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프로그램 공급업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6초

대기업 공급자관계의 협력활동이 중소기업의 생산역량 및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llaboration of Large Enterprises in Supplier Relationship on Manufacturing Capability and Performance of SMEs)

  • 김정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1호
    • /
    • pp.265-278
    • /
    • 2013
  • 본 연구는 대기업의 공급자관계(SR, Supplier Relationship)의 협력활동이 중소기업의 생산역량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국내 대기업 215개사의 협력업체의 응답결과를 SPSS 21.0 및 AMOS 21.0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은 요인 적재치를 이용한 개념 신뢰도와 분산추출지수를 사용하였다. 협력활동과 생산활동 수행도는 협력업체의 생산역량과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 대기업과의 수급단계를 조절변수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대기업의 협력활동이 협력업체의 생산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수급단계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소 차이를 보여주었다. 1차협력업체의 경우, 대기업의 협력활동이 생산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며, 2 3차협력 업체의 경우, 협력활동에 의한 영향은 유의하지 않으며, 생산역량과 기업성과는 생산활동수행도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우리사회의 핵심과제로 남아있는 중소기업의 경영 및 생존과 관련한 문제에 대해서 대 중소기업 상생에 기반한 내실있는 대기업의 협력활동과 정부의 동반성장정책을 복합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실질적인 동반성장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스타트업 제품 모델링을 위한 기존 보급 제품의 품질 유형 분류

  • 최재훈;김판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1-165
    • /
    • 2021
  • 스타트업 제품 모델링에 있어 기존 제품에 대한 분석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은 다양한 방식과 프로그램 들을 통해 측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다수의 스타트업들은 이러한 프로그램 운영이나 통계적 산출을 할 수 있는 인력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실제 사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특별히 뛰어난 수리적 지식이 없더라도 중, 소 스타트업의 입장에서 직원 누구나 활용 가능한 제품 분석 방법에 대해 찾게 되었으며 그 결과 Kano 모형이 가장 적합할 것이라는 예측을 하였다. Kano 모형을 적용할 제품군으로는 많은 소비자가 존재하지만 시장이 크지 않아 진출 기회가 열려있는 스마트워치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많은 회사에서 활용하고 있는 기본 오피스 프로그램인 EXCEL만을 활용해 제품의 Kano 모델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매력적요소 4가지(배터리 유효기간, 워치페이스의 종류와 수, 외형의 손상방지, 브랜드이미지), 일원적요소 13가지(단말기의 무게, 단말기의 외형, 구매가격, 오류발생, 스마트페이 기능, A/S용이성, 사용 가능한 앱의 수, 충전의 용이성, 방수 등 부가기능, 단말기 색상의 다양성, 헬스케어, 통화기능, 알림기능), 당연적요소 1가지(자사 기기와의 연동), 무관심요소 2가지(워치밴드의 디자인, 타사 기기와의 연동) 항목들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향후 본 Kano 모델을 활용하거나 해석함에 있어 최종학력, 전공, 연령 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모델 사용에 필요한 최소 지식 수준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 PDF

부산항 국제 선용품 공급업 경쟁력 제고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정보화 역량을 중심으로 (Exploring Strategies for Enhancing Competitiveness of International Ship Supply Business at Busan Port Focusing on the Informatization Competencies-)

  • 이홍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1-74
    • /
    • 2017
  • 본 연구는 부산항 국제 선용품 공급업의 경쟁력을 도모하기 위한 일환으로서 정보화 역량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최근 추진되고 있는 선용품 공급업체의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성공적인 도입과 정착을 위한 선결과제로서 정보화 역량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을 수용하고 활용하는데 필요한 당사자들의 정보화 역량을 실증적으로 파악하여 종합정보시스템 구축과 더불어 추진되어야 할 몇 가지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을 바탕으로 평가기준을 수립하였으며, 중요도-수행도 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기법을 활용하였다. 실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정보화 역량이 전반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처리능력이 다른 영역에 비해 매우 취약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정보화 재교육 프로그램과 전담 지원조직을 구성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건설기술인력 수급계획에 관한 연구

  • 이유섭;이교선;이태식
    • 월간 기계설비
    • /
    • 통권35호
    • /
    • pp.56-69
    • /
    • 1993
  • 건설산업이 점차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기술집약적 산업으로 전환됨에 따라 요구되는 건설기술인력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건설기술인력의 효율적인 수급을 위해 기술 인력의 공급량과 수요량을 예측하여 예견되는 불균형 또는 균형적인 소요량을 제시함으써 사회의 투자의사결정에 수반되는 불확실성의 감소, 경제계획수립의 기초자료, 정부의 정책이나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평가, 인력 확보를 위한 교육$\cdot$훈련체계 수립, 그리고 기업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할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기술인력이 수요동향 분석을 위하여 설문조사와 건설업통계조사보고서를 이용하여 건설업에 종사하는 건설업 취업자 추이, 고용구조, 건설기술의 현황을 분석하여 건설업의 종사자 및 기술인력에 대한 추이를 규명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경제요인을 고려한 건설기술인력의 수요예측모형을 제시하고 이 모형을 사용하여 2000년까지의 분야별 건설기술인력의 수요를 예측하였다.

  • PDF

국내 프로그램공급업의 산업조직론적 분석 (Analysis of Program Providers(PP) in Terms of Theory of Industrial Organization in Korea)

  • 여현철;김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29-240
    • /
    • 2010
  • 산업조직론적 차원에서 국내외 종합유선방송(SO)사업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프로그램공급업(PP)에 대한 연구도 일부 있었다. 그러나 PP의 시장 구조, 시장 행위, 시장 성과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논문은 없었다. 이 연구는 케이블TV 시장 내에서 PP를 시장 구조, 시장 행위, 시장 성과간의 관계를 종합적이고 역동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산업조직론적 시각에서 국내 40개 상업 PP를 대상으로 첫째, 시장구조와 시장행위, 둘째, 시장행위와 시장성과, 셋째, 시장구조와 시장성과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 첫째, 구조 행위와의 관계에서 수평결합이 가격 및 규모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행위 성과 측면에서는 가격이 가입자당 매출액 및 시청율에 영향을 미쳤다. 수신료 의존도의 경우 가입자당 매출액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구조 성과와의 관계에서 수평결합은 시청율에 영향을 미쳤고, 제품 차별화는 가입자당 매출액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매출원가는 매출액영업이익률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경기침체기 대안적 자금공급수단으로서 Venture Debt 활성화방안 연구: SVB, EIB, BDC, 해외 벤처유동성지원 사례를 중심으로

  • 최현희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2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38
    • /
    • 2023
  • 그간 Venture Debt은 벤처기업의 스케일업을 촉진하는 수단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경기하강 국면에서는 투자유치가 여의치 않은 벤처기업에 유동성을 제공하는 자금공급수단으로서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한편, 2023년 3월 SVB의 파산으로 Venture Debt 취급기관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부각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출재원의 지속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경기침체기 대안적 자금 공급수단으로서 Venture Debt 활성화방안을 연구하였다. 선행연구들은 주로 전통적 Venture Debt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벤처생태계의 성장과 경기사이클 변화에 따라 다양해지고 있는 Venture Debt을 유형별로 분석하였다. Venture Debt 유형을 전통적, Growth형, 유동성 지원형으로 구분하고, 각각 SVB, EIB(유럽투자은행), 해외 벤처유동성 지원사례를 중심으로 구조적 특징과 차이점을 분석하였고, 직접대출방식과 BDC 등 간접대출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경제성, 시장성, 대출재원 확보가능성 차원에서 국내 도입환경에 대한 실무적·법률적 검토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활성화방안으로 채권형 BDC 활성화를 통한 민간재원 활용, 벤처전용 유동성지원 프로그램 마련, 제2데스밸리 극복을 위한 Growth형 벤처대출 도입, 독립형 워런트 발행을 위한 법적 근거 마련 등을 제안한다.

  • PDF

대학무용연구소의 활성화 전략 연구 : 실무자 중요도 및 시급성 평가를 중심으로 (Strategic Study on Invigorating University-Associated Dance Institutes: Eentrally on Worker-Queried Evaluations on Importance And Urgency)

  • 김규진;김형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85-395
    • /
    • 2020
  • 무용 분야는 공급에 비해 수요가 부족하여 우수 인력을 비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 때 대학 기반의 무용연구소를 활성화하여 지역사회의 주민들과 적극 교류하는 것이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신산업육성 이론을 응용하여 전문가그룹에게 무용연구소의 활성화 방안을 질의하였다. 23개 문항을 추출하였고 실무자그룹에게 중요도와 시급성을 평가하였다. 조사 결과, 중요도의 대항목은 '프로그램개발'이, 시급성은 '자금지원' 항목이 1순위로 나타났다. 소항목의 1순위는 '프로그램개발'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연구개발비 신설"(중요도) /"프로그램 개발 담당 전문인력 채용"(시급성)으로 나타났고, '자금지원'의 경우에는 "사업예산 자체의 증액과 인건비 대상 범위의 확대"(중요도) / "인건비 세분화 및 확대지원"(시급성)으로 각각 나타났다.

Development of TPM Model for Small and Medium Size Business

  • 최무호;이상복
    • 한국품질경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품질경영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59-265
    • /
    • 2009
  • 우리나라 산업구조의 실태를 보면 2006년 현재 사업체 수로는 99.9%, 종업원 수로는 78.5%가 중소기업으로써, 부품 공급자로서 대기업을 지지하고 있는 것이 요즈음의 중소, 중견기업이다. 그러나 중소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은 어렵고 원가 절감이나 가격인하 요청, 고도의 품질 요구, 다품종 소량 제품의 요구 등 무수한 요구에 대응할 필요가 있는 현실은 심각하다. 이렇게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방책으로서 많은 경영 개선 프로그램이 소개되고 있으나 기술, 인력, 자금이 부족한 중소기업으로서는 소화하기 힘든 현실이다. 이에 중소기업 형 경영 개선 프로그램으로서 TPM 모델을 제시하기 위하여 제안된 여러 모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중소기업 용 TPM모델을 제시하고 추후 이를 검증하려한다.

  • PDF

기업 간 장기적 관계지향성이 그린공급사슬관리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ong-Term Relationship Orientation on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and Performance)

  • 이승기;김병근;박영찬
    • 중소기업연구
    • /
    • 제39권1호
    • /
    • pp.59-87
    • /
    • 2017
  • 최근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그린공급사슬관리(GSCM)에 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GSCM에 관한 실무적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학계에서도 환경경영에 관한 학술적 연구들이 다양한 관점에서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연구는 주로 대기업인 모기업 중심으로 1차 협력기업과의 관계를 연구대상으로 제시하고 있다. 1차 협력사는 공급사슬채널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어 환경경영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1차 협력사를 중심으로 기업의 기업 간 장기적 관계 지향성이 그린공급사슬관리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중소기업 그린 파트너십과 대·중소기업 탄소파트너십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1차 협력기업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 조사결과를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기업 간 장기적 관계지향성이 GSCM 실행 요소인 환경정보협력, 그린구매 그리고 그린제품설계를 촉진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GSCM의 하위변수 간의 상호 관련성을 추가적으로 분석한 결과 환경정보 협력이 그린구매와 그린제품설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GSCM 실행 요소인 그린구매, 그린제품설계는 환경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나 환경정보협력은 환경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OEM형태의 의류산업에 대한 ERP 도입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ERP Implementation for the Apparel Industry)

  • 임성식;권영식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0-427
    • /
    • 2003
  • 최근 국내 기업들의 ERP시스템 도입 사례는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제조업중심에서 금융, 서비스, 유통 등의 다양한 산업분야로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또한 SCM(Supply Chain management),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과 같은 확장ERP 시스템의 도입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여러 가지 측면의 ERP시스템의 확장 방향 중에서 산업별 특성에 따른 ERP시스템의 개발은 해당 산업분야의 규모와 중요성의 순서에 따라 그 깊이와 범위가 다르게 이루어 졌으며, 소수 특이한 산업에 대한 솔루션은 미개발 상태인 경우가 많이 있다. ERP 소프트웨어 공급업체들은 주요 산업별로 특징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지원하기위해 추가적인 프로그램을 공급하거나 개발 중에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 중 다소 특수한 업무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는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형태의 생산방식을 가진 의류 제조, 판매 업체의 ERP도입 사례를 통하여 ERP시스템 유연성의 한계에 대해 검토하여 보고 OEM산업과 의류산업이라는 산업특성에서의 ERP시스템 도입이 어떠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지 조사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OEM산업에 대한 고찰과 의류업종의 업무적 특징을 정리하여 보고 실제 ERP 도입 사례를 통해 발견된 도입 특성 또는 도입시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제시함으로서 향후 유사 업종의 ERP 시스템 도입 시 유용한 지침(Guideline)을 제공하고자 한다. ERP 도입사례는 SAP R/3를 채택하여 약 9개월간의 도입기간에 나타난 현상들을 기반으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