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풍력 터빈 시스템

Search Result 14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CCT Analysis of Power System Connected to DFIG Wind Turbine (DFIG 풍력터빈이 연계된 전력계통의 CCT 영향분석)

  • Seo, Gyu-Seok;Park, Ji-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5
    • /
    • pp.2388-2392
    • /
    • 2013
  • Wind generation systems are very different in nature from conventional generation syst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dynamic characteristics of wind generation systems connected to a power system. The stability analysis of wind turbine generator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operation of the power system. The result of angular stability of the power system that consists of only synchronous generator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power system including wind turbine generators.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generators connected to wind turbines are generally induction generators. The angular stability assessing synchronization of generators is determined by its corresponding critical clearing time(CCT). Wind turbine models for the analysis of power system are varied and difficult to use, but now these are standardized into four types. In this paper, the analysis of the CCT of the power system connected to wind farm considering the location and capacity is performed by using DFIG(Doubly-Fed induction Generator) wind turbine built-in type3 model in PSS/E-32.

건물일체형풍력시스템을 위한 윈드가이드의 성능평가

  • Kim, Yong-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289-291
    • /
    • 2013
  • 건물일체형풍력시스템에서는 윈드가이드를 비롯한 주면 형상이 풍력터빈 주변의 풍속 등과 같은 유동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에서는 sech 함수를 이용한 새로운 충돌위험도 평가법에서 피항구역의 문턱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분석하고 실제 상황에 적용 가능한 식을 개발하였다.

  • PDF

Simulator Development and Performance Analysis of Wind Power System Interconnected with Induction Generator (농형유도발전기로 연계된 풍력발전시스템의 시뮬레이터 개발)

  • Lee, Dong-Geun;Lee, Doo-Young;Han, Byung-Moon;Ko, Jong-Sun;Choi, Nam-Sub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4c
    • /
    • pp.173-17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풍속이 가변하는 상황에서 풍력 발전 시스템의 동작을 모의 할 수 있는 풍력 터빈 시뮬레이터를 설계 구현하였다. 실제 풍속과 회전 속도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으며, 토크 계산에 필요한 블레이드의 효율을 주속비에 관한 함수로 처리하여 사용함으로써 복잡한 조작 없이 가변 풍속조건에서 블레이드에 의한 토크입력을 모의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풍력터빈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농형 유도발전기식 풍력발전시스템을 구성하여 계통에 연계하였을 경우 발생되는 무효전력을 보상하기 위해 펄스 다중화 보조브리지회로를 이용한 새로운 구조의 36-펄스 전압원 컨버터방식의 실시간 무효전력보상기(STATCOM)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동작특성을 분석하고 제어시스템의 성능해석을 위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EMTDC/PSCAD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으며, 축소모형 하드웨어 실험을 통해 실험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various neural network models applied to wind turbine condition diagnosis (풍력터빈 상태진단에 적용된 다양한 신경망 모델의 유효성 비교)

  • Manh-Tuan Ngo;Changhyun Kim;Minh-Chau Dinh;Minwon Par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8 no.5
    • /
    • pp.77-87
    • /
    • 2023
  • Wind turbines playing a critical role in renewable energy generation, accurately assessing their operational status is crucial for maximizing energy production and minimizing downtime.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different neural network models for wind turbine condition diagnosis, evaluating their effectiveness using a dataset containing sensor measurements and historical turbine data. The study utilized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data, collected from 2 MW doubly-fed induction generator-based wind turbine system (Model HQ2000), for the analysis. Various neural network models such as artificial neural network, long short-term memory, and recurrent neural network were built, considering factors like activation function and hidden layers. Symmetric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were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s. Based on the evaluation, conclusions were drawn regarding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he neural network models for wind turbine condition diagnosis. The research results guide model selection for wind turbine condition diagnosis, contributing to improved reliability and efficiency through advanced neural network-based techniques and identify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further advancements.

Integrated Wind Turbine System Simulation Software based on MATLAB/Simulink (풍력발전시스템 시뮬레이션을 위한 MATLAB/Simulink 기반 라이브러리 개발)

  • Lee, Kooksun;Lee, Hyoungmin;Back, Juhoon;Song,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07a
    • /
    • pp.245-24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풍력 발전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MATLAB/Simulink 기반의 소프트웨어를 개발 하였다. 풍력 발전 시스템을 6가지의 주요 요소 (바람, 기계 요소, 전기 기기, 제어, 전력 변환기, 기타 요소)로 분류 하여 라이브러리를 개발하였고 각각의 모델들은 해당하는 대수방정식 혹은 미분방정식으로 표현하여 구현하였다. 최근 대형화 되고 있는 풍력 터빈의 추이를 고려하여 대형의 풍력 터빈에서 사용되는 개별 피치 제어 모델을 선형화 하여 구현하였다. 또한, 상태 변수가 많은 전기기기 모델들은 미리 컴파일 된 형태의 모델을 추가함으로써 빠른 속도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

  • PDF

A Study on Design of Wind Blade with Rated Capacity of 50kW (50kW 풍력블레이드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Sang-Man;Moon, Chae-Joo;Jung, Gweon-S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6 no.3
    • /
    • pp.485-492
    • /
    • 2021
  • The wind turbines with a rated capacity of 50kW or less are generally considered as small class. Small wind turbines are an attractive alternative for off-grid power system and electric home appliances, both as stand-alone application and in combination with other energy technologies such as energy storage system, photovoltaic, small hydro or diesel engines. The research objective is to develop the 50kW scale wind turbine blades in ways that resemble as closely as possible with the construction and methods of utility scale turbine blade manufacturing. The mold process based on wooden form is employed to create a hollow, multi-piece, lightweight design using carbon fiber and fiberglass with an epoxy based resin. A hand layup prototyping method is developed using high density foam molds that allows short cycle time between design iterations of aerodynamic platforms. A production process of five blades is manufactured and key components of the blade are tested by IEC 61400-23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design. Also, wind system with developed blades is tested by IEC 61400-12 to verify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blade and turbine system test showed the available design conditions for commercial operation.

Wind turbine simulator using direct torque control of induction motor (유도 전동기의 직접 토크 제어에 의한 풍력 발전 시스템 시뮬레이터)

  • Ahn, Minho;Lee, Kyungkyu;Chio, Jae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449-450
    • /
    • 2014
  • 풍력 발전 시스템은 풍력 터빈이 바람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발전이 된다. 실험실에서 풍력 발전 시스템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바람이 하는 역할을 별도의 모터를 사용하여 회전시켜 주어야 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유도전동기의 직접 토크 제어를 이용하여 풍속 데이터를 가지고 상응하는 토크의 지령치로 환산하여 풍력 에너지를 모델링 하였다. 이렇게 발전된 에너지를 최대의 효율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MPPT기능이 수행되어야 하며 별도의 센서가 필요없는 Fuzzy MPPT를 수행하였다.

  • PDF

동해안지역에 적합한 풍력발전시스템에 관한 조사

  • 오철수;강창수;권순홍
    • 전기의세계
    • /
    • v.41 no.10
    • /
    • pp.3-9
    • /
    • 1992
  • 동해안의 6개 예정입지 지점의 다년간 기상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3개지점 정도의 유수한 후보지를 발견하였다. 특히 장기갑의 평균풍속은 제주도 월항지역 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이 지역에 설치할 수 있는 풍력터빈의 형식으로 수직축 Darrieus Type을 검토한 결과 무리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수직축 터빈은 풍속 6m/s이상이면 정격의 발전모드에 진입하니, 3개 지역의 분석결과 년4000시간 이상의 발전은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단위 풍력발전 용량은 향후 상세설계가 뒤따라야 하겠지만, 대략 150-200KW로 산정되며 년간 단위 기계에서 600-800Mwh의 전력을 얻을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 PDF

Numerical Optimization of Foundation place for Domestic Offshore Wind Turbine by using Statistical Models for Wind Data Analysis (기상풍황자료 통계적 분석을 통한 한국형 해상풍력터빈 설치지점 선정 최적화 연구)

  • Lee, Ki-Hak;Jun, Sang-Ook;Ku, Yo-Cheon;Pak, Kyung-Hyun;Lee, Dong-H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404-408
    • /
    • 2007
  • 현재 국내에서 운용중인 풍력발전시스템은 국내 풍력자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의 부재와 국내 풍황에 맞지 않는 국외 모델을 그대로 운용하는 등의 몇 가지 문제를 드러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연안의 해상에서 한국형 해상풍력터빈을 설치하기 위한 잠재적 최적위치와 풍황자료 산출 최적화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것이다. 최적화 알고리즘은 얕은 수심 분포와 연안에서의 거리를 제약조건으로 하고 최대 에너지밀도를 가진 지점을 구하는 것으로 정식화하였다. 풍황자료 산출을 위해서 국내 연안의 해상 풍황자료를 포함하는 기상풍황자료를 통계적 모델로 분석하여 바람지도를 작성하였다. 이 바람지도를 이용하여 지질 통계학 분야의 관측기법인 크리깅 모델을 구성하고, 전역최적화기법인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최대에너지밀도값과 그 위치를 도출하였다. 수치최적화 결과 우리나라 풍력 자원의 대략적인 잠재량과 현황파악이 가능하였고, 해상풍력발전단지가 조성 가능한 개략적인 위치를 예측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f Annual System Operating Characteristics at Hangwon Wind Farm on Jeju Island (제주 행원 풍력발전단지의 연도별 시스템 운전특성 분석)

  • Ko, Kyung-Nam;Kang, Mun-Jong;Huh, Jo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8 no.2
    • /
    • pp.42-49
    • /
    • 2008
  • 제주 행원 풍력발전단지 내의 풍력발전시스템을 대상으로 연도별 풍력발전시스템의 운전특성과 고장원인이 분석되었다. 이용된 데이터는 2005년과 2006년 4월에서 9월 사이의 기상데이터와 풍력발전기의 운전데이터이다. 그 결과, 풍력자원은 해에 따라 변동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풍력발전기의 발전량 역시 해에 따라 변동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풍력발전기의 고장 또는 정지로 인하여 발전량이 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후류로 인한 발전량 손실도 추정할 수 있었다. 같은 해에 풍력발전기 1, 2호기를 운전 개시하였지만, 고장 또는 정지원인은 일관성이 없이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시스템이 가장 많은 시간동안 정지한 원인은 기어박스와 요잉장치의 고장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