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풍수(風水)

Search Result 57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lassification of Statistical Error Types Through Analysis of Wind and Flood Damage History Data (풍수해 피해이력 자료 분석을 통한 통계적 오류유형 분류)

  • Kim, Ku-Yoon;Lee, Mi-Ran;Lee, Ju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35-136
    • /
    • 2022
  • 최근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태풍 및 국지성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풍수해로 인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재해연보를 통해 자연재난 피해이력 통계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당해연도 자연재해상황을 기간별, 시도별, 수계별, 월별, 원인별 총괄통계와 인명피해, 시설피해와 관련된 피해면적, 피해액, 복구액 등 세부내용으로 구성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국가재난정보시스템을 통해 취합된 지자체 피해이력 통계자료를 입력하고 있는데 입력하는 과정에서 누락, 오기 등의 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고 있는 풍수해 재난이 발생하게 될 경우 피해비용 집계, 피해액 산정 등 정확한 자료로서 구축되지 않으면 연구 및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통계자료로서 활용될 수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1985년부터 2018년까지 재해연보에 대해서 기간별-시군구별 자료분석을 통해 피해이력 데이터 오류 유형에 대해 분류하였다.

  • PDF

풍수재해 위험관리 대책

  • Kim, In-Tae
    • 방재와보험
    • /
    • s.107
    • /
    • pp.10-15
    • /
    • 2005
  • 풍수재해 피해 증가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사전 위험을 확인하고 분석하여 대비책을 강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해예방을 위한 종합적 방재정책 마련으로 예방이 최우선되어야 하며, 신속한 대처를 통해 피해를 줄이고 불필요한 비용을 감소시켜야 피해당사자인 국민의 신회를 얻을 수 있다.

  • PDF

A Study on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Interpolation Technique Module for Damage Prediction from storm and flood use (풍수해 피해예상도 활용을 위한 보간기법 모듈 구축 및 적용에 대한 연구)

  • Lim, So Mang;Seo, Jung Ho;Yu, Wan Sik;Hwang, Eui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74-374
    • /
    • 2019
  • 지구온난화의 영향으로 기상이변으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여 이를 예방하기 위해 풍수해 피해 예측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관련 기관 및 지자체별로 각자 다른 필요성과 목적에 ?라 다양한 형태의 풍수해 관련 피해예상도가 작성되어 왔다. 풍수해 피해예상도 작성을 위해서는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일반적으로 정해진 빈도에 의해서만 작성되기 때문에 다양한 빈도의 작성은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빈도별 홍수량과 빈도별 피해예상도를 활용하여 피해예상도를 작성하기 위해 보간기법을 마련하여 적용하고자 한다. 풍수해 피해예상도는 과거의 침수흔적과 홍수범람해석을 통하여 침수가 예상되는 지역을 미리예측한 지도로 방재대책 수립 및 재해정보지도 작성을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데이터의 보간은 불연속적으로 주어진 데이터 점들을 이용하여 그 점들 사이의 값을 추정하는 방법의 한 종류로 활용하는 데이터에 따라 보간기법이 달라진다. 보간법은 선형보간, 라그랑제 다항식 보간, 네빌레의 반복 보간, 뉴튼 다항식에 의한 보간법 등이 존재한다. 각 보간법의 내용과 특성, 활용법을 분석 비교하여 피해예상도 보간기법 모듈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빈도별 홍수량과 빈도별 피해예상도를 활용하여 보간 기법을 적용하기 매우 제한적이며 여러 보법 중 특성을 파악했을 때 선형보간법이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 판단된다. 또한, 선형보간을 위한 변수로 확률빈도보다는 홍수량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정확도를 더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침수흔적도와 DEM을 사용하여 침수용량을 파악하고 피해예상도를 선형보간하여 작성한다. 침수용량을 파악하여 선형보간하여 침수용량에 대한 임의의 홍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피해예상도를 홍수량과 침수용량에 대한 관계를 정리하였으며 피해예상도를 선형보간하여 작성할 수 있다. 선형보간하여 작성된 피해예상도는 빈도별 강우와 실시간 지속 강우를 기반으로 해당 지역에 대한 침수 피해 예상에 활용 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Geographical Analysis of Natural Disaster and Disaster Risk Management in Vietnam (베트남 자연재해의 지리적 분석 및 재난위험관리에 관한 고찰)

  • Yoon, Cho-Rong;Yoo, Young-Min;Lee, Ha-Na;Lee, Ja-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76-476
    • /
    • 2011
  • 베트남은 자연재해로 인해 매년 평균 750명 이상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경제적인 피해 또한 한해 GDP의 1.5%에 달하고 있다. 저먼워치(Germanwatch)의 2010년 세계기후위험지수(Global Climate Risk Index, GCRI)의 전 지구적 기후재난에 관한 국가별 순위 조사에서 베트남은 4위에 기록되었다. 베트남의 자연재해는 상당 비중이 풍수해에 집중 되어 전체 재해의 86%를 차지하고 있고, 이는 대부분 해안 지대와 강 유역의 홍수 및 범람에서 비롯된 것이다. 베트남 전체인구의 약 70%가 상습적 홍수와 범람 발생 지역인 해안가에 거주하고 있어 재난에 예방 및 복구 관리에 대한 국가 차원의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30년간의 풍수해 관련 재해에 대한 기록상 추이를 통해 공간적으로 재난에 취약한 지역적 분포를 살펴보고, 그 지역의 지리적 특성을 분석하여 재해에 관한 종합적 고찰을 하였다. 벨기에 루뱅대학 부설 재난역학연구센터(Centre for Research on the Epidemiology of Disasters, CRED)의 EM-DAT를 이용하여 과거 기록상의 개괄적인 재해양상에 관한 추이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재난은 풍수해에 집중이 되어 있음을 분석하였고, 베트남 풍수해조정기관인 홍수및폭풍조정중앙위원회(Central Committee for Flood and Storm Control, CCFSC)의 최근 30년간 풍수해에 관련된 통계 자료를 정리하여 상습적 재난 피해지역을 지도상에 표시하였다. 이 때 지구지도제작운영위원회(International Steering Committee for Global Mapping, ISCGM)의 D_WGS_1984 Datum을 바탕으로 한 베트남 shape file을 이용하여 풍수해에 따른 인명피해, 경제적 손실, 발생횟수 등에 관한 사항을 일반화 시켜 재난 취약지역을 지리적으로 분석하였다. Thanh hoa, Quang nam, Binh Dinn, Camau성이 풍수해와 관련된 재난에 취약하게 노출되어 있음을 도출하였다. 재난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이들 지역에 대한 현재의 재난 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관해 현재의 풍수해관리 사업단의 조직적 구조와 그 기능 및 역할을 살펴보고, 국제적 원조 사례를 분석하여 상습적으로 재난의 위험 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복구를 어떻게 이루어 나갈 것인지에 대한 방안 및 제언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베트남의 재난 관리에 관한 지리적인 종합 분석은 기존 양상의 재해에 대한 방안을 구축하는 데 대한 제언뿐만 아니라 기후변화와 관련된 재난을 예측하고 관리 방안을 설정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Daesoon Jinrihoe's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as Appraised through the Hyeonggi Theory in Fengshui (풍수 형기론(形氣論)으로 본 대순진리회 금강산토성수련도장)

  • Shin, Young-dae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36
    • /
    • pp.35-78
    • /
    • 2020
  •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overall Fengshui figuration and geomantic features of Daesoon Jinrihoe's Geumgangsan (Mt. Geumgang)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from the Hyeonggi (Energy of Form) Theory in Fengshui. This study first looked at the mountain landscape viewable from the surface, examined the influence of Qi (Energy) flowing inside it, comprehended the flow of its vitality in terms of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gauged the depth of the energy produced from mountain streams to determine fortune and misfortune. There is a special significance to this site due to Sangje's teaching that "⋯ it will be prosperous with 12,000 Dotonggunja (Dao-empowered Sages)," and it is also known as a efficacious grounds for cultivation among ascetics due to it housing the royal mausoleum of Dojeon (interpreted by some as Maitreya). Concerning this, this study explores the geomantic symbolism and growth-supporting land of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as it corresponds to Fengshui theory, and in keeping with this, the topography and conditions are likewise examined. The mountain range and its energy pathways (veins) harmonize with the pure water energy coming from the East Sea. The mountain terrain of Mount Geumgang, and the geomantic location, topography, and energy pathways that influence Daesoon Jinrihoe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are all explored.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extends through Mount Geumgang to Sinseonbong Peak, and one range extends to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whereas the other range extends through Sangbong Peak down to Misiryeong Valley and Mount Seorak. Thu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Daesoon Jinrihoe has always strongly consi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temple complexes and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 The order has always selected locations that exhibit optimal conditions which suit the construction of sacred spaces. The determinations in this paper were made through an academic approach that drew upon various theories of Fengshui while examining Daesoon Jinrihoe's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The in-depth analysis was specifically based on Hyeonggi Fengshui. At the same time, this study also looked into the surroundings of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In particular, the mountains and flow of nearby bodies of water were comprehensively examined to show how the surrounding topography corresponds to the principles of Fengshui. An integral approach combining all major theories of Fengshui revealed that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starts from Sinseonbong Peak, and its energy flows through the main mountain range, going through numerous geographical changes of yin and yang. When the range flows down, the water flows accordingly, and where the water whirls, the mountains are shaped accordingly. Eventually, this energy reaches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From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mountains and bodies of water, which can be said to be the essence of the order of nature, it can be judged that the most prominent geomantic feature of Geumgangsan Toseong Training Temple Complex corresponds to traditional theories of Fengshui in that it forms a configuration wherein optimal water energy supports the Virtuous Concordance of Yin Yang and harmonizes the Blue Dragon with the White Tiger.

A Study on the Birthplace of Kang Jeungsan, Gaekmang-ri, and Neighboring Areas from a Feng Shui Perspective: Focused on the Theory of Connecting Geomantic Veins (상제 강세지 객망리 일대의 풍수지리적 의미에 관한 연구 -지맥의 연결과정을 통한 형기론을 중심으로-)

  • Shin Young-dae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46
    • /
    • pp.69-122
    • /
    • 2023
  • This study is an integral exploration of Feng Shui associated with the area around the birthplace of Kang Jeungsan, a sacred site of Daesoon Jinrihoe which holds that the Supreme God descended in human form at that location (through Kang Jeungsan). Through an on-site Feng Shui survey, the main focus of the research method was to explore the Feng Shui configurations around Kang Jeungsan's birthplace especially as it pertains to the connections among geomagnetic veins which lead to the Mount Shiru area. As a method of investigation, this study explored the Feng Shui of Gaekmang-ri Village and the geomantic veins leading up to Mount Shiru. This involved examining the landforms, topography, water flow, and geomantic veins of the area to reveal the overall Feng Shui configurations. Throughout the course of that on-site survey, this study first examined Mount Duseung and Mount Bangjang, also known as Mount Yeongju (sometimes collectively known as Mount Samshin), Mount Dongjuk, Mount Mangje-bong, Mount Maebong, and Mount Shiru. Then, this study stated some of the underlying issues through a scholarly approach based on various theories such as traditional geographical texts and theories on mountain-growth and water-flow from the perspective of Feng Shui. In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theoretical aspects of the uninterrupted and undulating flow of the terrain leading to Shiru Mountain. As a result, from a Feng Shui point of view, the connected network geomantic veins in the area of Kang Jeungsan's birthplace and the feng shui features and conditions were all examined through an on-site survey.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the area forms a large Feng Shui site due to the vast interconnectivity among all the mountains that extend from the Honam vein and form organic relationships with one another. This even includes Mount Samshin in Honam.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conditions that formed a site that enabled harmony between divine beings and humankind, the surrounding place names also provide allusion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birth of Kang Jeungsan as the descent of Supreme God into the human world through the historical figure, Kang Jeungsan. This area is an ideal spot with a propitious spatial arrangement in terms of its Feng Shui. Feng Shui analysis reveals the site to be a place that holds an earth energy-hub transmitting a great energy of nature that cannot be measured by human power alone.

A Study on the Location of Zen Buddhist Temples During the Late Silla Dynasty in Korea - from Feng-shui(風水) Perspective - (신라말 구산선문(九山禪門) 사찰의 입지 연구 - 풍수적 측면을 중심으로 -)

  • Cho, Sung-Ho;Sung, Do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6 no.3
    • /
    • pp.53-8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racteristics of the location of Zen Buddhist temples which are the Nine-Mountain Sects of Zen(九山禪門) from feng-shui perspective. A large number of temples have been built for about 1600 years since Buddhism had influenced on Korea. They have been built nationwide in different times by different sects of Buddhism. The pattern of location of Buddhist temples is different according to background of the times (political, economic, cultural aspect) and of tenet(difference in sects of Buddhism) when the temples were built. But the general location of Korean Buddhist temples is in accordance with feng-shui theory. Feng-shui is a traditional geographic thought in China and Kore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feng-shui in order to understand Korean landscape and cultural geography. It had given a tremendous impact on Korean landscape through choosing site of cities, settlements, houses, mounments, temples, pagodas, and so on. Before feng-shui was prevailing in Korea, Buddhist temples were mostly built on sacred place which was connected with folk beliefs. In the case of the late Silla Dynasty when Zen Buddhism was prevailing, feng-shui became popular and many. temples were built in accordance with feng-shui. The typical examples are found in the site of Nine-Mountain Sects of Zen temples. The interpretation of geomantic site of Nine-Mountain Sects of Zen temples will show us how feng-shui was applied to and reflected in the Korean peninsula. In Zen Buddhism, feng-shui was applied to the choice of the temple site. Also feng-shui theory was usually used to choose the site of stupa(Budo) where the remains of the founder of sect. In this study, I will interpret the geomantic characteristics of Nine-Mountain Sects of Zen temples. The geomantic interpretations of the temples are as follow. 1. The temples are located at the foot of a hill with surrounding mountains and a watercourse in front. Feng-shui texts often describe it as an ideal site. This geomantic situation is well equipped with natural drainage; protection from cold wind from the north or evil spirits; a good view with open space to the front; protection from unnecessary weather damage; and security and protection from strangers and invaders. 2. The sitting and facing direction of the temples correspond to the oncoming dragon's direction. 3. Many feng-shui texts discuss the types of Sa(surrounding mountains) in detail and morphologically describe them with certain animate and inanimate auspicious objects. In case of Nine-Mountain Sects of Zen temples, the geomantic landscape of these can be compared to auspicious objects. This is morphological marker for the description of configulation features of these temples. 4. Most auspicious places are not perfect, but the shortcomings can be overcome by many means. We can observe modification of landscape for the purpose of fulfilling the geomantic harmony of the temple.

  • PDF

고층 아파트 지기(地氣) 부족, 화단 만들면 보충된다

  • Go, Je-Hui
    • 주택과사람들
    • /
    • s.188
    • /
    • pp.76-79
    • /
    • 2006
  • 풍수가 아파트 가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같은 한강변이라 하더라도 용산구 이촌동, 서빙고동, 강남구 압구정동 등 명당지역의 땅값이 그렇지 못한 지역보다 평당 110만원 이상 비싼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을 이제 집안의 인테리어 배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재물과 건강을 좌우하는 단계에까지 이르고 있다. 관련하여 풍수와 관련한 '복을 부르는 행운의 주택과 인테리어 배치법' 등을 연재한다.

  • PDF

배 품종별 생장시기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

  • Jang, Sun;Na, Chang-Soo;Eun, Jong-B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04a
    • /
    • pp.105.2-106
    • /
    • 2003
  • 배 폐과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식품소재나 이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개발을 위하여 배 품종별 생장시기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나주 지역에서 생산한 풍수, 신고, 추황 등 3품종을 시료로 하여 생장시기에 따라 배 무게의 증가를 관찰하였고 표면의 착색도는 Hunter 색차계로 L, a, b값을 측정하였으며 수분함량은 상압가열건조법으로 측정하였다. pH와 가용성 고형물은 각각 pH meter와 refractometer로, 총산은 적정법으로 측정하여 citric acid로 나타내었다. 총당은 phenol-황산법으로, 환원당의 함량은 DNS법으로 정량 하였고 총탄수화물의 함량과 전분의 함량은 산 가수 분해시킨 후 DNS법으로 측정하였다. 유기산과 유리당은 HPLC를 이용하여 정성, 정량 분석하였다. 풍수 과중의 증가는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신고와 추황은 생장전기에는 급속히 증가하다가 후기에는 완만한 증가를 보였다. 풍수는 L, a, b값이 모두 약간의 증가를 보였고 신고와 추황은 a값이 각각 -1.80, 4.01에서 9.22, 9.70으로 증가하였으며 L, b값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과피의 수분함량은 약 61%에서 79%로 증가하였고 과육의 수분함량은 76%에서 90%로 증가하였다. 풍수와 추황의 경우 과육의 수분함량은 생장초기에 이미 생장후기와 비슷한 수분함량 비율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품종 모두 생장초기 총산의 함량은 수확시기의 함량보다 높았고 추황의 경우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과피와 과육의 총산의 함량은 감소하다가 다시 약간의 증가 추세를 나타내었다. 유기산은 주로 tarta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 citric acid 그리고 shikimic acid가 검출되었고 수확시기에 3품종에서 모두 mal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malic acid와 citric acid의 함량이 풍수와 신고에서는 약 0.3%, 추황은 0.4%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3품종 모두에서 총산과 같은 추세로 성숙기의 유기산의 함량이 생장초기의 함량보다 많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배의 가용성 고형물은 전체적으로 과실의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풍수와 신고 과피의 총당과 환원당은 거의 같은 추세로 증가하였고 성숙이 가까워지면서 환원당이 감소하였다. 배 과육의 총당과 환원당 또한 거의 같은 추세로 증가를 하다가 수확 전 20일 혹은 30일부터 총당의 함량은 계속 증가하지만 환원당의 함량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 과실의 전반 성장과정에 있어서 전분함량은 감소하였고 총탄수화물의 함량은 과육에서는 증가하나 과피에서는 반대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풍수의 전분함량은 최고 2.19%에서 0.23%로 감소하였고 신고에서는 0.43%로 추황에서는 0.48%로 감소하였다. 배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orbitol, sucrose 둥 4종류의 당이 검출되었고 3품종 모두에서 생장과정 중 비환원당인 sucrose 함량은 계속 증가하였고 fructose, glucose, sorbitol의 함량(추황의 sorbitol을 제외)은 생장이 촉진됨에 따라 증가하다가 다시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총당과 환원당의 측정결과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의 성장에 따라 산 함량은 감소하였고 당 함량은 증가하였다.

  • PDF

Nationwide Inundation Analysis method for Flood and Storm Disaster Insurance Rate (풍수해보험요율 산정을 위한 전국단위 내수침수해석 방안)

  • Yoo, Jaehwan;Song, Juil;Jang, Moonyup;Kim, Hantae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1 no.1
    • /
    • pp.55-62
    • /
    • 2015
  • This study suggested Nationwide Inundation Analysis method for Storm and Flood Damage Insurance Rate. Suggested modified Level-Pool method considers Zoning of urban plan to reflect real inundated area and limit inundation-boundary. Inundated area, as results of modified Level-Pool method, compared with inundation risk area on "storm and flood damage mitigation total plan". Simulated inundated area by modified Level-Pool method was more matched than results of traditional method. Therefore, modified Level-Pool method could be useful to analyze nationwide inundated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