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프로그램 모델

Search Result 3,803,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Development of the power system simulator for dispatcher training simulator (급전윈 훈련을 위한 전력계통 모의 프로그램 개발)

  • Hwang, Pyeong-Ik;Ahn, Seon-Ju;Yoon, Yong-Tae;Moon, Seung-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439-44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급전윈 훈련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전력계통 모의 프로그램 개발 방법에 대하여 요약하였다. 전력계통모의 프로그램의 구현을 위한 유효전력/주파수 계산 모델, 부하 모델, 전압 조정기 모델, 계전기 모델, 보상기 모델을 소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Integrated Water Resources Modeling Framework (수자원 통합모델링 Framework 개발)

  • Kim Sung;Shim Kyu-Cheol;Lee Sung-Ha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523-1527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 통합모델링 프레임웍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의 모델개발과 프로그램개발 환경에 대한 사용자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요구조사의 응답자는 총 19명 이었으며, 그 응답자는 대부분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연구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자 요구조사 결과 국내에서는 물관련 전공자들이 모델과 프로그램의 개발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대부분 Fortran을 중심으로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모델개발자들은 모델간의 연계에 대한 필요성은 느끼면서도 모델간의 연계에 대한 실제적인 구현도구를 찾지 못하고 있으며, 모델의 공유에 대한 인식도 낮았다. 따라서 향후 통합모델링 프레임웍의 구체적인 설계 단계에서는 모델개발자가 개발된 모델의 프로그램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편리한 사용환경이 요구되며, 모델간의 연계를 위한 프로그램 표준화작업도 동시에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통합모델링 프레임웍의 설계에 있어 사용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기 위하여 사용자 요구조사를 바탕으로한 통합모델링 프레임웍 개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 PDF

Predicate Abstraction of Java Program for Model Checking (모델 체킹을 위한 자바프로그램의 술어추상화)

  • Lee, Jung-Rim;Lee, Tae-Hoo;Kwon, Gi-H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325-327
    • /
    • 2005
  • 모델 체킹은 시스템이 올바르게 동작하는 지를 자동으로 검증해주는 기법이다. 지금까지 모델 체킹은 방법의 특성상 상태폭발문제 때문에 작은 규모의 상태공간을 갖는 하드웨어나 프로토콜 검증에 주로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상태폭발문제를 다루기 위한 연구와 술어추상화 등과 같은 추상화기술의 발달로, 다를 수 있는 상태공간의 크기가 증가하고 정리증명기의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소프트웨어 자체의 논리적 오류를 검증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검증을 위해 추상화-모델 체킹-추상화 개선의 3단계 프로세스를 사용하는데 주로 C프로그램에 대해서만 이루어져 왔다. 우리는 이 프로세스를 자바프로그램에 적용하고 자동으로 자바프로그램을 이진프로그램으로 변환하는 술어추상화 모듈을 개발하였다. 이 모듈은 우리가 개발한 자바 모델 체커의 front-end부분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바프로그램에 대한 주요 추상화 알고리즘을 보이고 특정 자바프로그램의 안전성과 궁극성을 검증한다.

  • PDF

LOD management for u-GIS 3D models (u-GIS 3D 모델의 LOD 관리 프로그램)

  • Choi, Jin-Woo;Yang, You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148-151
    • /
    • 2009
  • u-GIS 공간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3D 모델의 렌더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Discrete LOD 기법이 적용된다. 하지만 u-GIS의 3D 건물 모델은 그 복잡성이 매우 높아 LOD 단계별로 모델을 직접 생성하려면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어 효율적이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원본 3D 모델을 활용하여 하위 LOD 단계의 모델을 메쉬 간략화 알고리즘인 QEM 기법을 통해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프로그램은 다양한 3D 모델의 데이터 포맷을 입력받고 출력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을 높이고, 생성되는 모델의 결과를 바로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확보하였다. 몇 개의 실제 3D 건물 모델로 실험을 수행하여 프로그램의 성능을 검증하고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Automatic Generation of Race Debugging Environment for OpenMP Programs (OpenMP프로그램을 위한 경합디버깅 환경의 자동생성)

  • 강문혜;김영주;전용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601-603
    • /
    • 2002
  • 공유메모리 병렬프로그램에서 경합은 프로그램의 비결정적인 수행을 초래하므로 디버깅을 위해서 반드시 탐지되어져야 한다. 경합을 수행 중에 디버깅하기 위한 기존의 도구들은 경합탐지 엔진과 시각화 엔진으로 구성된 경합디버깅 엔진을 특정 프로그램 모델에 의존적으로 적용하여 경합디버깅 환경을 구성한다. 이러한 도구들은 프로그램 모델의 변경 시에 경합디버깅 환경이 최적의 경합 디버깅 엔진으로 구성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OpenMP 병렬프로그랭에서 각 프로그램 모델에 따라 효과성, 효율성, 확장성 등을 고려한 경합탐지 엔진과 추상성을 고려한 시각화 엔진으로 경합디버깅 환경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도구를 제안한다. 이 도구는 디버깅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의 모델에 최적인 경합디버깅 엔진을 적용하므로 경합탐지 목적에 부합하는 최적의 성능과 효과적인 시각화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도구는 디버깅 환경을 생성하기 위한 부담을 줄여서 효과적인 디버깅을 할 수 있게 한다.

  • PDF

창업교육프로그램의 현황 및 개선방안;창업대학원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 Jeong, Jong-Seo;Min, Gyeong-S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201-225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도출하여 창업대학원의 사례에 적용시켜 개선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먼저 국내학자들이 창업교육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외학자들의 창업교육에 대한 관점을 이론적 배경으로 하였으며, 미국의 창업교육대학원과 일본의 창업교육대학원의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새로운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도출하였다. 창업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은 창업교육의 이론적 범위, 교육체계 및 실천적 모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창업대학원의 사례에 적용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기관의 교육목적 및 교육대상에 따라 세부교과목은 변경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창업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특정 목적에 합당하게 체계화된 교육의 교과과정을 개발하는데 적용시킬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해 줄 수 있다.

  • PDF

Automatic Translations for Model Checking of LD Programs (LD 프로그램의 모델 체킹을 위한 자동변환)

  • Kwon, Min-Hyuk;Shin, Seung-Cheol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6 no.2
    • /
    • pp.201-206
    • /
    • 2010
  • PLCs are special purpose microcontrollers used in most automatic control systems such as plants, embedded systems, and intelligent buildings. LD is one of the most popular languages among PLC languages. For now LD programs are mainly verified by simulation and testing which has a lot of limitation. This paper describes how to translate a given LD program into an input of a model checker so that LD program is verified by model checking. We define formal semantics of LD programs and SMV models and specify a formal definition of the translation function which preserves semantics between LD programs and SMV models.

Define a detailed model for developing a program of domestic buildings evacuation simulation (국내 건축물 피난프로그램 개발위한 세부모델 정립)

  • Youn, Ho-Ju;Hwang, Eun-Kyung;Kim, Jong-Sung;Kim, Jo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10a
    • /
    • pp.42-47
    • /
    • 2010
  • 최근 피난 및 소화활동의 제약이 많은 대형 및 고층건축물의 증가함에 따라 화재 시 많은 인적 물적 피해가 예상된다. 이에 국내외에서는 화재로부터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성능위주 소방설계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건축물의 화재 및 피난에 대한 공학적 분석이 요구되는데 현재는 대부분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피난프로그램은 국내에서 아직 상용화된 프로그램 없어 외국 피난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그대로 활용 하고 있다. 국외의 피난 프로그램은 국내의 건축물 및 재실자의 특성을 정확하게 반영할 수 없으며 알고리즘 또는 해석방식에 대한 이해가 어려워 잘못된 분석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상황을 반영할 수 있는 피난프로그램 개발을 하고자 국내에서 활용 되고 있는 피난 프로그램의 세부모델에 대한 분석을 통해 피난 프로그램의 국내 피난 프로그램의 세부모델의 개발방향을 설정을 하고자한다.

  • PDF

Integrated Design Platform and Standard Data Model for the Irregular-shaped High-Rise Buildings (비정형 초고층 구조시스템 통합설계 플랫폼과 표준자료모델)

  • Jung, Jong-Hyun;Kim, Chee-Kyeo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384-387
    • /
    • 2010
  • 비정형 초고층 구조시스템 통합설계 플랫폼은 비정형 초고층건물의 구조시스템 설계를 지원하는 여러프로그램들을 통합적으로 활용하여 구조설계자들이 협업을 수행하는 체계이다. 이 체계의 핵심적인 사항은 각 프로그램들이 필요한 자료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교환하는 것이다. 표준자료모델은 여러 프로그램들의 자료교환을 목적으로 적절한 범위 내에서 필요한 자료들을 취합하여 체계화한 것이다. 하지만 표준자료모델은 각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모든 자료들을 취합하고 그 목적에 부합되도록 체계화시킬 수 없어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정형 초고층건물 구조시스템 통합설계 플랫폼의 각 프로그램들이 표준 자료모델을 이용하여 자료를 교환하는 방법을 검토하고 비교하고자 한다.

  • PDF

Effect of Teaching Program for Model Ignorance on the Perception and Teaching Practice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모델 이그노런스 교수프로그램이 예비화학교사의 인식 및 교수 실행에 미치는 효과)

  • Jeon, Eunsun;Paik, Seoung-Hey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66 no.3
    • /
    • pp.228-242
    • /
    • 2022
  • In this study, the educational effect was investigated by providing a teaching program so that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could apply model ignorance education to teacher training practice. The teaching program was constr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sensemaking concept proposed in the study of Odden & Russ and the process of teacher sensemaking proposed by Asli et a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 pre-service teachers in the 4th year of chemistry education department at a teacher training university in the central region of Korea. In order to form a sensemaking for the model's ignorance education, the teaching program consisted of four stages; the initial idea generation stage, cognition of model's ignorance stage in a inconsistent situation, the lesson strategy construction stage for model ignorance education, and lesson plan & practice stage during teacher training practice. In the first stage of this program, pre-service teachers' initial ideas about the Arrhenius model and Bronsted-Lowry model of acid-base reaction, and the electron transfer model of the oxidation-reduction reac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second stage, inconsistant situation that cannot be explained by the knowledge of model was presented to recognize the ignorance of the model. The third stage was to develop the teaching ability of model's ignorance through textbook analysis and lesson strategy composition activities. As a final stage, during the teacher training practice,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asked to plan and practice the implementation of the model's ignorance education. Through the teaching program to form a sensemaking for ignorance education of the models, pre-service teachers had come to recognize the ignorance of the model, acquired ability to organize and execute lesson strategies reflecting model ignorance, and acquired recognition of the educational value and necessity of teaching the ignorance of mod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