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프로바이오틱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9초

LGG : 장관면역, 알레르기, 비만에 대한 효과

  • Salminen, Seppo;Grzeoskowiak, Lukasz;Endo, Akihito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44권1호
    • /
    • pp.63-68
    • /
    • 2011
  • Lactobacillus rhamnosus GG(ATCC 53013) 유산균은 현재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들 중 하나이다. 이 유산균은 내산성, 내담즙성, 특유의 콜로니 모양, 장 정착성, 병원성 세균에 대한 경쟁적 저해작용 등의 선택기준을 통하여 분리되었고, 그 특성이 밝혀져 있다.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선택기준이 진보하고 있지만, LGG 유산균은 아직도 매우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이다. LGG 유산균은 그 유전적인 특성뿐만 아니라 설사예방, 아토피성 습진, 호흡기 감염에 대한 우수성이 임상시험을 통하여 입증되었다. 최근에는 임산부와 영아의 과체중에 대한 개선효과가 임상시험을 통해 증명되어 있다. 향후에는 특정 유산균 단독이나 과학적인 방법으로 선택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조합에 의한 유익성을 중심으로 복합 균주의 효과에 대한 새로운 증명이 기본적인 임상시험을 형성하게 될 것이다.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과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프로바이오틱 효과 (Probiotic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euconostoc mesenteroides Isolated from Kimchi)

  • 이경희;봉연주;이현아;김희영;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2-1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분리한 우점유산균인 Lactobacillus plantarum KCCM 11352P(LPpnu)와 Leuconostoc mesenteroides KCCM 11353P(LMpnu)의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프로바이오틱 효과가 높기로 잘 알려진 Lactobacillus rhamnosus GG(LRgg)의 효능과 비교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LPpnu는 Lab. rhamnosus GG(LRgg)보다 프로바이오틱 효과가 더 뛰어났으며, LMpnu 또한 LRgg와 거의 유사한 수준의 효능을 나타냈다. LPpnu와 LMpnu는 모두 내산, 내담즙성, 장 부착능, 열 안정성의 프로바이오틱의 기본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특히 LPpnu는 가장 높은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LMpnu 및 LRgg와 비교했을 때 LPpnu는 DPPH radical과 hydroxyl radical 소거능 측정에서 더 높은 항산화능을 보였고, Bcl-2 유전자 발현억제와 Bax 유전자 발현 증가를 통해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HT-29 human colon cancer cell에서 높은 암세포 성장 저해 효과를 나타냈다. 이를 통해 김치유래 LPpnu와 LMpnu는 프로바이오틱으로서 이용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되며, 특히 LPpnu는 항산화 및 항암 활성에 뛰어난 효능을 나타내었기에 중요한 프로바이오틱 균주라고 하겠다.

렌넷 커드 내 히스타민 생성에 관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이 생산한 항균 물질의 영향 (Effect of antibacterial substances produced by 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on histamine formation in rennet curd)

  • 임은서;최재석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13-125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히스타민을 생성하는 유산균과 이에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혼합 접종하여 제조한 렌넷 커드 내 항균물질과 히스타민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조사하였다.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인 Lactobacillus plantarum FIL20과 Lactobacillus sakei PIL52는 히스타민 생성균인 Lactobacillus brevis LAS129, Enterococcus faecium SBP12 및 Enterococcus faecalis SBP58에 대해 강력한 항균 물질을 생산하였고, 프로바이오틱균이 생산한 유산과 박테리오신의 항균 활성은 농도의존적이었다. 렌넷 커드 제조를 위해 접종한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의 균수가 많을수록 항균 물질 생성량이 증가되어 히스타민 생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도 높아졌다. 프로바이오틱 유산균과 히스타민 생성균은 NaCl 10% 첨가에 의해 증식이 억제됨으로써 렌넷 커드 내에 항균 물질과 히스타민의 함량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 < 0.05). 한편, 프로바이오틱 유산균과 히스타민 생성균을 혼합하여 제조한 렌넷 커드를 $25^{\circ}C$에서 5일간 저장 했을 때 히스타민의 함량은 유의하게 증가되지 않았으나, $20^{\circ}C$에서 20일간 저장한 경우에는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이 생산한 항균 물질의 활성이 감소됨에 따라 렌넷 커드 내에 히스타민의 함량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 < 0.05).

위장관내 조건에서 이중코팅 처리 된 프로바이오틱 비피도박테리움의 생존력 향상 (Dual Coating Improves the Survival of Probiotic Bifidobacterium Strains during Exposure to Simulated Gastro-Intestinal Conditions)

  • 강주연;이도경;박재은;김민지;이중수;서재구;정명준;신혜순;하남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75-281
    • /
    • 2013
  •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는 면역력 활성 조절, 콜레스테롤 수치 억제, 유당내성 강화, 항종양 활성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으로 건강 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는 일단 섭취하게 되면 위장관을 통과하는 동안 산도가 낮거나 단백질분해 효소가 많은 열악한 환경에서 생존해야 하며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증식해야 한다. 이중 코팅 기술은 펩타이드와 다당류의 이중코팅으로 섭취된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를 열악한 조건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중코팅 된 4종의 비피도박테리움 혼합물의 생존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코팅이 되지 않은 비피도박테리움 혼합물과 담즙, 산 저항성 및 열 안정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중 코팅 된 균주와 코팅이 되지 않은 균주를 산과 담즙 조건 및 $40^{\circ}C$에 노출 시킨 후 한천배지에 배양하여 생존생육 세포수를 측정하였으며, BacLigtht 키트를 이용하여 염색 한 후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여 생균과 사균의 세포수를 평가하였다. 이중코팅 된 균주 혼합물의 경우 코팅이 되지 않은 균주 혼합물 보다 산, 담즙 내성이 더 높았으며, 열 안전성 또한 코팅 되지 않은 균주 혼합물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들로 이중코팅 기술은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의 안정성 및 섭취 후 위장관 트랙을 통과하는 동안 균주의 생존률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재래식 된장으로부터 아민 산화 효소를 생산하는 프로바이오틱 바실러스균의 분리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robiotic Bacillus strain Forming Amine Oxidase from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 임은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535-154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3년 이상 숙성된 재래식 된장으로부터 아민 산화 효소를 생산하는 프로바이오틱 바실러스균을 분리 동정하는 것이다. 시료로부터 분리된 바이오제닉 아민(biogenic amines, BA) 생성균은 Bacillus sp. TS09, Bacillus licheniformis TS17, Bacillus subtilis TS19, Bacillus cereus TS23, Bacillus sp. TS30, Bacillus megaterium TS31, B. subtilis TS44, Bacillus coagulans TS46 및 Bacillus amyloliquefaciens TS59 등으로 동정되었다. 한편 동일한 시료로부터 분리된 B. subtilis TS04와 TS50은 인공 위액 및 담즙액에 대한 저항성, 장내 상피세포에 대한 부착능 및 BA 생성균(Bacillus sp. TS30 및 B. subtilis TS44)에 대한 박테리오신 생산 등의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나타내었다. 게다가 B. subtilis TS04와 TS50 균주가 생산한 아민 산화 효소에 의하여 카다베린, 푸트레신 및 티라민의 생성량을 감소시킬 수 있었으므로 이들은 BA 중독 위험을 낮출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 소재로서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산균 발효에 의한 프로바이틱 망고 주스의 생산 (Production of Probiotic Mango Juice by Ferment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 ;민주희;위영중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0-12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발효를 통하여 프로바이오틱 망고 주스를 생산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미호기성 조건으로 30℃에서 72시간 동안 망고 주스 발효를 실시하였다. 유산균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유산균수, pH, 산도, 환원당 및 유기산을 분석하였으며, 프로바이오틱 망고 주스를 4℃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유산균의 생존도를 측정하였다. 유산균 발효 72시간 후 pH는 초기 4.5에서 3.2로 감소하였으며, 환원당 농도는 초기 12%(w/v)에서 5.8%(w/v)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다른 유산균들과 비교하여 Lactobacillus plantarum의 경우 환원당을 가장 빠르게 대사하였으며 망고 주스의 pH를 가장 빠르게 감소시켰다. 프로바이오틱 망고 주스를 4℃에서 4주간 저장하는 동안 유산균수는 1.0 × 107 CFU/ml를 유지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부터 망고 주스는 프로바이오틱 음료의 생산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프로바이오틱 Lactobacillus rhamnosus GG가 포함된 발효유 '퓨어$^{(R)}$'의 섭취가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 김세헌
    • 식품과학과 산업
    • /
    • 제44권1호
    • /
    • pp.69-71
    • /
    • 2011
  •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는 적정량 섭취 시 장내 균총의 유지 및 균형을 맞추어 장의 항상성 유지에 도움을 주는 등 인체의 유용한 작용을 하는 균이다. 주로 유제품에 많이 포함 되어있으며 다양한 국가에서 오래 전부터 섭취되어 왔다. 특히, Lactobacillus는 가장 많이 연구된 probiotic 중 하나로 100개 이상의 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연구를 통해 Lactobacillus는 단지 식품으로의 역할 뿐만이 아닌 장 질환에 관련한 그 작용이 밝혀져 왔다. 본 총설에서는 프로바이오틱 Lactobacillus rhamnosus GG가 여러 장질환에 미치는 영향과 Lactobacillus rhamnosus GG 포함된 발효유 '퓨어'의 섭취가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