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풍수(風水)

Search Result 57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Planning the New City Based on the Geomancy: A Case of the Design of the New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NMAC) (경관풍수에 입각한 신도시의 개념적 설계 : 행정중심복합 예정도시를 사례로)

  • Seo, Tae-Yeol;Ock, Han-Suk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0 no.5 s.110
    • /
    • pp.491-513
    • /
    • 2005
  • The Republic of Korea is planning to build the now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NMA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new city that relies on the Korean geomancy, oriental viewpoint on man and nature relationship, particularly in Korea. According to the Geomancy which could conceptualize the human-environment relationship in the site, the overall landscape image of the city could be symbolized by two flying crane with three Taegueks. In transforming the overall landscape image to urban form, two diamonds which means eternity and strength arises from the western spatial viewpoint, as means to protect and harmonize the human, land and mountain relationship in this site and the symbolic meaning of this site as generative and sacred place in Korean people's mind. On the one hand, through juxtaposing of the two diamonds a geometric structure shows up, on the other hand the main axis of the city could be established from two crane and three Taegueks. On the North-South axis from the core of the symbolic green axis, symbolic things will be located, and the administrative offices will be Placed on the East-West axis. Peripherals of the central axis also play a role in developing overall land use from image. The buildings and residents could be arranged and located according to undulations and this is based on the oriental theory of geomancy. We can build cultural amenities on the head part of the crane and on the core area.

Work plan for flood disaster management considering climate changes (기후변화를 고려한 풍수해 재난관리 업무방향)

  • Shim, Kee-Oh;Yoo, Byung-Tae;Park, K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37-341
    • /
    • 2009
  • 지구의 평균기온이 지속적으로 상승함에 따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지구에 분포되어 있는 극지방의 빙하들을 녹임으로써 지구의 물 순환시스템을 교란시켜 집중호우와 태풍, 가뭄, 낙뢰 등 예측을 불허하는 극한 기상변화를 발생시키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바다의 수온이 상승함에 따라 빙하가 녹거나 바닷물이 팽창하여 해수면이 상승하게 되는 바, 1990년 대비 2000년대에 동해바다에서는 상승률이 0.07cm/yr이던것이 0.20cm/yr로 나타났으며, 서해바다에서는 0.14cm/yr이던 것이 0.18cm/yr로 나타났고, 남해바다에서는 0.32cm/yr이던 것이 0.34cm/yr 로 평균상승률이 1990년대에 비해 증가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소방방재청의 현행 업무를 중심으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풍수해 업무별 추진해야할 연구과제들을 조사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분야의 정책과 관련된 연구적인 측면의 분야를 제시하기 위하여 최근에 나타난 자연재난 피해현상에 대한 원인 및 대책을 기초로 하여, 재난관리분야에서 추진하고 있는 업무를 계승 발전시킴으로써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예방 또는 최소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소방방재청의 풍수해 재난관리 분야 종합계획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관련 최근 국내 외의 동향을 먼저 살펴보았다. 1977년부터 2006년까지 우리나라 최근 30년간의 재해연보에 제시되어 있는 시설물별 피해액을 조사하여 시설물 중 피해액이 많은 순으로 주요피해 시설물을 파악하였다. 여기에서 주요피해 시설물로는 하천, 도로, 소하천, 수리, 농경지, 사방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요시설물에 대한 피해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규모 풍수해 피해에 대한 현황, 원인분석 및 대책이 제시되어 있는 각종 피해조사 보고서, 연구보고서 및 전문 학술지 기사들을 수집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각각의 재해피해현상에 대하여 시설물의 피해현상, 원인 및 대책을 분류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재난관리 분야 중 우수유출저감시설 관련 제시된 업무방향을 보면 침투 저류를 위한 우수유출저감시설의 개발연구, 침수위험지구의 지정기준 등급별 방재대책 방안연구, 유역별 재해위험 저감능력의 평가기준 개발, 단위구역별 우수유출저감시설의 확보기준 연구, 우수유출저감시설의 국내 표준화 방안 연구,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자에 대한 인센티브 도입방안 연구, 피해지역의 매입을 통한 저류지화 방안 연구,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효과의 교육 홍보 및 우수유출저감시설의 국제 표준화 기준 제정 추진 등이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기에서 제시된 재난관리 업무분야별 많은 연구과제들이 향후 연구할 수 있는 재원확보로 이어져 재난관리의 업무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으며, 주요 결론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에 대해서는 기존에 소극적으로 대응하였으나 기후변화대책기획단을 만들어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으므로 기후변화와 관련된 여러분야가 활성화 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국외의 기후변화 대응사례에서 보면 시설물의 규모를 볼 때 큰 규모의 예산을 투입하는 것으로 판단되는바, 이는 향후의 불확실한 기후변화에 대비하는 선진적인 판단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풍수해 관련 주요업무 8가지에 대하여 추진해야할 업무방향 48개를 선정 제시하였다.

  • PDF

The Expression of Landform in Feng-shui Map in Chinese Feng-shui Manual Jiriinjasuji (풍수서(風水書) "지리인자수지(地理人子須知)" 산도(山圖)의 지형표현 연구)

  • Lee, Hyung-Yun;Sung, Do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6 no.1
    • /
    • pp.1-15
    • /
    • 2010
  • A feng-shui map(山圖) represents the most ideal natural landform on a map of feng-shui space model, highlighting propitious spots and grave sites in terms of feng-shui. This study made an analysis into feng-shui maps featured in the Chinese feng-shui manual Jiriinjasuji published in the Ming dynasty of China and did research on the following points regarding the traits of landform expressions: viewpoints of feng-shui maps, perspective points, center-oriented maps, double map scales, mountain theories, detailed expressions of propitious spots, etc.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landform expressions in the Chinese feng-shui manual Jiriinjasuji are as follows: the viewpoint technique was aerial one; the maps were center-oriented, that is to say, the center of grave sites or propitious spot was depicted in detail; and often the important terrains around grave sites were exaggerated or delete compared with real landforms. In addition, other vital landforms not observed from grave sites were depicted with viewpoints moved and were represented in greater details' The part of mountain theories had the following points as their main subject matter: geographical locations, overall orientations of mountain ranges, topographical traits, grave seat directions, surrounding terrains and extent of fortune-bringing. The directions of the maps were relative and there was no definite concept of scales. But,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 maps made use of the double scale technique when expressing the terrains that have propitious space, logistical cities or directional importance. Furthermore, they often utilized multiple scale in expressing near views, mid-range views and distant views.

  • PDF

A Study on the Spatial Meaning of Correlation in M. Heideggers Existential Space and Situation of Fengshui (풍수의 국면과 실존공간이 갖는 공간적 의미에 관한 연구)

  • 조영배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no.25
    • /
    • pp.149-154
    • /
    • 2000
  • The concept of "place" has recently been given much attention by those who discuss problems of urban design and architecture. And we used the term "existential space" denote our concept or image of the environment. To create new space means to implement existential patterns in a given environment. So, this thesis explores the spatial meaning of correlation in Heideggers Existential Space and Situation of Fengshui.tuation of Fengshui.

  • PDF

역사속 과학인물 - 조선조 풍수지리의 예언자 남사고(1509~1571)

  • Park, Seong-Rae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8 s.339
    • /
    • pp.27-29
    • /
    • 1997
  • 사람의 살 곳을 고르고 죽은 뒤의 묻힐 자리를 선택하는 체계적 지식을 풍수지리라 한다면 그것은 '땅의 과학'일 수도 있다. 우리 역사상 가장 뛰어난 이름을 남긴 조선시대의 풍수지리학자 남사고는 예언을 적중시킨 인물로도 유명하다. 같은 시대의 율곡 이이도 남사고의 뛰어난 예언능력을 증언할 정도이다. 그는 문정왕후의 죽음, 동인과 서인의 당파싸움, 이인좌의 난 등을 예언해 후세인들을 놀라게 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