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현 학습

Search Result 1,60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 Analysi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Shift of the Functional Context (일차함수 활용문제의 해결을 위한 강의식, 모델링, 과제기반 표현변환 학습의 교수학적 효과 분석)

  • 이종희;김부미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4 no.1
    • /
    • pp.39-69
    • /
    • 2004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Linear function relating functional contexts and suggests the improved methods of representation-shift through this analysis. The methods emphasize the link between students' preacquired knowledge of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and the way of using those. This methods are explanatory teaching, teaching and teaming based on modelling perspectives or tasks (interpretation, prediction, translation and scaling). We categorize the 8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errors on the linear function relating real contexts and make a comparative study of the error-remedial effects and the teaching and teaming methods. We present the results of a study in which representation-shift methods based on modelling perspectives and tasks are more effective in terms of flexible connection of representations and error remediation. Also, We describe how students used modelling perspective-taking to explain and justify their conceptual models, to assess the quality of their models and to make connection to other mathematical representation during the problem solving focusing on the students' self-diagnosis.

  • PDF

Comparison and Analysis of Unsupervised Contrastive Learning Approaches for Korean Sentence Representations (한국어 문장 표현을 위한 비지도 대조 학습 방법론의 비교 및 분석)

  • Young Hyun Yoo;Kyumin Lee;Minjin Jeon;Jii Cha;Kangsan Kim;Taeuk K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360-365
    • /
    • 2022
  • 문장 표현(sentence representation)은 자연어처리 분야 내의 다양한 문제 해결 및 응용 개발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주요한 도구 중 하나이다. 하지만 최근 널리 도입되고 있는 사전 학습 언어 모델(pre-trained language model)로부터 도출한 문장 표현은 이방성(anisotropy)이 뚜렷한 등 그 고유의 특성으로 인해 문장 유사도(Semantic Textual Similarity; STS) 측정과 같은 태스크에서 기대 이하의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조 학습(contrastive learning)을 사전 학습 언어 모델에 적용하는 연구가 문헌에서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그중에서도 레이블이 없는 데이터를 활용하는 비지도 대조 학습 방법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의 기존 연구들은 주로 영어 문장 표현 개선에 집중하였으며, 이에 대응되는 한국어 문장 표현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비지도 대조 학습 방법(ConSERT, SimCSE)을 다양한 한국어 사전 학습 언어 모델(KoBERT, KR-BERT, KLUE-BERT)에 적용하여 문장 유사도 태스크(KorSTS, KLUE-STS)에 대해 평가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의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영어의 경우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새로운 사실을 관측하였다. 첫째, 사용한 비지도 대조 학습 방법 모두에서 KLUE-BERT가 KoBERT, KR-BERT보다 더 안정적이고 나은 성능을 보였다. 둘째, ConSERT에서 소개하는 여러 데이터 증강 방법 중 token shuffling 방법이 전반적으로 높은 성능을 보였다. 셋째, 두 가지 비지도 대조 학습 방법 모두 검증 데이터로 활용한 KLUE-STS 학습 데이터에 대해 성능이 과적합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문장 표현 또한 영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지도 대조 학습의 적용을 통해 그 성능을 개선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가 향후 한국어 문장 표현 연구 발전에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 PDF

Two-Stage Contrastive Learning for Representation Learning of Korean Review Opinion (두 단계 대조 학습 기반 한국어 리뷰 의견 표현벡터 학습)

  • Jisu Seo;Seung-Hoon Na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262-267
    • /
    • 2022
  • 이커머스 리뷰와 같은 특정 도메인의 경우, 텍스트 표현벡터 학습을 위한 양질의 오픈 학습 데이터를 구하기 어렵다. 또한 사람이 수동으로 검수하며 학습데이터를 만드는 경우, 많은 시간과 비용을 소모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수동으로 검수된 데이터없이 양질의 텍스트 표현벡터를 만들 수 있도록 두 단계의 대조 학습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 두 단계 대조 학습 시스템은 레이블링 된 학습데이터가 필요하지 않은 자기지도 학습 단계와 리뷰의 특성을 고려한 자동 레이블링 기반의 지도 학습 단계로 구성된다. 또한 노이즈에 강한 오류함수와 한국어에 유효한 데이터 증강 기법을 적용한다. 그 결과 스피어먼 상관 계수 기반의 성능 평가를 통해, 베이스 모델과 비교하여 성능을 14.03 향상하였다.

  • PDF

Context-Aware Middleware Design for Emotion Feedback of E-Learning Learners (이러닝 학습자의 감정 피드백을 위한 상황인식 미들웨어 설계)

  • Kim, Jin-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670-672
    • /
    • 2022
  • 이러닝 시스템을 유용하게 활용하려면 학습자의 감정을 인식하여 학습자에게 적절한 피드백을 주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러닝 시스템의 학습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감정을 인식하여 그에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상황인식 컴퓨팅 기술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감정표현단어를 상황정보로 사용하여 감정을 인식할 수 있는 상황인식 미들웨어로서 EF-CAM을 제안한다. EF-CAM은 감정표현단어의 범주화기술을 기반으로 온톨로지를 구축하여 학습자의 감정을 인식한다. 이러닝 학습자의 감정을 인식하기 위해서 학습자의 감정표현 단어를 상황정보로 사용하고, 학습자의 감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정보(온도, 습도, 날씨 등)를 추가하여 인식한다. 학습자의 감정을 표현하기 위해서 OWL 언어를 사용하여 온톨로지를 구축하였다.

A Study on the Dense Vector Representation of Query-Passage for Open Domain Question Answering (오픈 도메인 질의응답을 위한 질문-구절의 밀집 벡터 표현 연구)

  • Minji Jung;Saebyeok Lee;Youngjune Kim;Cheolhun Heo;Chunghee L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115-121
    • /
    • 2022
  • 질문에 답하기 위해 관련 구절을 검색하는 기술은 오픈 도메인 질의응답의 검색 단계를 위해 필요하다. 전통적인 방법은 정보 검색 기법인 빈도-역문서 빈도(TF-IDF) 기반으로 희소한 벡터 표현을 활용하여 구절을 검색한다. 하지만 희소 벡터 표현은 벡터 길이가 길 뿐만 아니라, 질문에 나오지 않는 단어나 토큰을 검색하지 못한다는 취약점을 가진다. 밀집 벡터 표현 연구는 이러한 취약점을 개선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연구가 영어 데이터셋을 학습한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 데이터셋을 학습한 밀집 벡터 표현을 연구하고 여러 가지 부정 샘플(negative sample) 추출 방법을 도입하여 전이 학습한 모델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또한, 대화 응답 선택 태스크에서 밀집 검색에 활용한 순위 재지정 상호작용 레이어를 추가한 실험을 진행하고 비교 분석한다. 밀집 벡터 표현 모델을 학습하는 것이 도전적인 과제인만큼 향후에도 다양한 시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상태 표현 방식에 따른 심층 강화 학습 기반 캐릭터 제어기의 학습 성능 비교

  • Son, Chae-Jun;Lee, Yun-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1.06a
    • /
    • pp.14-15
    • /
    • 2021
  • 물리 시뮬레이션 기반의 캐릭터 동작 제어 문제를 강화학습을 이용하여 해결해 나가는 연구들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문제를 강화학습을 이용하여 풀 때,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한 연구도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우리는 지금까지 이뤄지지 않았던 상태 표현 방식에 따른 강화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째로, root attached frame, root aligned frame, projected aligned frame 3 가지 좌표계를 정의하였고, 이에 대해 표현된 상태를 이용하여 강화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둘째로, 동역학적 상태를 나타내는 캐릭터 관절의 위치, 각도에 따라 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 PDF

Semiautomatic Pattern Mining for Training a Relation Extraction Model (관계추출 모델 학습을 위한 반자동 패턴 마이닝)

  • Choi, GyuHyeon;nam, Sangha;Choi, Key-Sun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257-262
    • /
    • 2016
  • 본 논문은 비구조적인 자연어 문장으로부터 두 개체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는 구조적인 트리플을 밝히는 관계추출에 관한 연구를 기술한다. 사람이 직접 언어적 분석을 통해 트리플이 표현되는 형식을 입력하여 관계를 추출하는 규칙 기반 접근법에 비해 기계가 데이터로부터 표현 형식을 학습하는 기계학습 기반 접근법은 더 다양한 표현 형식을 확보할 수 있다. 기계학습을 이용하려면 모델을 훈련하기 위한 학습 데이터가 필요한데 학습 데이터가 수집되는 방식에 따라 지도 학습, 원격지도 학습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도 학습은 사람이 학습 데이터를 만들어야하므로 사람의 노력이 많이 필요한 단점이 있지만 양질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만큼 고성능의 관계추출 모델을 만들기 용이하다. 원격지도 학습은 사람의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학습 데이터를 만들 수 있지만 데이터의 질이 떨어지는 만큼 높은 관계추출 모델의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기계학습을 통해 관계추출 모델을 훈련하는데 있어 지도 학습과 원격지도 학습이 가지는 단점을 서로 보완하여 타협점을 제시하는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 PDF

Semiautomatic Pattern Mining for Training a Relation Extraction Model (관계추출 모델 학습을 위한 반자동 패턴 마이닝)

  • Choi, GyuHyeon;nam, Sangha;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6.10a
    • /
    • pp.257-262
    • /
    • 2016
  • 본 논문은 비구조적인 자연어 문장으로부터 두 개체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는 구조적인 트리플을 밝히는 관계추출에 관한 연구를 기술한다. 사람이 직접 언어적 분석을 통해 트리플이 표현되는 형식을 입력하여 관계를 추출하는 규칙 기반 접근법에 비해 기계가 데이터로부터 표현 형식을 학습하는 기계학습 기반 접근법은 더 다양한 표현 형식을 확보할 수 있다. 기계학습을 이용하려면 모델을 훈련하기 위한 학습 데이터가 필요한데 학습 데이터가 수집되는 방식에 따라 지도 학습, 원격지도 학습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도 학습은 사람이 학습 데이터를 만들어야하므로 사람의 노력이 많이 필요한 단점이 있지만 양질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만큼 고성능의 관계추출 모델을 만들기 용이하다. 원격지도 학습은 사람의 노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학습 데이터를 만들 수 있지만 데이터의 질이 떨어지는 만큼 높은 관계추출 모델의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본 연구는 기계학습을 통해 관계추출 모델을 훈련하는데 있어 지도 학습과 원격지도 학습이 가지는 단점을 서로 보완하여 타협점을 제시하는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Learning of Polite Expressions Using M-learning (M-러닝을 활용한 공손 영어 표현 학습에 대한 연구)

  • Kim, Hye Jeong
    • Cross-Cultural Studies
    • /
    • v.42
    • /
    • pp.261-283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learning polite expressions of English using the mobile application Naver Band. To improve communicative competence, students need to develop sociolinguistic competence as well as grammatical and discourse competence. To be accordant to social context, the roles of the participants, and the purpose of the interaction, students have to make an appropriate utterance. When a hearer has a higher social status and is older than a speaker, or have low levels of familiarity, Korean native speaker tends to use polite expressions. Students need to learn polite expressions of English because English has a different honorific system from Korean. To realize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of polite language is one thing, but to learn it in a real classroom is another.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the use of a mobile application, which is considered a user-friendly tool for students, into learning polite language using the UK historical drama, Downton Abbey. Two tests were administered to an experimental group that used the mobile application and a control group that used group work. The results of the two tests show that the use of the mobile appli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polite expressions and is effective as an after-school activity. In an open-ended questionnaire, students tend to identify polite expressions as superior or high-level language forms and separate these forms from practical expressions. It should be noted as well that teachers need to consider instructing in modern English when using a historical drama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polite expressions.

A Method of Graphic Representation of Mathematical Sentences for Game Generation (게임세대를 위한 수학문장의 그래픽 표현방법)

  • Chang, Hee-Dong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2 no.5
    • /
    • pp.5-12
    • /
    • 2012
  • The information represented by graphic is preferred more than by text to the game generation familiar to computer games in the cognitive style. The learning to solve the math problems represented by graphic is significantly effective to improve learner's problem-solving power in math edu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of graphic representation of mathematical sentences for effective learning of the game generation. The proposed method arranges the unit informations in the logical structure and represent the logical interrelation between the informations by symbols, line segments, or arrows using the graphic elements with good visibility for the game generation to recognize easily and to understand accurately the logical meaning. The proposed method is able to represent accurately the math sentences until the detail level that appears the tense and the voice of the sentences differently from the previous graphic representation method's ability. The proposed method could be used as learning tools and used widely to represent graphically mathematical informations for the instructional scaffolding of an educational game in oder that the game generation could learn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