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풀잠자리목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풀잠자리과 한국 미기록종 Italochrysa nigrovenosa Kuwayama (풀잠자리목) (Italochrysa nigrovenosa Kuwayama, an Undescribed Species (Neuroptera:Chrysopidae) New to Korea)

  • 김슬기;조수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71-274
    • /
    • 2015
  • 그 동안 한국 풀잠자리과 Italochrysa속은 오직 1종만이 기록되었으나, 한국 미기록종인 몸노랑풀잠자리(Italochrysa nigrovenosa Kuwayama, 신칭)의 국내 분포를 추가로 보고한다. 이 종에 대한 간략한 기재와 속내 분류키, 그리고 암컷 성충과 생식기의 사진을 제공한다.

국내 뱀잠자리붙이과(풀잠자리목) 종들의 분류학적 논고 (Taxonomic Notes on the Species of Hemerobiidae (Neuroptera) of Korea)

  • 김슬기;조수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65-69
    • /
    • 2011
  • Micromus variegatus (풀잠자리목: 뱀잠자리붙이과)를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이와 함께 국외에 채집기록만 보고된 Hemerobius harmandinus, Sympherobius tessellatus 및 S. domesticus, 에 대한 간략한 기재, 성충 및 날개의 사진, 그리고 국명을 제시한다. 이로써 과거 보고된 4종과 함께 국내 뱀잠자리붙이과는 모두 8종으로 기록된다.

낙엽날개뱀잠자리붙이아과의 미기록속 및 미기록종, Drepanepteryx phalaenoides (Linné) (풀잠자리목:뱀잠자리붙이과) (A New Record of the Genus and Species, Drepanepteryx phalaenoides (Linné) (Neuroptera:Hemerobiidae:Drepanepteryginae) from Korea)

  • 김슬기;조수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09-312
    • /
    • 2016
  • 그 동안 국내 Drepanepteryginae 아과(낙엽날개뱀잠자리붙이아과; 신칭)에는 오직 Neuronema albostigma만이 기록되어 있었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국내 미기록속인 Drepanepteryx와 이 속에 포함되는 미기록종 Drepanepteryx phalaenoides (낙엽날개뱀잠자리붙이; 신칭)를 새롭게 보고한다. 이 종에 대한 간략한 기재와 속내 분류키, COI 바코드 염기서열, 그리고 성충 및 수컷 생식기의 사진을 제공한다.

한반도에서 Semidalis aleyrodiformis (Stephens)가 속한 가루풀잠자리과(Coniopterygidae: Neuroptera)의 소개 (Introduction to the Family Coniopterygidae (Neuroptera) with Semidalis aleyrodiformis (Stephens) from the Korean Peninsula)

  • 이성균;김슬기;손재천;조수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5-9
    • /
    • 2010
  • 한반도에서 Semidalis aleyrodiformis (Stephens)가 속한 풀잠자리목(Neuroptera)의 가루풀잠자리과(Coniopterygidae)에 대해 소개하고, 과(family)와 종(species)의 형태적 특징, 날개 및 수컷생식기의 도해를 제공하였다.

가루풀잠자리과 미기록속 및 미기록종 Conwentzia pineticola (풀잠자리목: 가루풀잠자리아과)의 보고 (Genus Conwentzia (Neuroptera: Coniopterygidae: Coniopteryginae) New to Korea)

  • 김슬기;구준모;조수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9-42
    • /
    • 2018
  • Conwentzia와 C. pineticola를 한국 미기록속 및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본 종의 성충에 대한 간략한 기재와 성충 사진 및 생식기 사진과 함께, 16S rRNA 와 COI 염기서열을 제공한다.

산림 내 묘지 지역의 곤충상에 관한 연구 (Insect Fauna of Cemetery Area in Forest from Korea)

  • 박진영;박종균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3-159
    • /
    • 201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림지역에서 유일하게 잔디가 식재되어 있는 집단묘지에서 출현하는 곤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 11목 39과 77속 86종이 조사되었으며, 그 중 노린재목(Hemiptera)이 25종(29.1%)으로 가장 많은 종수를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딱정벌레목(Coleoptera)이 17종(19.8%), 메뚜기목(Orthoptera) 13종(15.1%), 나비목(Lepidoptera) 11종(12.8%), 잠자리목(Odonata) 5종(5.8%), 벌목(Hymenoptera) 4종(4.7%), 파리목(Diptera) 2종(2.3%), 바퀴목(Blattaria), 사마귀목(Mantodea), 집게벌레목(Dermaptera)이 각각 1종(1.2%) 순으로 조사되었다. 노린재목(Hemiptera)과 메뚜기목(Orthoptera)의 출현이 많은 것은 대부분 조사지의 식물상이 잔디와 더불어 서식하는 억새풀, 띠풀, 넝쿨딸기 그리고 가시박, 칡 등 키 작은 화본과 식물, 개망초, 바랭이, 호밀풀 등의 초본식물로 구성된 초지형태로 식식성 곤충들에게 적합한 서식처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조사지점별 분석에서 도로변과 인접하고 여러 가지 인공적인 영향(St. 1)으로 곤충의 다양성이 묘지 중앙이나 산림과 인접한 조사지(St. 2, 3)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다양성을 보였다. 비록 산림내에서 적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묘지지역이지만 잔디구역은 묘지잡초들과 더불어 잔디를 먹이원으로 하는 노린재목, 메뚜기목 곤충들 그리고 이 곤충들을 포식하기 위해 모여드는 사마귀, 딱정벌레류의 포식성 곤충 등, 묘지지역 역시 산림 속 하나의 조그만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결과 산림내 잔디지역의 곤충다양성은 주로 식식성 곤충 위주로 분포 되어 있었으며 향후 산림생태계 내에서 잔디지역을 유일하게 포함하고 있고, 인위적으로 잔디지역이 조성되며, 지속적으로 면적이 증가하고 있는 잔디지역의 영향에 대한 후속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및 산림생태계 및 산림다양성 연구에 이바지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인공습지 조성 후 환경변화가 잠자리목의 종수 및 개체수에 미치는 영향 파악 (Understanding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hanges on the Number of Species and Populations of Odonata after Creating a Constructed Wetland)

  • 이수동;배순형;이광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15-529
    • /
    • 2020
  • 인공습지는 조성 후 자연적인 천이 과정으로 인해 육상식물의 비율이 높아지는 등 생물학적 및 물리적인 변화가 진행되는데, 이는 정화 기능 뿐만 아니라 종다양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낙동강 매수토지 중 수심, 주변 입지 조건 등을 고려하여 7개의 인공습지를 선정한 후 물리적인 환경 및 생물종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바탕으로 생물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도출하고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서식처와 종다양성의 변화 경향을 예측하고자 환경현황과 습지의존종인 잠자리목의 출현 현황을 파악하였다. 수심 0.2~1m 내외로 복원되어 수면이 유지되었던 2012년과 비교하여 2015년에는 식재된 추수식물이 깊은 수심으로 확산되면서 개방 수면의 면적도 줄었다. 잠자리의 종수는 총 54종류가 관찰되었는데 식재한 식물이 확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식생, 수면, 초지 등 서식처 다양성이 유지되어 조성 초기와 유사하였다. 하지만, 잠지리의 개체수는 2012년과 비교하여 2015년에 줄었는데, 이는 수면이 축소되면서 수생식물이 드문 곳을 선호하는 실잠자리과에 속하는 종의 개체수가 감소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도별 습지간 종수 및 개체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p-value가 각각 2.568e-09, 1.162e-08로 차이는 유의하였다. 개방 수면 감소가 종다양성과 잠자리의 서식밀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조성 초기에 식재한 갈대, 달뿌리풀, 부들 등 추수식물의 확산이 개방 수면 축소와 잠자리 종수 감소를 초래하므로 개방 수면을 유지하는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유자에서 귤응애의 천적종류와 주요종의 발생소장 (Natural Enemies of Citrus Red Mite, Panonychus citri McGREGOR, and Seasonal Occurrence of Major Predators on Yuzu tree (Citrus Junos))

  • 김규진;최덕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13-19
    • /
    • 2000
  • 유자과원에 발생하는 주요해충인 귤응애의 생물적 방제를 위해 천적의 종류 및 주요 포식성 천적의 시기별 발생량을 '96년부터 '98년까지 3년동안 전남 고흥지역에서 조사하였다. 귤응애의 천적으로는 Oligota kashimirica benifica, 깨알반날개(O. yasumatsui), 꼬마무당벌래(Stethorus punctillum), 칠성풀잠자리붙이 (Chrysopa pallens), 꼬마남생이무당벌레(Propylea japonica), 애꽃노린재(Orius sauteri), 응애총채벌레(Scolothrips takahashii),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그리고 관총채벌레류 1종으로 총 5목 7과 9종이 조사되었으며, 이 중 우점천적은 깨알반날개류와 꼬마 무당벌레였다. 유자과원에서 깨알반날개류는 5월 중순부터 11월 중순까지 발생하며 년 4~5세대를 경과하였고, 4세대인 9월 상순에 연중 최대발생량을 보였다. 꼬마무당별레는 5월 하순부터 10월 하순까지 발생하며 년 3세대 경과하였고 6월 하순~7월 중순에 발생최성기를 보였다. 먹이인 귤응애와 포식자인 천적의 시기별 밀도변동을 볼 때 9월까지는 귤응애의 발생상황에 따라서 포식자의 발생밀도도 증감하는 시기적 일치 경향을 보였으나, 10월 이후 귤응애의 밀도가 증가하는 반면에 포식자의 밀도는 급격히 감소하여 불일치 현상이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