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풍미물질

Search Result 7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aste Compounds and Reapprearance of Functional Flavoring Substances from Low-Utilized Shellfishes (연안산 저활용 패류를 이용한 기능성 풍미소재의 정미성분 및 정미발현)

  • OH Kwang-Soo;HEU Min-Soo;PARK Hee-Yul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1 no.6
    • /
    • pp.799-805
    • /
    • 1998
  • In present paper, we examined the flayer constituents and functionality of two stage enzyme hydrolysates (TSEH) of purplish clam and oyster, and also examined reappearance of oyster flavors through repreparation of individual flayer constituents.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in TSEH was $1943.0mg\%$ for purplish clam and was $5066.2 mg\%$ for oyster, respectively, Major free amino acids in purplish clam extracts were taurine, glutamic acid, glycine, alanine, Iysine and arginine, and in oyster extracts were taurine, asparagine, glutamic acid, valine, leucine, alanine, Iysine and arginine. As for nucleotides and related compounds, AMP was the principal component though small amounts in TSEH of purplish clam and oyster, and also contents of TMAO, total creatinine, and betaine were $41.2 mg\%,\;35,9 mg\%$ and $220.9 mg\%$ for that of purplish clam and $3.51 mg\%,\;33.4 mg\%$ and $380.9 mg\%$ that of oyster, respectively. The major inorganic ions in TSEH of both samples were Na, K, P, Cl and $PO_4$, and major non-volatile organic acid was succinic acid. The TSEH of purplish clam and oyster revealed very higher inhibition effect ($84.1\%,\;77.0\%$) in ACE inhibition than that ($0\~44.7\%$) of water and autolytic extract. A synthetic oyster extract prepared from pure chemicals on the basis of the analytical data on the TSEH, satisfactorily reproduced the taste of the natural extract except for a slight lack of mildness and odor. From the omission test the major taste compounds of oyster extract were free amino acid and inorganic ions. The quaternary ammonium bases, nucleotides and related compounds seemed to net an auxiliary role in taste of that.

  • PDF

Comparison of glucose, lactate, and nucleotide degradation products content of cooked Hanwoo and Australian beef steaks by internal temperature (가열 한우육 및 호주산우육 스테이크에서 심부온도에 따른 glucose, lactate 및 핵산 분해 물질 함량 비교)

  • Kang, Sun-Moon;Kang, Geun-Ho;Seong, Pil-Nam;Kim, Young-Chun;Kim, Jin-Hyoung;Ba, Hoa Van;Jang, Seon-Sik;Cho, Soo-Hyu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42 no.4
    • /
    • pp.369-374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glucose, lactate, and nucleotide degradation products content of cooked beef steaks from Korean Hanwoo (quality grade: 1) and Australian cattle (Bos indicus, grain-fed for 100 d) by internal temperature. The loins (M. longissimus dorsi) and top rounds (M. semimembranosus) from two cattle breeds were cut into about 2 cm thickness and then cooked in a $180^{\circ}C$ electronic oven until internal temperature attained to 50, 70, or $90^{\circ}C$. Regardless of internal temperature, glucose content was higher (P<0.05) in cooked loin and top round steaks from Hanwoo compared to those from Australian cattle. Lactate content was shown to be lower (P<0.05) in cooked steaks from Hanwoo than in those from Australian cattle. Lower (P<0.05) hypoxanthine and higher (P<0.05) guanosine 5'-monophosphate, inosine 5'-monophosphate, inosine contents were observed in cooked steaks from Hanwoo. Furthermore, glucose content tended to be decreased by internal temperature but nucleotide degradation products content was not changed by internal temperature.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ooked Hanwoo beef steaks had higher flavor precursors related to sweet and umami tastes than cooked Australian beef steaks

Rheological Properties of Vienna Sausage by Addition of Dried Boving Plasma (Boving Plasma첨가에 따른 Vienna Sausage의 물성 변화)

  • 양철영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0 no.4
    • /
    • pp.264-271
    • /
    • 2000
  • 정육 대체물질의 첨가에 따른 효과를 살피기위해 건조 소 혈장 단백질을 단계별로 높이면서 제조한 비엔나 소시지의 물성적 특성 드을 경시적으로 고찰 비교하였다. 수율은 방냉후 축정된 것으로 81.60~84.88% 범위이며 대조구와 D-2, D-3간의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P<0.05). 조직의 부분적인 연화 정도는 대조구에 비해 비교구에서 소 혈장 단백질의 첨가수준이 높은 시럼구에서 높았고 열 매체에 의한 영향은 boiled>microwave>fried의 순이 었다. 겔강도와 경도는 대조구와 비교구 사이, 수직 측정과 수평 측정 사이,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05), 전단 강도는 수직측정보다는 수평측정이 높은 수치를 보이고 initial에서 대조구와 비교구 사이 차이가 적게 나타나나 40일 저장한 것에서는 차이 값이 높았다. 전단 경도에 있어서는 initial 에 비해 10일 , 40일 에는 감소함을 보이나 수칙측정과 수평측정간 차이를 보였다 L 값은 시험구간과 저장기간에 의해서도 안정함을 보이며 a값은 대조구에 비해 비교구에서 감소함을 보이나 10일 40일 저장된 것에서 증가함을 보이고, b값은 시험구간 사이 비슷한 수준이나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감소를 보였다. 기호성 평가에서 색상, 풍미, 조직감은 시험 제품 사이에 차이를 보이고 저장기간에 의해서는 약간의 감소를 보이며 천제적인 수용도는 대조구가 가장 높은 점수였다.

  • PDF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viscous substance during the Chungkookjang fermentation (청국장 발효중 점질성 고분자 물질의 생성에 관한 연구)

  • Lee, Yong-Lim;Kim, Sung-Ho;Choung, Nack-Hyun;Yim, Moo-Hyu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35 no.3
    • /
    • pp.202-209
    • /
    • 1992
  • In order to study on the viscous substance produced during Chungkookjang fermentation, one strain which produce a lot of viscous substance was isolated from the rice straw and identified as Bacillus sp; This strain produced the most viscous substance in 48 hours at $42^{\circ}C$, in splite of little change of amino type nitrogen and ammonia type nitrogen when added M.S.G., while the yield of viscous substance and amino type nitrogen was increased but that of ammonia type nitrogen was decreased when added susrose. Molecular weight of viscous substance estimated between 15,000 and 65,000. Viscous substance was confirmed mostly composed of glutamate and fructose by G.C. and HPLC analysis. Composition of viscous substance would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media.

  • PDF

Optimization for the Alcohol Fermentation of Hydrolyzed Vegetable Protein(HVP) Soy Sauce by Saccharomyces Rouxii (Saccharomyces rouxii에 의한 아미노산 간장의 알코올 발효)

  • Choi, Soo-Bok;Kwon, Oh-Sung;Nam, Hee-Sop;Shin, Zae-Ik;Yang, Han-Chul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24 no.4
    • /
    • pp.330-334
    • /
    • 1992
  • In order to improve the flavor quality of a soy sauce, hydrolyzed vegetable protein(HVP), it was subjected to ethanol fermentation by Saccharomyces rouxii and the effect of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alcohol fermentation of S. rouxii in HVP was investigated. The NaCl content of HVP affected significantly on the growth of S. rouxii, showing growth inhibition above the value of 6%(w/v). The growth of S. rouxii was not inhibited by the coloring materials of HVP. The proper initial concentration of glucose for the growth of the yeast was ranged from 15%(w/v) to 25%(w/v). The optimal temperature for the growth and alcohol production was $25^{\circ}C$. The growth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rate of aeration, while alcohol concentration of fermented HVP showed its maximum value of 4.2%(w/v) at the aeration rate of 0.5 vvm.

  • PDF

Chlorella as a Functional Biomaterial (기능성 생물 소재로서의 클로렐라)

  • 채희정;강민숙;심상준
    • KSBB Journal
    • /
    • v.19 no.1
    • /
    • pp.1-11
    • /
    • 2004
  • Chlorella contains a rich source of biochemical products with applications in the feed, food, nutritional, cosmetic, pharmaceutical and even fuels industries. Chlorella is one of unicellular green algae and is mostly grown in fresh water such as pond and lake. It grows in a manner of nonsexual reproduction so that it multiplies 4~16 times overnight. Large-scale culture is conducted by open pond culture or pure culture using fermenter. Chlorella has various efficacies such as heavy metal removal, degradation of toxic materials, control of arteriosclerosis, immunoprotective effects, anticancer activity and growth-stimulating activity of intestinal bacteria. Chlorella can be used as a taste enhancer and foodstuff, as it has a plenty of essential amino acids, polyunsaturated fatty acids, sterols and chlorella growth factor (CGF). Chlorella is a potential organism which can be utilized for CO$_2$ removal and H$_2$ Production in environmental area and energy Production.

전통발효식품의 육성 방안과 세계화 전략

  • Sin, Dong-Hwa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7 no.2
    • /
    • pp.2-2
    • /
    • 2008
  • 발효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해 왔으며 과학 기술발전에 따라 자연 발효에서 관리하는 방법으로 급격히 변하고 있다. 발효는 미생물과 미생물이 생산한 효소의 작용으로 일어나는바 미생물 관리를 통하여 실로 다양한 제품 생산이 가능하고 역할의 범위도 지극히 넓다. 즉 원하는 최종 제품의 종류에 따라 미생물을 선택하거나 발효조건을 관리하여 목적 지향적 완제품 생산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한국인의 식단을 이루는 기본은 각종 발효 제품을 근간으로 하는 조미료이며, 조미료에 따라 맛의 변화가 온다. 발효를 통하여 소화성의 증대, 비타민 등 새로운 미량물질의 생산, 풍미의 개선 혹은 새롭게 창조하거나 저장기간을 연장하기도 하며, 사용하는 원료와는 완전히 다른 신제품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근래의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여러 기능성 물질이 발효를 통하여 생성되며 이들이 인체 내에서 긍정적 역활을 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전통식품 중 발효식품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곡류 중심의 식단에 맛을 부여하여 먹는 즐거움을 주고 전망있는 다른 산업으로 발전 해 나갈 수 있는 특성이 있다. 발효식품은 다양한 원료를 사용 할 수 있고 원료에 따라 많은 서로 다른 제품생산이 가능하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주요 발효식품은 김치를 포함한 절임류, 곡물 또는 과실을 이용한 주류, 어류로 각종 젓갈을 만들 수 있으며 근래 수요가 늘고 있는 요구르트 등도 인기 있는 발효식품이다. 특히 발효식품에 관여하는 미생물들이 probiotic으로 작용하여 장내 미생물의 항산성 유지 및 유해 세균의 증식억제 등 긍정적 역할을 하며 우유 발효균으로 알려진 젖산균류 뿐만 아니라 다른 세균들도 probiotic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으며, 특히 장류에 많이 관여하는 Bacillus 속 들의 긍정적 역할이 속속 알려지고 있다. 또한 발효를 통하여prebiotic도 만들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으로 발효식품의 기능성의 과학적 입증 발효의 과학적 관리, 제품의 다양화와 함께 안전성도 검토할 대상이다. 또한 심도있게 발효 관여 미생물을 탐색, 동동하고 발효기반의 이용확대, 맞춤형 특수 미생물의 탐색과 용도 확인 등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전통식품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발효식품을 세계화하기 위해서는 건강기능성의 과학적 기반 구축과 전문 학술 활동을 통한 홍보, 현지 식품에 맞는 fusion food의 개발도 필요하다. 발효식품을 포함한 전통식품은 경제적 측면과 함께 문화적 가치가 동시에 고려되어야 하고 다문화 추세에 따라 유연성 있게 변화를 수용 할 필요도 있다. 전통 발효식품을 우리 식문화를 세계에 전파시키는 좋은 매체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Changes of acid value of lipid, chlorogenic aci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roasted coffee for short term storage (단기저장 기간 중 커피원두의 지방산가, chlorogenic acid 및 항산화 활성 변화)

  • Lim, Jinkyu;Kim, Min-Yeol;Kim, Sung-Hee;Ma, Jin-Sung;Oh, Jisun;Kim, Jong Sa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60 no.4
    • /
    • pp.383-390
    • /
    • 2017
  • Regarding the facts that fat, which is easily oxidized, is one of the major responsibl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aroma, and polyphenol compounds including chlorogenic acid (CGA) contribute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to coffee, we investigated fat oxidation, conversion of CGA, and changes of anti-oxidative activiti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roasting and storage of 60 days. We found that the amount of extractable fat by diethyl ether is increased as the coffee beans are roasted longer. Furthermore, the acidity values of the fat are increased from $8.91{\pm}0.16$ to $17.81{\pm}0.11$, and $10.37{\pm}0.27$ to $17.93{\pm}0.09$ in the medium and dark roasted coffee beans, respectively, while it is increased from $4.47{\pm}0.11$ to $11.89{\pm}0.18$ in the green coffee bean after 60 days. The CGA contents in the coffee beans were decreased from $310{\pm}8.2$ to $282{\pm}11.2$, then to $58{\pm}0.0mg$ in 10 gr of the green, medium and dark beans, respectively, and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during the storage period. However,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measured by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scavenging assay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green, medium, and dark coffee beans during the storage period. Furthermore, antioxidant reactive element-luciferase assay showed that biological anti-oxidative activities were increased as coffee beans were more roasted and stored longer. As the total polyphenolic contents in the bean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roasting, the results suggests that other molecules, such as, Maillard reaction products might play substantial role in anti-oxidative activity and influence cup quality of coffee.

Comparison of Free Amino Acids and Nucleotides Content in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ed with Extruded Pellet (건조 배합사료로 사육한 넙치 어육의 유리아미노산 및 핵산 관련 성분의 비교)

  • Jang, Mi-Soon;Park, Hee-Yeon;Kim, Kang-Woong;Kim, Kyoung-Duck;Son, Maeng-Hyun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8 no.5
    • /
    • pp.746-754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the taste components of dorsal muscle and fin muscle collected from olive flounder cultured with extruded pellet (EP) compared with those of olive flounder cultured with raw fish moist pellet (MP) as a control. The olive flounder in this study were cultured for 10 months with either the formulated extrude pellets (FEP), commercial extruded pellets (CEP) or the MP feed, and the average weight was 1.15 kg. The major nucleotides and related compounds in the dorsal muscles of the fish fed with MP, CEP and FEP diets were AMP and IMP. The fin muscle of the olive flounder contained the largest amounts of IMP($5.91{\mu}mol/g$). The K value of the dorsal muscle in olive flounder fed with MP, CEP and FEP showed 9.63%, 9.83% and 5.84%, respectively. The free amino acids in the dorsal muscle of olive flounder showed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depending on the feed, but the distribution of free amino acids showed similar patterns. Among free amino acids, taurine showed the highest content in all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asparagine and citrulline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s fed with CEP and FEP than in the group fed with MP. Th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ontents of specific free amino acids in dorsal muscle and fin flesh depending on the feed for cultured olive flounder.

조미산업

  • 임재각
    • Food Industry
    • /
    • s.181
    • /
    • pp.68-91
    • /
    • 2004
  • 조미료란 식품을 조리, 가공, 섭취할 때 맛을 증진시키거나 강화시킬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일컫는다. 발효, 종합 및 천연계 조미료의 국내외 시장동향에 대해 살펴보고, 조미료의 향후 발전방향과 중점 연구 분야, 관련업계의 연구개발 동향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조미료 분야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육성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미원, 아이미 등으로 대표되는 발효조미료의 내수시장은 성숙기를 거쳐 소폭 감소세를 보이는 쇠퇴기에 접어들고 있다. 이는 소비자의 MSG에 대한 기피현상이 주 원인으로 판단된다. 전반적으로 품질 차별화 없이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종합조미료 시장은 1975년 국내에 처음으로 CJ에서 다시다 제품을 출시한 후 대상에서 1982년 맛나, 1988년 감치미를 출시하면서 30여 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다. 현재 시장규모는 2천억원에 이르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성장세가 완만해지고 있고 가정용은 거의 정체되어 있다. 일본 조미료 시장은 발효조미료, 종합조미료 그리고 다양한 조미식품의 소재로 활용되는 천연조미료로 구분할 수 있다. 발효조미료 시장은 국내와 비슷한 상황으로 전체적인 물량변화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며 생산기지의 해외이전 현상이 뚜렷하다. 종합조미료 시장은 한국과 유사한 풍미조미료 외에도 보다 전문화되고 다양한 형태의 조미료가 시판되고 있으며, 전통적인 풍미조미료는 정체현상을 보이고 건강지향, 전용화 조미료가 호조를 보이고 있다. 일본과 한국의 조미료 발전 단계는 조금 차이를 보이고 있다. 현재 한국은 종합조미료 시대에서 용도별 조미료 시대로 넘어가는 단계에 있는 반면, 일본은 이미 메뉴 전용 조미료시대에 접어들었고, 건강, 기능성을 강조하는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 이들 변화는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그로 인한 보다 천연에 가까운 조미소재에 대한 수요, 동시에 맛에 대한 충족까지 요구하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필연적 결과로 보인다. 미래의 조미료는 천연계 소재의 사용량이 증가할 것이고, 소비자의 건강, 안전 추구심리에 부흥하여 안전성과 기능성을 부여하는 소재에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전반적인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제품의 고급화와 전용화도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조미료시장을 주도할 각 현상에 대해 좀더 자세히 알아보고 학계 및 업체의 최근 연구동향과 제품개발 현황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기술연구 동향을 보면, 나노 기술에 의한 조미신소재연구, 초미분쇄기술, 미세 캡슐화 기술, 생물공학 기술이 활용된 발효 및 효소분해에 의한 펩타이드계 조미소재 개발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선진업체 연구 및 제품개발 동향은 아지노모트/교와의 ''코쿠미''계 조미소재 연구개발, 일연푸드/동해물산의 천연 엑기스계 조미소재 연구개발, 보조주(주)의 주류 조미료 개발 위주로 살펴보았다. 조미료 시장의 발전 과정과 선진 업체들의 연구, 개발동향을 종합해 보면 첫째는 천연 건강지향에 부응하는 차별화된 소재 및 기능성 소재 개발이고 둘째는 맛과 편리함의 추구에 대응하는 메뉴 전용화 추세이다. 이를 위한 기술적 연구도 기능성 소재(히스티딘 함유 디펩타이드)개발, 나노기술, 미세캡슐화 기술 등을 통하여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조미료 산업을 첨단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R&D 투자확대와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각 기업단위에서는 장기적 차원에서 첨단식품 기반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거나, 전문 중소기업, 벤처를 육성하는데 지원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은 당장의 수익과 회사간 경쟁으로 인해 장기적 투자, 사회적 인프라 육성 등에는 관심을 쏟지 않고 있다. 조미료를 비롯한 식품에 관련된 기술들이 다양한 기초연구와 응용기술, 개발연구 등의 총합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 상이한 연구 분야간의 연계를 강화하고 개발된 기술의 이전, 확산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업간 수평적 네트워크 외에도 국가기관이 참여하는 연구 자원의 효율적 집행 기관이 필요하리라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