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프레스 금형

Search Result 17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velopment of Cam Die for Processing four Lateral Switch Box (스위치 박스 4측면 가공용 캠금형 개발)

  • 김세환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3.06a
    • /
    • pp.79-82
    • /
    • 2003
  • 스위치 박스는 건축물의 전선관용으로 사용되는 금속제 박스이다. 이 박스를 제조할 때는 제 1차 프레스에서 성형을 하고, 제 2차~5차 프레스로 박스의 4측면 가공을 하게 되므로 프레스 4대, 금형 4벌, 작업자 4명을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기계 사용료와 금형비, 인건비 둥 제조원가의 상승 요인이 되고 있으며 특히 프레스의 굉음과 진동 및 안전사고의 위험성 등으로 작업자들이 직무를 기피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금형 4벌에 의한 가공을 1벌의 금형에 통합시킨 캠금형 개발과 자동이송장치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프레스 1대와 금형 1벌로 무인화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어 직무기피요인을 해소하게 되고 제조원가 절감효과를 얻게 되었다

  • PDF

A Study on Heat Treatment Characteristic of HPDL to Surface Hardening for Press Die(I) - Characteristics of Laser Heat Treatment on FCD550 for Drawing Process - (프레스 금형의 표면경화를 위한 고출력 다이오드 레이저의 열처리 특성에 관한 연구(I) - 드로잉공정 적용을 위한 FCD550 소재의 레이저 열처리 특성 -)

  • Kim, Jong-Do;Song, Moo-Keun;Lee, Chang-Je;Hwang, Hyun-Tae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10.05a
    • /
    • pp.95-95
    • /
    • 2010
  • 자동차 산업에서 차체를 성형하는 프레스 금형 산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자동차 생산대수와 함께 성장해가고 있으며, 자동차 산업의 국제 경쟁이 심해지고 소비자들의 요구가 다양해짐에 따라 신제품 개발주기에 발맞추어 금형의 제작에도 단납기 및 비용절감을 위한 노력과 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해 신기술, 신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 차체를 제작하는 프레스 금형가공은 박판소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제작하는 공정으로써, 프레스의 상 하 운동을 이용하여 강판을 성형한다. 이러한 금형의 형태는 곧 자동차 차체 제품의 형태를 완성하므로 제품을 성형하는 도중에 금형과 소재의 마찰에 의해 금형의 마모나 마멸이 발생하여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금형의 내마모성 및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들 중 표면경화처리가 행해지고 있으며, 그중 공정 속도가 빠르고 국부적인 열처리가 가능한 레이저 표면처리 방법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금형의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출력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프레스 금형공정 중 드로잉(drawing) 공정에의 적용을 위한 표면경화처리를 실시하였다. 최대출력 4.0kW의 다이오드 레이저를 사용하였으며, 6축 외팔보 로봇에 열처리용 광학계를 장착하여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또한 광학계 부근에는 적외선 온도센서가 부착되어있어 열처리시 시험편의 표면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있다. 시험편은 금형재료용 구상흑연 주철인 FCD550 소재를 사용하였으며, 공정변수에 따른 열처리 특성을 파악하고, 그 경화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FCD550 소재의 표면 열처리시 레이저 출력 3.5kW, 빔 이송속도 3mm/sec에서 최적의 열처리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때의 최고 경도는 930Hv을 나타내며 모재에 비해 경도가 3배 정도 상승하는 우수한 경화특성을 보였다.

  • PDF

냉간성형 금형용강(STD2)의 방전가공면 성상에 관한 연구

  • 장세목;전태옥;박홍식;예규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2.10a
    • /
    • pp.96-100
    • /
    • 1992
  • 각종 금형 중 사출금형과 프레스 금형이 전체의 80~9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 금형을 가공할 때 방전가공이 주로 이용되되 있다. 금형재료 중에서 합금공구강(STD 11)은 열처리하였을 때 경도가 매우 커서 프레스 금형의 다이오와 펀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Wire-EDM 이나 Die Sinking EMD으로 가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프레스 금형의 다이와 펀치 등에 널리 사용되는 열처리된 STD11을 사용하여 가공 제특성에 영향을 주는 가공조건, 즉 방전전류펄스폭 및 방전전류파 고치를 변화시켜 이에 따른 공작물 가공량, 전극소모비, 표면조도, 가공단면의 열변질층 및 경도 변화 등 방전가공비의 성상을 조사하여 STD11의 최적의 방전가공조건을 찾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Development of Cam Die for Processing Four Lateral Switch Box (스위치 박스 4측면 가공용 캠금형 개발)

  • 김세환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4 no.3
    • /
    • pp.121-125
    • /
    • 2003
  • A switch box is metal box for electric wire pipes in building. In manufacturing this box, the first press is used to mold and the second to fifth presses are used to process four-sides of a box. So four presses, four molds and four workers are needed. This leads to raise the manufacturing cost including machine lease rent, molding fee, and wages. To make matters worse, the roaring sound, vibration, and dangers of safety accidents make employees avoid from working that job. To solve this problem, a new Handling Mechanism and a cam die which combined four-die-involving processes into one die process were developed. That results job automation of the Job with one press and one die. The job avoidance problem is solved and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s well.

  • PDF

A Study on the damage cause of blanking die (블랭킹 금형의 파손요인에 관한 연구)

  • Choi, Kye-Kwa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11a
    • /
    • pp.265-268
    • /
    • 2006
  • 프레스 금형은 대표적인 소성변형에 의한 가공법이다. 금형을 제작하여 프레스에 장착하고 제품을 생산하게 되면 피할 수 없는 문제가 금형의 파손에 관한 것이다. 금형의 파손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그중 중요요인 중 하나가 열처리에 의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발생된 파손 금형의 일부형태를 파악하고 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Developing die and Peripheral Equipment Used for the Manufacture of Octagonal Outlet Boxes (8각 아웃렛 박스 제조용 금형 및 주변기기 개발)

  • Chio Kye-Kwa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6 no.6
    • /
    • pp.560-565
    • /
    • 2005
  • This paper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manually operated die used for the manufacture of octagonal boxes into two sets of automated die. In particular, theoctagonal boxes are used fur the switch boxes intended fur the cable conduit of buildings or f3r wiring connection. Manufacturing these boxes requires forming the materials using the primary press before they undergo 2nd through 6th processing by the press machine including the four sides of the octagonal outlet box and bending. Such complicated process hikes up labor cost, slows down production, and results in defect rate of $10\%$ or higher; hence the overall rise in manufacturing cost. Moreover, workers avoid this type of work due to the roar and vibration coming from the press and the risk of accident. To eliminate such phenomenon, a CAM die made by integrating five sets of die into one set of die and an automatic conveyor system were developed. As a result, unmanned work was realized with only two units of press and two sets of die; thus solving the problem of work being avoided and saving on manufacturing cost.

  • PDF

Study on the Automation of Manufacturing and production Process for Press Die (프레스 금형의 가공 및 제작 공정의 자동화에 관한 연구)

  • Choi, Kye-Kwang;Park, Chan-Ky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275-278
    • /
    • 2009
  • 프레스 금형의 가공 및 제작 공정의 자동화란 불필요한 반복 작업을 피하여 시간을 절약하고 표준 품질의 가공물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자동화의 범위는 3차원 금형설계, 머시닝 센터, 와이어 컷 방전 가공, 도면작업까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자동화 공정이 구축이 완료되면 동일한 품질의 가공품을 얻을 수 있고 가공정보는 3D 카탈로그 및 다이 셋을 기준으로 작업을 한다. 1개의 부품을 금형설계자동화 모듈을 이용하여 3차원으로 금형설계를 완료하고 난후에 동일한 환경에서 프레스 금형의 가공 및 제작을 할 때 이의 공정자동화에 관하여 연구한 것이다.

  • PDF

판재 성형용 프레스 금형 설계를 위한 유한요소법의 응용

  • 김권희
    • Journal of the KSME
    • /
    • v.30 no.3
    • /
    • pp.231-236
    • /
    • 1990
  • 컴퓨터의 대단히 빠른 발전속도에 힘입어 공업용 판재의 프레스 성형을 위한 금형의 설계에 유한 요소법을 응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능해지고 있다. 유한요소 해석 결과의 신뢰도와 수행속도 의 향상을 위하여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문제들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해외에서는 물론, 국내 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비교적 가까운 시일 내에 관재성형용 금형설계에 유한요소법이 본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된다.

  • PDF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the Life Cycle of Press Die using Wire Cut Discharge Machining (와이어 컷 방전가공 시 프레스금형 수명 향상에 대한 고찰)

  • Yun, Jae-Wo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9
    • /
    • pp.61-67
    • /
    • 2017
  • Research into the selection of suitable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fast processing methods for press die manufacturing is absolutely necessary to reduce the production time and cost. In particular, knowledge of its heat properties must be considered whendeveloping a long press die. Generally, as the main component materials of press dies, Cr, W low alloy tool steel, high carbon-high chrome steel, high speed steel, etc., are used as thetooling steel for the cold die. Machine tools and wire-cut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are mainly used for processing the press die parts.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machining time and life cycle of die parts depending on the machining process. The parts produced by milling and grinding have a high manufacturing time and cost with a long life cycle, while thosemade by milling and wire-cut discharge machining have areduced manufacturing time and cost,whereastheir die life cycle is reduc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discuss amethod of improving the life cycle of the die parts by using heat treatment as a processing method that reduces the manufacturing time and cost. SEM, EDS analysis and the surface roughness analysis of the surface and center of the workpiece are used for analyzing the specimens produced by three machining methods, viz. milling - grinding, milling - wire cut discharge, and milling - wire cut discharge - heat treatment. A method of making die parts having the same life cycle as those produced by milling - grinding is developed with the milling - wire cut discharge - high temperature temper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