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품질 관리

검색결과 5,760건 처리시간 0.044초

지적정보 품질 수준의 향상 방안 (Plans for Cadastral Information Quality Improvement)

  • 홍성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185-19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행 지적정보의 생성 및 품질 관리 방법의 검토를 통해 지적정보의 품질이 어떻게,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관리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초로 지적정보의 품질 수준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성과는 다음과 같다. 지적정보의 품질 관리의 방법과 수준을 검토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한 결과, 현행 지적정보의 품질 관리는 도형과 속성정보를 포괄하는 품질 관리가 아닌 주로 위치정확도 부분에 국한되어 품질이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간정보 분야 품질 관리에 관한 국제표준(ISO 19113)기구에서 권고하고 있는 품질 측정 요소의 반영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연구에서는 국제수준의 품질관리 방안, 품질 검사 공정의 도입 방안, 독립된 품질 검사 조직의 창설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지역보건의료정보시스템 데이터 품질 관리를 위한 업무규칙 관리시스템 구현 (Development of Business Rule Management System for Data Quality Management of Local Health Care Information System)

  • 박상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59-762
    • /
    • 2014
  • 정보시스템은 변화한다. 업무 담당자도 변경된다.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데이터 품질을 유지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공공 혹은 민간, 국내 혹은 국외에서 데이터 품질 관리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데이터 품질 관리 항목 중 하나인 업무규칙 관리시스템을 구현하여 신뢰성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해보고자 한다. 도출 및 분류, 진단 수행 이력 관리가 가능하도록 시스템 분석, 설계, 구현하였다. 업무규칙 관리를 위해서 선결사항인 표준단어관리, 표준도메인 관리, 워크플로우 관리 기능을 구현하였다. 이로 인해 데이터품질관리 체계 수립을 중심으로 믿을 수 있는 데이터를 도출하여 국민 건강을 위하여 의미 있는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방사선치료에서의 품질보증을 위한 통계적공정관리의 활용 (Use of Statistical Process Control for Quality Assurance in Radiation Therapy)

  • 정광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6권2호
    • /
    • pp.59-71
    • /
    • 2015
  • 품질보증의 목적은 공정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계통적인 오류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통계적공정관리는 2005년 이후 방사선치료분야에서도 이용되기 시작하였으며 품질보증의 패러다임을 바꾸어가고 있다. 통계적공정관리의 목적은 공정의 안정성을 관리한계 내에서 유지하며 변동의 양상도 감시하기 위한 것이다. 통계적공정관리는 방사선치료 품질보증 전 분야에 적용 가능하지만, 이를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통계적공정관리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적공정관리의 개념을 설명하고 방사선치료분야에서 이를 활용한 연구들을 소개하였다.

한국의 방사선치료 기기 품질관리 현황에 관한 설문 결과 (The Results of the Survey about Present Situation of Quality Assurance for Radiotherapy Machine of Korea)

  • 정성훈;윤명근;이현호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6권3호
    • /
    • pp.185-191
    • /
    • 2015
  • 방사선치료는 수술, 항암치료와 함께 암의 3대 치료방법으로 많은 암환자들이 방사선치료를 받게 된다. 방사선은 눈에 보이지 않아 방사선 치료기계에서 나가는 방사선의 질과 양을 확인하기 쉽지 않고 산란되는 특성 때문에 다른 장기에 2차암이 유도할 수 있고 최근 치료기술의 발달로 치료 방사선에 대한 보다 정밀한 검증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방사선 치료기기에 대한 품질관리를 철저히 해야만 한다. 국제원자력기구, 미국의학물리학회 등 해외에서는 보고서들을 제시하여 각 지역적인 차원에서 방사선 치료기기의 품질관리에 대한 권고를 제시한다. 하지만 국내는 외국에 비해 규모가 작아 각 병원에서 국외의 권고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국내 병원을 대상으로만 한 방사선치료의 품질관리 권고가 존재하지 않지만 국외의 권고들이 갱신되고 있으며 향후 국내 품질관리 권고를 제작하기 위해 국내 품질관리의 현황 역시 조사 및 갱신 될 필요성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치료기에 대한 품질관리 설문지를 제작하여 국내 품질관리 경향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초본으로 제작된 설문지를 국내 5개 기관의 의학물리학자에게 배포하여 설문지의 부족한 점을 파악하고 보충하여 최종 설문지를 제작한 후 이를 전국 72개 병원의 방사선 종양학과에 배포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72개 병원 중 37개 병원에서 요청에 응답해주었으며 이들 중 97.3%의 병원이 선형가속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40.54%, 18.92%, 24.32%의 병원이 각각 근접치료장치, 토모치료장치, 방사선수술장치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품질관리 인력 및 장치, 국내의 환자 품질관리 현황, 각 치료기별 품질관리 현황에 대한 설문이 실시되었으며 이 결과는 향후 표준 품질관리 절차서가 제작될 경우 사용되기에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사회서비스 품질관리제도 구성요소와 국가비교 -이용자 중심성, 제도 실효성, 운영 안정성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n the national quality regulation schemes of social services and implications to Korea - focusing on user centeredness, regulatory enforcement and system stability -)

  • 황인매;이동석;김용득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2호
    • /
    • pp.203-232
    • /
    • 2014
  • 본 연구는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서비스 품질관리 제도는 어떤 요소로 구성되며, 이들 구성요소들을 기준으로 연구대상 국가들에서는 어떤 특징들이 포착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토대로 국가 간 비교의 기준이 되는 핵심 구성요소들을 설정하고, 이 기준을 중심으로 서구에서는 영국과 미국을,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와 일본을 분석대상국가로 하여 비교하였다.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품질과 품질관리의 개념과 동향을 검토한 결과 이용자 중심성, 제도 실효성, 운영 안정성을 품질관리제도의 핵심 구성요소로 설정할 수 있었다. 이용자 중심성은 품질관리 과정에서 이용자에게 품질정보가 공개되는 정도와 품질측정기준에서 이용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제도 실효성은 품질평가 결과가 기관의 재정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와 기관을 퇴출시킬 수 있는 있는가에 대한 영향력의 정도로 개념화 되었다. 운영 안정성은 품질관리 기구의 전담성과 품질지표가 전국적인 공통의 기준을 갖고 있는가의 정도로 설정되었다. 분석대상 국가들에서는 공통적으로 품질관리 제도에서 이용자 중심성을 강조하면서, 품질정보를 이용자에게 적극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품질지표에서도 이용자 참여 부분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실효성의 측면에서는 매우 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나라도 있지만, 자율적으로 품질향상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경우도 있었다. 운영 안정성에서는 연구대상 국가들은 공통적으로 전국공통의 품질기준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품질관리 전담기구를 독립적으로 운영하는 경우와 민간에 위탁하여 운영하는 경우 등으로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그리고 우리나라 품질관리제도에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를 설명하였다.

데이터 관리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데이터 품질 개선 사례 연구: (주) 코이드 사례 (A Case Study on Enhancing Data Quality Through Improvement of Data Management Process: koid Corp)

  • 허희정;김종우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IT서비스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5-350
    • /
    • 2007
  • 최근 기업의 각 업무가 정보화 되면서 부문별, 업무별 정보시스템의 데이터 간에 심각한 중복성과 불일치성의 문제가 대두되면서 데이터 품질관리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실제로 데이터 표준 관리와 데이터 요구사항 관리를 통매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를 개선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데이터 품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타 기업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또한, 개선된 데이터 품질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다차원적인 평가로서 데이터 품질, 생산성, 고객만족도, 조직 및 문화의 측면에서 정성 적이고 정량적인 지표를 통한 개선효과를 살펴보고 평가함으로써 제안된 프로세스에 의해 품질수준이 향상되었음을 검증하였고 평가 분석을 통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PDF

수문자료 자동점검기준의 보정 자동화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ed Calibration Algorithm for Reference Values of Hydrological Data Quality Management)

  • 박희성;조혜린;김형섭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506-506
    • /
    • 2015
  • 수문자료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자료로서 이에 대한 품질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우리나라 국토교통부에서는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수문자료의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문자료 자동점검기준은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수문자료의 상태를 구분하기 위한 점검방법에서 설정한 기준 값을 말하며, 특히 수문자료의 오류 추출을 자동화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값이다. 해당 값은 점검 방법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갖고 있으며, 관측소의 관측특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실무에서는 기존 관측자료의 통계적인 특성을 이용해 초기값을 추정하고 이후 관측자료들에 대한 실제 품질 판정을 기준으로 실제 상황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관리자가 수작업에 의해 시행착오법으로 보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문자료 자동점검기준을 대상으로 기존에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자동점검기준의 보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평가지표와 평가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실제 자료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그림1과 같은 추정 이상치 집합과 실제 이상치 집합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두 집합의 교집합인 A를 증가시키는 구조이다. 이를 이용해 자동점검기준의 적중률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향후 실무에 적용될 경우 수문자료 자동점검기준을 신속하고 적절하게 보정함으로써 수문자료 품질관리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건설공사 품질관리자의 인건비 및 배치규모 개선 (Improvement of Personnel Cost and Placement Scale of Quality Manager for Construction)

  • 이창효;김병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2호
    • /
    • pp.327-335
    • /
    • 2018
  • 건설공사의 품질관리비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 규정에 따라야 하며 세부적으로는 품질시험비와 품질관리활동비 등 여러 항목의 비용 산출이 요구된다. 품질관리비 중에서 인건비는 건설공사 품질관리 업무지침의 품질시험비 산출단위량을, 인건비의 노임단가의 적용은 대한건설협회 및 한국엔지니어링협회가 조사 공표하는 노임단가를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 법 규정에서 품질관리자와 품질시험자의 인건비 적용기준이 서로 모호하게 규정되었으며, 건설공사의 품질관리비 산정 및 인건비 적용 등에 혼란을 유발 하였다. 또한 품질관리자의 배치기준에 대하여 공사규모에 따라 규정하고 있으나 품질시험자의 배치기준에 대한 규정은 없으며, 건설현장에서는 품질관리자 외 품질시험자의 배치인력이 없거나 매우 적은 인력을 배치하는 등 소극적인 행태로 인하여 품질시험자가 실시해야 할 품질시험 업무를 품질관리자가 실시하고 있어 과중한 업무로 인하여 품질관리 활동의 저조와 품질확보가 어려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의 품질확보 및 부실공사 방지를 위하여 품질관리비의 인건비 산정과 품질관리자 및 품질시험자의 배치기준을 다음과 같이 정립하고 제시한다. 관련 법 규정에서 모호하게 규정하고 있는 배치기준을 품질관리자와 품질시험자로 구분하여 공사규모에 따라 배치하도록 규정하고, 한국엔지니어링협회의 노임단가를 기준으로 하여 품질관리자 및 품질시험자의 인건비를 각각 기술자(기술사, 특급, 고급, 중급, 초급) 및 숙련기술자(고급, 중급, 초급)의 노임단가를 적용하도록 제시한다.

건설공사 실태분석을 통한 품질 및 조직관리 개선방안 (The Improvement Plan of Quality and Organization Management through the Survey of Actual Condition in Construction Work)

  • 최병주;최석우;김옥규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3-218
    • /
    • 2007
  • 최근 FTA체결 등 세계건설 시장의 개방으로 인한 국내외적인 주변 건설환경의 급속한 변화속에서 국제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건설업체의 품질향상을 위한 품질 및 조직관리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실태분석을 통하여 개선방안을 마련, 양질의 건축물을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고객만족을 이룩할 수 있는 품질 및 조직관리 측면에서 연구가 필요하여 실시한 것이다. 품질관리를 위한 전담부서의 조직은 중소건설업체가 크게 미비함으로 인하여 전담부서가 절실히 필요한것으로 나타나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AHP분석을 통한 CEO 직속의 품질전담부서의 조직구조형태가 유지관리측면에서 비용절감효과 등 품질과 조직의 운영이 뛰어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중소건설업체에 품질전담부서를 조직하여 품질개선과 함께 경쟁력 우위를 점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어 실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