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풍력자원 분석

Search Result 132,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Precise Investigation on Domestic Wind Resources and Research on the Enhancement for the Windfarm Development Technology in KOREA (풍력자원 정밀조사 및 풍력단지 개발 기술 증진연구)

  • Kim, Geon-Hu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505-518
    • /
    • 2005
  • 풍력발전기술은 전적으로 바람의 세기에 의존하는 신재생에너지원으로서 바람의 강도가 발전전력의 양과 풍력시스템의 효용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사업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풍력자원의 조사는 풍력발전기술의 적용에 앞서 최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함이 본 연구사업의 중요성이라 할 수 있다. 풍력자원에 대한 실측자료로서 풍력자원 특성의 분석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풍력발전기의 용량 및 수량과 적용방안 및 최종적으로 정량적인 의미에서의 경제성 분석도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차의 본격적인 풍력발전기술의 적용에 앞서 기존 기상청의 풍력자료와 일정한 기준에 의하여 선정된 후보지점을 중심으로 도상검토 및 실사를 통해 1차년도에 9군데, 2차년도에 6군데 총 15개 지점에 대한 실측지점을 선정하여 실측기기의 설치와 풍력자료의 분석으로서 정밀한 풍력자원의 특성을 분석하고 향후 본격적인 풍력발전 단지 건설 사업추진에 대비하고자 수행된 연구사업이며, 아울러 개괄적인 국내 풍력자원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광역 풍력자원 분포도를 개발하였다.

  • PDF

Analysis of Wind resource over the North Korea using a WRF model (WRF을 이용한 북한 지역의 풍력-기상자원 분석)

  • Seo, Beom-Keun;Byon, Jae-Young;Choi, Young-Jean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88.2-188.2
    • /
    • 2010
  • 북한은 자급자족의 형태로 지하자원과 수력을 이용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수입연료를 자제하는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의 발전 설비들의 노후화와 지하자원의 확보의 어려움이 증가 되어 신재생에너지의 개발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남북의 기술교류 확대 및 미래 에너지 자원의 확보를 위하여 북한 자원자원에 대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북한지역의 관측값을 활용하거나 저해상도의 바람지도들이 작성되었다. 북한 지역의 바람의 분포를 세밀히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의 바람지도 보다 상세한 풍력-기상자원지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북한의 풍력-기상자원지도를 개발하기 위해 미국 NCAR에서 개발한 중규모 모형인 WRF(Weather Research & Forcasting)을 활용하였다. 좋은 풍력자원을 갖춘 장소에 풍력 단지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고해상도의 기상자원지도를 이용해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해상도를 1km으로 설정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지상 80 m에서의 1km 해상도를 갖는 풍력-기상자원지도를 작성하였다. 개발된 풍력-기상자원지도의 검증을 위해서 우리나라에서 확보가 가능한 북한 27개 지점의 지상 10 m 바람자료들을 활용하였다. 풍속에 대한 검증은 Bias와 RMSE을 이용하였으며, 풍향의 검증은 MAE을 활용하였다. 연 평균의 북한의 풍력-기상자원지도를 보면, 북한의 산맥을 중심으로 다른 지역보다 높은 풍속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황해도를 포함한 북한의 서해안지역에서 비교적 높은 풍속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계절별로 살펴보면 봄철과 겨울철에 여름과 가을철보다 높은 풍력자원이 나타나며, 여름철이 가장 낮은 풍력자원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regarding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wind characteristics and a analysis of the economical efficiency for wind turbine system (풍황 조사 및 분석 방법의 고찰과 풍력발전시스템의 경제성 분석)

  • Kim, Sung-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3.07a
    • /
    • pp.371-374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200kw급 풍력발전 시스템의 설치 지역으로 고려 중인 제주도 봉개동 지역의 풍황을 계측장비를 이용하여 7개월에 걸쳐 조사하였다. 측정된 자료들과 자체 제작 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설치 예상 지역의 연간 예상 발전량 및 이용률 등과 같은 풍력자원을 분석하였다. 또한, 풍력자원 분석결과를 토대로 시스템의 설치 당위성 및 타당성의 판단기준의 하나인 발전단가 및 투자회수기간을 구하는 경제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Feasibility study on installing wind turbine system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wind characteristic (풍황조사 분석 결과에 의한 풍력발전 시스템 설치 타당성 분석)

  • Kim, Sung-Ju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7.11a
    • /
    • pp.199-201
    • /
    • 2007
  • 국내 발전 단지내 부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계측설비를 설치하여 풍속, 풍향, 밀도 등의 원시자료를 확보하고, 풍력자원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된 풍력자원과 기본 입지자료, 관련여건 등을 고려하여 풍력발전 시스템 건설에 지표가 될 수 있는 경제성 및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Analysis of Annual System Operating Characteristics at Hangwon Wind Farm on Jeju Island (제주 행원 풍력발전단지의 연도별 시스템 운전특성 분석)

  • Ko, Kyung-Nam;Kang, Mun-Jong;Huh, Jo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 /
    • v.28 no.2
    • /
    • pp.42-49
    • /
    • 2008
  • 제주 행원 풍력발전단지 내의 풍력발전시스템을 대상으로 연도별 풍력발전시스템의 운전특성과 고장원인이 분석되었다. 이용된 데이터는 2005년과 2006년 4월에서 9월 사이의 기상데이터와 풍력발전기의 운전데이터이다. 그 결과, 풍력자원은 해에 따라 변동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풍력발전기의 발전량 역시 해에 따라 변동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풍력발전기의 고장 또는 정지로 인하여 발전량이 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후류로 인한 발전량 손실도 추정할 수 있었다. 같은 해에 풍력발전기 1, 2호기를 운전 개시하였지만, 고장 또는 정지원인은 일관성이 없이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시스템이 가장 많은 시간동안 정지한 원인은 기어박스와 요잉장치의 고장으로 분석되었다.

Cooperation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rough wind resource investigation and academic events (북한의 풍력자원 및 학술행사를 통한 협력 방안)

  • Kim, hong-woo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62.2-62.2
    • /
    • 2021
  • 남,북한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신재생에너지 분야 중 풍력자원은 지역마다 많은 편차를 가지고 있으나, 2007년에 북한지역의 풍력자원을 분석한 결과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 지역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북한은 과거에도 그렇고 현재에도 전력난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북한의 국가과학원, 김일성종합대학, 김책공대 등에서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전력난 해소를 위하여 다양한 기술개발을 하고 있다. 따라서, 성공한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활용한 태양광 풍력 등을 설치하여 주택이나 공업지역 등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자본과 기술개발의 한계로 인하여 부품조달 등 공급의 한계성을 가지고 있는 실정에 있다. 최근 남북 학술교류를 통하여 북한의 신재생에너지 개발 현황 및 한계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남한이 가지고 있는 기술력과 북한의 인력을 활용하여 공동개발 및 보급을 촉진할 수 있으리라 사례되며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wind resource analysis using DSP-f28335 (DSP-f28335를 이용한 풍력자원 분석장치 개발)

  • Youn, Young-Chan;Moon, Chae-Joo;Kim, Tea-Gon;Jeong, Moon Seon;Park, Ji-Ye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11a
    • /
    • pp.309-310
    • /
    • 2011
  • 풍력 발전 시스템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사전에 타당성 조사가 반듯이 이루어져야 한다. 풍력자원 분석은 발전기 종별 발전량을 예측하여 효율적인 발전기(안전등급포함)를 선택할 수 있으며, 향후 발전기를 설치할 경우 선정지점의 지지 기반 및 기초공법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12비트 분해 능력을 가지고 있는 DSP-f28335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사용하여 IEC61400-1 국제기준에 준수하여 풍향, 풍속, 온도를 측정하고 저장이 가능한 풍력자원 분석장치를 개발하였다.

  • PDF

Production of Future Wind Resource Map under Climate Change over Korea (기후변화를 고려한 한반도 미래 풍력자원 지도 생산)

  • Kim, Jin Young;Kim, Do Y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5 no.1
    • /
    • pp.3-8
    • /
    • 2017
  • In this study future wind resource maps have been produced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 using ensemble regional climate model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WRF) for the period from 2045 to 2054(mid 21st century). Then various spatiotemporal analysis has been conducted in terms of monthly and diurnal. As a result, monthly variation(monsoon circulation) was larger than diurnal variation(land-sea circulation) throughout the South Korea. Strong wind area with high wind power energy was varied on months and regions. During whole years, strong wind with high wind resource was pronounced at cold(warm) months in particular Gangwon mountainous and coastal areas(southwestern coastal area) driven by strong northwesterly(southwesterly). Projected strong and weak wind were presented in January and September, respectively. Diurnal variation were large over inland and mountainous area while coastal area were small. This new monthly and diurnal variation would be useful to high resource area analysis and long-term operation of wind power according to wind variability in future.

Feasibility Study for the Construction of Wind Farm (풍황 및 계통여건을 고려한 강원지역 풍력실증단지 적정입지 분석)

  • Lee, Jung-Eun;Cheong, Jong-Chan;Kee, Woo-Bong;Kim, Hyun-Han;Lee, Kue-Sam;Kim, Kwang-Ho;Jang,, Gil-Soo;Kang, Sang-H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768-769
    • /
    • 2007
  • 국내의 풍력자원과 계통자원을 함께 고려해 강원도 풍력발전단지의 최적입지 타당성을 검증. 국내의 풍황 자료를 조사하고 우수한 지역 5곳을 선정한 후, WASP 프로그램을 이용해 최대 에너지 생산 가능한 지역에 풍력발전기의 배치를 결정하였다.

  • PDF

Characteristics Analysis of Domestic Wind Energy Resources (국내의 풍력자원 특성 분석)

  • Park, Kyung-Ho;Kim, Keon-Hoon;Chung, Hun-Saeng
    • Solar Energy
    • /
    • v.10 no.2
    • /
    • pp.3-9
    • /
    • 1990
  • The recent technology of Wind Energy Conversion System(WECS) in the world is well-developed and the feasibility of WECS is better than the past time. So, it is necessary to re-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ind energy in this country. This paper deals with the analysis of wind energy distribution in Korean Peninsula, Cheju and Ullung island. The assessment was performed based on the raw data collected 64 meteorological stations for the last 10 years. The wind energ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hourly, monthly, seasonally and annually. The Weibull distribution was assumed and two parameters in all areas were calculated and the wind energy potential distribution in Korea was obtain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