to the software projects under the influence of its size, complexity and operational environment. As a result, the allocated effort in each phase also differ from project to project. This paper suggests the criteria for effort allocation in planning, specifying, building, testing and implementing phase followed by the project total effort. These criteria are derived from 183 different projects. This result can be considered as a practical guideline in management of project schedule and effort allocation.

  • PDF

A Study on BIM based Process Risk Management Model (BIM 기반의 프로젝트 단계별 리스크관리 모델에 관한 연구)

  • Jeon, Seung-Ho;Choi, Myung-Seok;Lee, Joo-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cietal Security
    • /
    • v.3 no.1
    • /
    • pp.61-66
    • /
    • 2010
  • Recently a construction industry introduces information technology that brings about many advantages in the early planning phase, design phase and construction phase. Nevertheless a BIM has a many benefits, it has limits which are not only usually using 3D modeling but also limit of making full use of practical affairs because of a lack of connecting varietals of progress of work. To solve these uppermost limits, this research is presenting unified systems to use in risk management which are efficient management of space and non-space information, space analysis.

  • PDF

A Study on Software Development Effort Allocation using Defect Prediction Performance Model based on CMMI (CMMI 기반 결함 예측 성과 모델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개발 노력 분배 연구)

  • Kwak, Mi-Kyung;Ahn, Young-Jung;Choi,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351-354
    • /
    • 2008
  •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소프트웨어 개발에 투입할 노력의 정확한 추정과 더불어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단계별 적정한 개발노력을 투입하는 것은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필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조직의 과거 데이터를 활용한 기존의 개발노력 분배 방식은 단계별로 발생되는 결함의 양에 따라 개발노력의 투입량 변동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MMI 조직 프로세스성과(Organization Process Performance) 프로세스 기반의 결함 예측을 이용한 개발노력 분배 성과모델을 제시하고, 제시한 성과모델의 예측값과 프로젝트 수행 결과 값의 비교를 통해서 제시한 성과모델의 유효성 및 결함과 개발노력 분배의 연관성에 대해서 검증 하고자 한다.

Procedures and Strategies for a Function Definition in the Design Phase VE (설계VE에서 기능정의를 위한 절차 및 방안)

  • Lee, Hyun-Jong;Park, In-Woo;Hyun, Chang-Taek;Koo, Gyo-Jin;Hong, Tae-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151-156
    • /
    • 2007
  • 2006년부터 VE 대상프로젝트가 확대되고,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단계에 각 1회씩 설계VE를 적용토록 규정되어 설계단계별로 VE가 각각 적용되는 프로젝트가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원가절감과 성능향상으로 프로젝트 가치를 높인 설계VE 사례도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단계의 조건에 적합한 VE 수행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고 참여자들의 경험과 이해가 부족하여 단계별 설계VE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본설계단계와 실시설계단계로 나누어 VE를 수행한 실무사례를 분석하여 기능정의와 아이디어 창출간의 연관관계 및 각 설계단계에서 기능정의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문제점을 해결하고 효과적인 설계VE를 수행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설계프로세스의 흐름에 맞추어 기본설계에는 공간기능에 대하여하고 실시설계에는 부위에 대하여 기능정의를 수행한다. 이때 상위의 레벨에는 하위의 레벨의 기능정의가 연계되는 기능분류체계 (FBS : Function Breakdown Structure)를 제안하였다. 둘째,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단계의 기능정의를 수행하는 프로세스 (FDP : Function Definition Process)를 제안하였다. 셋째, 실시설계단계에서는 부위별 요구 성능 평가 매트릭스 (EFM : Element Function Matrix)를 적용하여 기능정의와 아이디어 창출이 연계되도록 하였다. 설계VE의 주요 부분인 기능정의 과정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설계VE의 수행을 기대할 수 있다.

  • PDF

A Study of the Construction Management Applied to SSG Expansion Project in Shenzhen, China (중국 건설공사의 CM 적용사례 연구 - 중국심천 삼성코닝 프로젝트 수행사례를 중심으로 -)

  • Jang Dae-Sung;Kim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4.11a
    • /
    • pp.26-30
    • /
    • 2004
  • 중국심천 삼성코닝 프로젝트 (SSG Expansion Project)는 전문적인 건설인력이 없는 발주처를 대신하여 설계단계에서 최종 턴 오버(turn over)까지 건설 전 과정에 대하여 CM을 수행한 사례로서 한국기업이 중국에서의 CM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대표적인 사례이며, 대규모 공장건설에 있어 건설과 생산설비의 설치에 대한 종합적인 공정관리와 설계, 시공을 동시에 수행하는 Fast Track 방식에서 범할 수 있는 설계오류 및 풀질저하에 대한 사전 예측관리, 현지의 건설특성에 적합한 각종 공법 및 요소기술의 제시를 통한 시공성 향상, 원가절감, 공기단축에 기여로 유사 프로젝트 대비 4개월 이상 단축하여 성공적으로 제품을 생산하는 성과를 달성한 사례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의 각 단계별 주요 CM업무 수행현황 및 중국건설의 특징을 고찰하고, 한국기업의 중국 CM시장 진출 가능성과 진출을 위한 사전준비에 필요한 사업 단계별 유의사항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국내 건설경기가 침체되어 있는 현재 본 연구를 통하여 중국 건설현황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중국 CM시장의 진출 및 성공에 밑거름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Estimating Maintenance Cost by Actual Database Based on Operation in Sewage Treatment Plant (하수처리장 실적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유지관리비용 예측)

  • Lee, Tai-Sik;Kwak, Dong-K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10
    • /
    • pp.2803-2809
    • /
    • 2009
  • For a successful construction project not only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technology but also economic evaluation technique is required. Design and construction technologies are necessary to receive a project order. However, construction management technology which can be apply from the project initial phase to the project operation and management phase is required to create a benefit from the project. Construction management technology is one of the effective factors for project success. Economical and efficient cost management from the planning phase influences the project success. This study investigated cost flow and cost factors of domestic Sewage Treatment Plant project for systematic analysis of cost items following the entire project phase. Particularly, data modeling based on domestic Sewage Treatment Equipment maintenance cost DB was performed, and maintenance cost estimation trend line is suggested using Monte carlo Simulation Method to decrease uncertainty of actual results DB and for feasibility study.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roject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process management by Activity using PERT/CPM (PERT/CPM을 이용한 Activity에 대한 연결 공정관리가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Park, Sun-Yi;Park, Hee-So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5
    • /
    • pp.802-807
    • /
    • 2022
  • In projects where mufti-project management is required and processes for production activities are repeated and linked, it is very difficult to input processes for activity repeatedly or analyze loads by process in a method of managing processes step by step. In this paper, based on the definition of activity and project process, the connection process can be automatically created for activity, schedule and resource management for each process, schedule and resource plan can be established for each detailed process, and load analysis can be provided in real time. It presents a project management system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time and cost of project progress management, predict various problems that may occur during the project, and effectively allocate the necessary amount of resources in the right place.

A Study of Test Method and Implement Continuous Integration System using Open Source Tools (공개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지속적인 통합 (CI)시스템 구축 및 테스트 방안)

  • Lee, Sang-Bok;Song, Gi-Pyeong;Shin, Seck-Ky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10a
    • /
    • pp.669-671
    • /
    • 2011
  • In this paper propose open source software the tools to build and continuous integration environment that can be used to improve software quality testing.

  • PDF

Analysis of Project management Areas for the Success of Public SI Projects (공공정보화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사업관리영역별 비교·분석 연구)

  • Hong, SunYoung;Lee, Seouk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717-720
    • /
    • 2017
  • 공공정보화사업의 사업관리방안은 국가 및 공공기관의 정보화사업 담당자들이 실무에서 직접적으로 활용하는 구체적이고 명확한 기준이다. 이는 공공정보화 사업의 계획, 구축, 운영 등 각 단계별 추진시 반영되고 있고 실제 구축환경에서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관리방안만으로 SW프로젝트의 성공은 보장받기 어렵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각 사업관리방안이 SW프로젝트의 성공을 지원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였고, 이를 위해 프로젝트관리 국제표준인 ISO 21500(Guidance on Project Management)의 지식 및 관리 영역과 산출물 등을 주요 사업관리방안을 비교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