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현이미지

Search Result 1,62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ignature-based Spatial Match Retrieval Method for Iconic Image Databases (아이콘 이미지 데이타베이스를 위한 시그니쳐에 기반한 공간-매치 검색기법)

  • Chang, Jae-Woo;Srivastava, Jaideep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4 no.12
    • /
    • pp.2931-2946
    • /
    • 1997
  • In multimedia information retrieval applications,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is essential for retrieving relevant multimedia documents. The purpose of our paper is to provide effective representation and efficient retrieval of images when a pixel-level original image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transformaed into its iconic image containing meaningful graphic descriptions, called icon objects. For this, we first propose new spatial match representationschemes to describe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icon objects accurately by expressing them as rectangles, rather than as points. In order to accelerate image searching, we also design an efficient retrieval method using a two-dimensional signature file organization. Finally, we show from our experiment that the proposed representation schemes achieve better retrieval effectiveness than the 9-DLT (Direction Lower Triangular) scheme.

  • PDF

Research of a Repetitive Moving Image based on the 'Difference and Repetition' Theory of Gilles Deleuze - Focusing on the Moving Image of Addidas (질 들뢰즈의 차이와 반복 이론을 기반으로 한 영상이미지 연구 - 아디다스 영상을 중심으로)

  • Hong, Jin-Young;Chun, Ji-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644-646
    • /
    • 2019
  •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영상 이미지는 영상 예술 뿐 만 아니라 다매체에서 디지털이미지로 전달되고 있다. 기존의 영상 이미지는 화면 프레임을 단순히 시간적 움직임을 재현하는 것이나 제한된 화면 효과를 통해 표현되었다. 그러나 테크놀로지의 진보로 인하여 디지털 미디어는 기존 영상 기법을 확장시켜 다양한 표현을 빠르고 쉽고 편리하게 구현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기술적 진화는 결과적으로 영상 이미지가 생성하는 이미지와 이미지 사이에 생기는 이질적 간격을 복잡하고 자극적으로 끝임 없이 전달 받게 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우리에게 디지털 이미지가 생성하는 이미지의 시간성이 움직임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 들뢰즈의 관점에서 살펴보고, 인식적 요소가 실질적으로 어떻게 표현될 수 있는지 실증적인 사례<아디다스 광고 영상>을 중심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음함수 곡면 모델링 기술

  • 김은석;윤재홍;허기택
    •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Review
    • /
    • v.11 no.1
    • /
    • pp.77-83
    • /
    • 2004
  • 컴퓨터 그래픽스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응용 학문이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나타내고자 하는 물체를 표현하는 모델링과 표현된 모델을 이미지로 나타내기 위한 렌더링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모델링 방법에 따라 렌더링 기법도 좌우된다.

  • PDF

CEO's Twitter Message and Image: Exploring CEO's Twitter Messages and Followers (CEO의 트위터 메시지와 이미지 -CEO 트위터의 메시지 유형과 팔로워의 평가를 중심으로)

  • Cho, Seung-Ho;Hong, Sook-Yeo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6
    • /
    • pp.83-9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current study is to examine CEO image presented in messages of CEO twitter and perceived by CEO twit followers. To conduct this study, we selected two CEOs, ChanJin Lee and HyeonMyeong Pyo who are top ranking based on a number of followers in Korea. We investigated each CEO's Tweet, RT, Reply, and RT+Reply using three CEO image factors: CEO personality, CEO quality, and CEO outward characteristics. Also, followers were asked what image mostly they have based on those three image fa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for ChanJin Lee, CEO quality were more presented in twitter than CEO personality and CEO outward characteristics, and CEO Lee's followers also perceived that Lee has more CEO quality image than others. Pyo, HyeonMyeong has CEO quality image in twitter than others, and his followers thought that he had more CEO outward characteristics image than others.

Color Image Design for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Situation: The Realization of Color Image in line with Social Situations (심리적 환경에 맞는 색채 이미지 디자인 : Color로 표현되는 상황에 맞는 이미지의 구현)

  • 황상민;김경인;정주원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2
    • /
    • pp.115-121
    • /
    • 1999
  • 특정 환경이 제시하는 이미지는 색으로 나타내어진다. 그러면, 특징 사회적 환경에 대해 사람들은 특정한 색채 반응을 만들어내는가\ulcorner 특정 사회적 상황에 대해 사람들이 어떤 색채이미지를 만들어 내며, 이런 색채이미지가 사회적 상황을 일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각 사회적 상황에 맞는 색채 코디네이션과 이미지를 찾고자 할 때, 대표적인 경우가 화장이다. 여성의 화장에서 나타나는 색채 이미지는 사용자의 취향과 같은 성격특성에 따라 달라지지만, 이것은 또한 사회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표현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상황을 캐주얼, 비즈니스, 지적분위기, 이브닝(섹스어필)의 4가지 조건을 제시하고 이것에 따른 색채 감성이미지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각각의 상황은 일관적인 색채 이미지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사람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색채이미지로 표현된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특정 환경에 관한 개대는 특징적인 색채 이미지로 반영되며, 이런 결과들은 환경색채의 디자인과 구체적인 상황과 맞는 제품의 색조 디자인 등에 직접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Object-based Image Segmentation (객체 기반 이미지 분할에 관한 연구)

  • 임희석;박기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c
    • /
    • pp.210-21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이미지 분할을 위한 객체지향 모델링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분할 객체와 자료구조를 제시하며 각각의 객체들을 위한 클래스 계층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객체의 부분에 대한 계층구조는 물론 객체의 기하학적인 표현을 위한 표현 클래스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이미지 객체에 대한 시스템 독립적 이미지 분할을 위한 클래스 계층 구조를 객체지향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 PDF

Shape Based Image Retrieval using Fourier Series (퓨리에 시리즈를 사용한 외형기반 이미지 검색)

  • Tak, Yoon-Sik;Hwang, Ee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a
    • /
    • pp.366-371
    • /
    • 2006
  • 퓨리에 시리즈를 사용하면 이미지의 외곽선 특성을 표현할 수 있다. 이미지의 퓨리에 계수를 추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이미지를 구성하는 주요 오브젝트를 표현하는 곡선을 추출한다. 이러한 곡선은 오브젝트의 특정 중심점에서 외곽선을 따라 일회전하면서 그 거리를 좌표상에 표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기존의 퓨리에 계수를 추출하는 방법들은 추출된 계수를 이용하여 해당 곡선을 복원했을 때 원래의 곡선에 존재하던 상세한 특성을 표현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는 결국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곡선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할 때 정확도를 상당히 떨어뜨리게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Binary Range Reduction (BRR)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BRR 알고리즘은 원래의 곡선과 퓨리에 계수를 통해서 복원된 곡선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 전체의 곡선을 통해서 하나의 퓨리에 계수 세트를 추출하지 않고, 복원된 곡선이 원래의 곡선과 차이가 일정 크기 이상 나지 않도록 퓨리에 계수를 추출하는 구간을 나누어가며 퓨리에 계수를 추출한다. 이렇게 추출된 다수의 퓨리에 계수 세트를 통해서 복원된 곡선을 사용하여 이미지들 간의 유사도를 비교한다. 실험을 통하여 BRR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곡선에서 추출한 퓨리에 계수로 복원한 곡선이 원래 곡선의 특성을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음을 보였고, 퓨리에 계수와 BRR알고리즘을 이미지 검색에 적용하였을 때, 높은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Creation of Kansei-Vocabulary Relation associated with color in WordNet (WordNet상에서 컬러기반 감성어 관계 생성에 관한 연구)

  • 백선경;조미영;김판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568-570
    • /
    • 2004
  • 기존의 컬러 기반 감성시소러스 구축에서는 감성 어휘 관계 생성을 위해 IRI에서 개발한 단색이미지 스케일을 사용하여 컬러를 표현하였다. 그리고 컬러에 따라 연상되는 형용사를 단색 이미지 스케일에 배치하여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의 공간관계를 생성하였다 즉, 컬러를 보고 연상되는 이미지를 형용사로 표현하고 색의 고유한 관계를 공간상에 배치하여 컬러 값에 따른 형용사를 매핑하였다. 이는 단순히 컬러의 관계만을 이용한 설정으로 의미적 감성어 표현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HP사의 'The Meaning of Color'표를 이용하여 컬러에 따른 감성 이미지를 정의하고, 정의된 어휘간의 의미적 표현을 위해 유의어, 동의어 관계 등을 포함한 WordNet 구조를 기반으로 새로운 감성어 관계 생성 방안을 제안한다. 방안을 제안한다.

  • PDF

Block based Normalized Numeric Image Descriptor (블록기반 정규화 된 이미지 수 표현자)

  • Park, Yu-Yung;Cho, Sang-Bock;Lee, Jong-Hwa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9 no.2
    • /
    • pp.61-68
    • /
    • 2012
  • This paper describes a normalized numeric image descriptor used to assess the luminance and contrast of the image. The proposed image descriptor used the each pixel data as weighted value of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 and defined by normalization in order to objective represent. The proposed image numeric descriptor can be used to the adaptive gamma process because it suggests the objective basis of the gamma value selection.

Artistic Emotional expression of Image distortion based on the magnetic force and user Immersion Through the Convergence of Art and Science Technology (예술과 과학 기술의 융합을 통한 자기력기반 이미지 왜곡의 예술적 감성표현과 사용자 몰입)

  • Kim, Kyoung-Nam;Lee, Myoun-J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8
    • /
    • pp.457-463
    • /
    • 2015
  • The image distortion field has been studied and applied variously in the fields of engineering and art. This research is to express artistic sense by using the engineering technology on image distortion. In order to do this, the paper first examines the aesthetic interpretations on artistic expressions of image distortion. Then, it explains that image distortion using magnetic force can be an artistic expression method and includes user immersion elements. In addition, it demonstrates that image distortion can be used as an artistic emotional expression based on interaction.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creative emotional contents through the convergence of scientific technology and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