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프로세스 심사 모델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Design of Software Process Metrics based on ISO/IEC 15504 (ISO/IEC 15504 기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메트릭스 설계)

  • Yeom, Hee-Gyun;Kim, Hye-Mee;Hwang, Sun-M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377-380
    • /
    • 2005
  •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심사모델로서 ISO/IEC 15504와 CMMI는 숙련된 전문 심사원을 통하여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의 능력수준을 결정한다. 그러나 이들 모델들은 프로세스 측정을 위한 체계적인 메트릭스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심사원은 심사대상 프로세스의 정량적인 수준 측정을 위하여 주관적인 판단을 통해 프로세스를 평가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스의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측정을 위하여 기초 메트릭스를 정의하고 ISO/IEC 15504 에서 정의한 프로세스 그룹별 측정 표준 메트릭스를 제안한다. 또한 표준 메트릭스를 조직에 적용하기 위한 프로세스 성숙도 평가 메트릭스를 제시하여 향후 조직의 상태를 체크할수 있는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 PDF

Reliability Test of Maturity Questionnaire Selection Model Through KPA Rating Data Calibration (KPA rating 데이터 보정을 통한 성숙도 설문서(MQ) 선정 모델의 신뢰성 평가)

  • 김우송;이은서;이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43-45
    • /
    • 2003
  • 소프트웨어 공학이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관한 방법론, 기술 및 툴 등의 유지보수와 개발에 중점을 두어 왔는데 최근에는 프로세스 개선과 프로세스 능력수준의 향상에 초점을 두는 방향으로 발전하면서 CMM 및 SPICE 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심사기법은 대규모의 회사에서 주로 시행되고 있어서 중소규모의 조직을 위한 간략한 심사기법의 도입이 요구되는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심사기법은 CMM 심사를 위한 KPA 설문서의 rating 방법을 응용한 것으로서 SPICE 심사를 받은 국내 기업 중 일부 회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방법론에 대한 신뢰성의 평가는 아직 미흡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 통계학적 접근방법을 도입하였는데 사용된 통계 기법은 상환계수를 통한 가설검정이다. 그 결과 성숙도 설문서(MQ) 선정모델의 적합성을 통계적 기법을 통해서 검증하였다.

  • PDF

Application and Design of Metrics for Software Process Measurement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측정을 위한 척도 설계 및 활용)

  • Hwang Sun-Myung;Yeom Hee-Gyun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2D no.7 s.103
    • /
    • pp.937-946
    • /
    • 2005
  • In the current marketplace, there are maturity models, standards, methodologies and guidelines that can help an organization improve the way it does business. All SPI models including ISO/IEC I5504 and CMMI provide the capability level of software process. However, most available improvement models focus on a specific goals and Practices of the processes So my assessors need an objective process measure how to estimate achievement of goals and practices. We proposed quantitative process capability metric (PCM) which can determine the degree of capability And the effective measuring approach help SPI assessor as well as organization unit.

S/W Process Assessment and Improvement on SPICE (SPICE에서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심사 및 개선)

  • Hwang, Sun-M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723-728
    • /
    • 2000
  • 소프트웨어 프로세서 개선(SPI)의 목적은 조직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서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SPICE 표준의 기본 목표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서 개선과 능력수준의 결정이며 적용대상 범위로 ISO 12207에 근거한 프로세스 계획, 관리, 실행, 통제 및 개선에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PICE 모형의 심사모형 및 참조모형을 분석하고 능력수준과 프로세스들간의 관련성을 조사 하였다. 또한 기존의 SPI모델 CMM과의 비교를 통하여 SPICE에 장점과 향후 방향을 예측하였다.

  • PDF

Design on Supporting Tool of Process Capability Metric for Effectiveness Process Management (효과적인 프로세스 관리를 위한 PCM(Process Capability Metric) 지원 도구 설계)

  • Yeom, Hee-Gyun;Jung, Il-Jae;Chae, Hynn-Choul;Hwang, Sun-M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267-270
    • /
    • 2007
  •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SPICE와 CMMI 프로세스 심사 표준을 도입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표준을 통해 효과적인 개선하기 위해서는 개선점과 위험을 식별하고 이들 이슈들을 개발환경에 적용시켜서 조직의 비전에 대응한 작업성능을 높여야한다. 지속적인 개선을 필요로 하는 조직은 현재의 작업성능을 측정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개선점을 찾아내는 능력과 경험을 축적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SPI 모델들은 무엇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은 제공하고 있지만, 정량적인 작업성능 측정 및 특정 환경의 소프트웨어 개발 조직의 SPI를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량적인 SPI룰 위해 프로세스 측정 메트릭 정의와 심사 경험이 분석되어 활용될 수 있는 PCM(Process Capability Metric) Experience Factory 모델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Database Quality Evaluation Item Development Applied CMM (CMM을 적용한 데이터베이스 품질평가 항목개발에 관한 연구)

  • 박미영;승현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3.08a
    • /
    • pp.153-16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실세계 DB에 현실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DB품질평가항목을 개발하고자 한다. ISO 9126에 근거하여 DB품질평가 항목을 도출하고 소프트웨어의 프로세스를 심사하고 이에 기반하여 프로세스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CMM모형을 적용하고자 한다. DB 품질평가 항목의 개발은 기존 관련문헌 검토 및 유사분야에서 개발된 평가 모델을 분석하고, ISO 9126에 근거하여 DB품질평가 항목을 새롭게 도출하여 CMM모델을 적용한 데이터베이스 품질 프로세스 성숙도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Measurement for Embedded Software (Embedded 소프트웨어를 위한 측정 연구)

  • 고상복;김강태;이현동;이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40-42
    • /
    • 2003
  • 최근 국내 기업들은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심사를 통하여 기업의 프로세스 성숙도 향상과 개발되는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관점에서 CMM과 SPICE와 같은 프로세스 모텔을 적용하고 있다. 이 모델들은 소프트웨어 프로세스가 일정 수준의 성숙도를 지나면 측정을 활용하여 성숙도를 높일 수 있도록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소프트웨어 개발의 지표들을 정량적인 수치로 객관화하여 관리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mbedded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기업에서 측정을 통하여 지표들을 정량적으로 관리하고 각 지표들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여 메트릭스와 시장 점유율간의 의존도 분석 사례를 제시한다.

  • PDF

Complement of performing SPA : GDSS-based Approach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심사 방법 보완 : GDSS 기반 방식에서)

  • Kim, Dong-Il;Lee, E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c
    • /
    • pp.1571-1574
    • /
    • 2003
  • 소프트웨어 제품 및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개발 프로세스의 개선을 목적으로 시작된 SPA & SPI(Software Process Assessment & Software Process Improvement)가 그 효과와 필요성을 인정받고 국내에서도 서서히 기업에 널리 확산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기업 문화의 차이와 시간적, 공간적, 비용적 이유로 SPA의 확산 및 수행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SPA에 GDSS(Group Decision Support System)를 적용하여 좀 더 원활하게 수행하고자 ISO/IEC TR 15504를 모델로 하는 심사 도구의 개발을 위한 연구를 하였다.

  • PDF

A Study on Development of Test Process Improvement Model (테스트 프로세스 개선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 Yang, Ju-Mi;Bae, Wook;Han, Hyuk-Soo;Shin, Seok-Kyoo;Kim, 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251-254
    • /
    • 2005
  • 소프트웨어 품질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기업들은 품질을 높이기 위해 테스트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최근에는 테스트 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중의 하나로 테스트 프로세스 개선이 주목 받고 있다. 이를 위해 기업들은 SW-CMM(Capability Maturity Model for Software),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와 같은 일반적인 프로세스 개선 모델들이나, TMM (Test Maturity Model), TPI (Test Process Improvement Model), TCMM (Testing Capability Maturity Model)과 같은 테스트 프로세스 개선 모델들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프로세스 개선 모델들은 테스트 관련 이슈를 충분히 다루고 있지 않고, 테스트 프로세스 개선 모델들은 구조가 불완전하거나 내용이 충분하지 않아 적용 시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TMM 과 CMMI 를 기반으로 조직들의 테스트 프로세스 확립이나 개선을 지원할 수 있는 새로운 테스트 프로세스 성숙도 모델인 TPMM(Test Process Maturity Model)을 연구, 개발하였다. 개발된 TPMM 을 통해 조직에서 테스트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심사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 of Improvement Items and Processes for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개선 항목과 프로세스와의 연관성 연구)

  • 유재구;이은서;장윤정;이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7-9
    • /
    • 2002
  • 최근 소프트웨어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소프트웨어 규모도 커지고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들은 적은 개발비용으로 사용자의 기대를 만족시키는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단기간에 출시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제품과 프로세스들에 대해서 제언하고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SPICE 모델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은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의 개발 및 관리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나 개선을 위한 지침의 부족으로 개선 실행에 어려움을 보이고 있다. 이어 본 논문에서는 SPICE 모델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심사 결과의 개선 항목을 잠재적인 결함으로 간주하고, GQM 방법론에 의해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을 수행함으로써 조직의 비전과 목표 프로세스 능력을 달성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또한, 결함 제거를 위한 트리거를 구축하고, 개선 사항과 타 프로세스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프로세스 개선을 유도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