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피

검색결과 1,068건 처리시간 0.036초

신경교종에서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도와 자기공명영상 소견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the Expression of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and MR Features in Glioma)

  • 김범수;신경섭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권1호
    • /
    • pp.125-129
    • /
    • 1997
  • 목적: 신경고종의 자기공명영상 소견과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술적 제거 혹은 생검으로 확진된 41예의 신경교종(저등급 성상세포종 8예, 역형성 성상세포종 12예, 다형성 교아세포종 21예) 환자에서 시행한 자기공명영상을 종양의 경계, 괴사, 균질도, 출혈, 조영증강, 그리고 종괴주위의 부종에 대하여 분석하여 각 소장인자수용체의 염색을 시행한 후 그 염색 분포 및 강도에 대한 등급값을 정하였다. 각 환자에서 얻어진 종양 조직을 면역조직화학법으로 표피성 장인자수용체의 염색을 시행한 후 그 염색 분포 및 강도에 대해 등급값을 정했다. 각 자기공명소견과 표피성장인자수용체 발현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알아보았다. 결과: 자기공명영상에서 종괴주위 부종만이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염색 분포(r=0.71, p=0.00) 및 염색 강도(r=0.69, p=0.00)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소견이었다. 나머지 소견은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과 통게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자기공명영상은 신경교종의 진단에 있어 유용한 방법이며, 신경교종에서 종괴주위 부종은 그 조직병리학적 악성도의 예측 뿐만 아니라, 표피성장인자수용체의 발현을 예측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는 소견이다.

  • PDF

한국의 장흡충에 관한 연구 XIX. 프라지콴텔 투여 흰쥐에서 수집한 Fibricola Seoulensis의 광학 및 주사 전자현미경적 관찰 (Studies on Intestinal Trematodes in Korea XIX.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Fibricola seoulensis collected from Albino Rats Treated with Praziquantel)

  • 서병편;차인려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47-58
    • /
    • 1985
  • 프라지관텐 투여가 흰쥐체내에서 Fibricola seoulensis에 미치는 영향을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피낭유충은 뱀의 내장에서 분리한 것을 사용하였고 5마리의 비투약대조군 및 10마리의 투약군 횐쥐에 각각 1,000개씩을 경구감염시켰다. 감염 7일후 투약군 횐쥐에 10mg/kg의 프라지관텔을 투여하고 1∼24시간후 횐쥐를 회생시킨 다음 소장으로부터 충체를 수집하여 대조군으로부터 얻은 충체와 비교관찰하였다. 투약군에서 얻은 F. seoulensis충체는 광학현미경적 관찰에서 충체특히 전반부의 수축 및 잇달은 이완, 표피 및 표피하 실질조직의 공포화(vacuolization) 및 장관의 내공폐쇄 등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었다. 주사전자현미경적인 충체 표피의 변화는 많은 수포형성(blob formation) 및 파열과 이에 따른 충체 전표피의 파괴로 특징지을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프라지관텔에 의한 충체의 손상이 표피에 심하게 나타나지만 표피에 한정되지 않고 표피하층까지도 파급되며 또 장관에도 뚜렷한 손상이 오는 것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런 점으로 보아 충체에 의한 프라지관텔의 흡수는 표피 뿐만 아니고 소화관을 통해서도 일어남을 의미하였다.

  • PDF

부신 피질 호르몬제와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 사용 후 발생한 독성 표피괴사 증후군 (Steroid and enalapril therapy - possible cause of toxic epidermal necrolysis)

  • 김동욱;정다은;구자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3호
    • /
    • pp.332-336
    • /
    • 2006
  • 독성 표피괴사 증후군(Toxic epidermal necrosis)은 매우 드문 수포성 피부 질환으로 표피 전층의 괴사와 박리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며, 적절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질환이다. 대부분의 독성 표피괴사 증후군의 약물과 연관이 있으며, 대표적인 약물로는 설폰아마이드(Sulfonamide), 항경련제(Phenytoin, Phenobarbital), 페니실린계 항생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등이며, 드물게 부신 피질 호르몬제에 의한 발병도 보고되고 있다. 최근 독성 표피괴사 증후군에서 각질 세포의 세포고사(cell apoptosis)에 Fas 수용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진 후 치료에 면역 글로불린 사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생존율의 증가와 치료기간의 단축이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아직 독성 표피괴사 증후군에서 면역 글로불린정주가 치료방법으로 확립되지 않았지만 몇몇의 경우에서 면역 글로불린 정주로 치료한 경험들이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막성 신염 환아에서 부신 피질 호르몬제와 안지오텐신 수용체 길항제 사용 후 발생한 독성 표피괴사 증후군에서 면역 글로불린을 사용하여 치료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자 한다.

표피항상성과 건조피부의 관리 (Epidermal Homeostasis and Dry Skin Management)

  • 박장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8
    • /
    • 2008
  • 피부장벽을 포함한 표피층은 인체의 조직 가운데에서도 가장 역동적인 기관이다. 다시 말해서 끊임없이 새로운 표피세포의 형성, 분화 및 탈각과정이 반복되면서 표피항상성(epidermal homeostasis)을 유지한다. 표피항상성은 피부기능 가운데 가장 주요한 기능인 permeability barrier homeostasis의 확립으로 연결된다. Permeability barrier homeostasis는 각질층에서 이루어지며 이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매우 정교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표피항상성을 조절하는 핵심 조절인자로서 nuclear hormone receptor(NHR)가 중심에 있음이 최근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이들은 각질세포 특이적인 단백질, 즉, involucrin, loricrin 및 trans-glutaminase 1(TG 1) 등의 발현을 유전자 수준에서 조절할 뿐 아니라 표피 지질성분의 생합성을 증가시키는 등 피부장벽을 구성하는 brick 및 mortar의 생성과 유지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NHR 가운데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or receptor(PPAR)와 liver X receptor(LXR)의 activator/ligands가 리놀레인산 등 지방산, leukotriene, prostanoid 및 oxygenated sterol 등이 지질대사과정에서 형성된 지질 종류인 까닭에 liposensor로도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liposensor들을 비롯한 PPAR과 LXR activator/ligands들은 피부장벽기능이 저해된 아토피성 피부를 포함하여 건조피부를 관리하는 epidermotherapy의 수단으로서 잠재적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UVB로 조사된 C57BL/6 마우스의 피부에서 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추출물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ffectivenes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on the Skin by UVB-Irradiation C57BL/6 Mouse)

  • 이현화;송선영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3호
    • /
    • pp.139-145
    • /
    • 2010
  • 본 연구는 UVB 조사로 인해 발생된 유해산소와 마우스 피부조직 변화에 대한 자초추출물의 유효성을 알아보기 위해 UVB 조사군과 UVB 조사 후 자초추출물을 도포한 군으로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CAT, SOD의 활성도에서는 UVB 조사 후 자초추출물 도포군이 UVB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조직학적 변화에서, UVB 조사군은 표피층이 얇아지며 표피괴사 형태와 진피조직에서 염증세포가 많이 관찰되었다. 또한 표피층이 증식되는 과각화현상이 보이며 표피-진피 능선도 느슨하게 관찰되어졌으며, 모낭의 소실 또한 관찰되었다. UVB 조사 후 자초추출물 도포군에서는 표피층은 더 얇아졌으나 표피 괴사현상은 보이지 않으며 염증부위는 UVB 조사군에 비해 훨씬 경감된 상태였다. 48시간군부터 표피층이 재생되어졌으며, 표피 증식과 과립층의 배열이 억제되고 정상적인 모낭과 표피-진피 능선을 관찰할 수 있었고 168시간군에서는 control 수준으로까지 회복되어진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초추출물은 UVB 조사로 발생된 유해산소 활성을 감소시켜주며, 급성반응인 일광화상세포, 염증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피부염증을 예방하는 광보호제로서의 사용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압 산소챔버를 활용한 피부표피 반응 사례 연구

  • 민근식;천정민;박노국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5-4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고압산소치료 후 포유동물의 피부에서 Melanin 세포의 생성이 줄어들었음을 이미 보고된 바 있고, 치료 후 전층 피부이식 생존율을 높였고, 또한 인체의 피부 진피층 확인은 더 많은 임상데이터가 필요하나 고압산소치료 후 표피면의 변화는 빠른 시간에 확인 할 수 있다고 판단됨으로 이에 피부진단기의 기준면과의 평행(parallel polarization) 이미지로 피부표피의 변화를 확인 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고압산소챔버를 활용한 피부표피에 대한 분석 및 실험 결과, 주름살 및 상처(Wrinkle & Scar) 분석에서 피실험자 남자1 3%, 남자2 2%, 여자1 5.9%, 여자2 2.3%로 피실험자 모두 감소 현상을 보여 피부 탄력도가 좋아 지는 효과를 보였다. 피부미백(S-Gray) 분석에서는 피실험자의 피부 표피면의 멜라닌 및 에리즈마 색소의 피부 톤이 남자1 1.1%, 남자2 2.3%, 여자1 4% 로 피실험자 4명 중 3명은 상승 효과를 얻었으나, 피실험자 다른 1명인 여자2는 2.3% 하향의 결과가 나타났다. 홍도(Erythema) 분석, 피실험자 정상인 부위인 D.BLUE/BLUE 값이 남자1 5.6%, 남자2 4.9%, 여자1 17.3%, 여자2 15.3% 증가 현상을 보였으며 남자와 여자의 효과 차이가 10% 이상으로 나타낸 것으로 보아 남자 보다는 여자가 우세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비정상인 에리즈마 색소(민감도)의 비정상인 부위인 YELLOW/RED 컬러 값에서 남자1 5.2%, 남자2 5%, 여자1 9.2%, 여자2 4.5% 감소 하였음을 보였다. 이에 피실험자 모두 에리즈마인 민감성 산소치료에 따른 피부에 미치는 영향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한국 및 뉴질랜드산 철선충류(유선형동물문, 철선충목, 철선충과) 2종의 표피 관상구조 (Tubular Structures on the Guticle of Two Gordius Species (Nematomprpha, Gordopodea, Gprdoodae_ from Korea and New Zealand)

  • Andreas Schmidt-Rhaesa;Alexandder Kieneke;Daniel Muschiol;Chung, Pyung-R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7권2호
    • /
    • pp.165-169
    • /
    • 2001
  • 저자들은 한국과 뉴질랜드에서 채집된 철선충(Gordius 속)의 표피상에 나타난 관상구조를 주사전자 현민경으로 관찰하였다. 한국산 철선충의 암컷 한 마리는 종을 동정할 수 없었으나 뉴질랜드산 철선충의 수컷 한 마리는 Gordius paranensis 로 동정되었다. 다른 뉴질랜드산 G. paranensis 수컷들에서는 표피상의 관상구조나 관상구조 저변의 소공들을 갖고 있지 않았다. 이로서 표피 관상구조는 종 특이성을 나타내는 구조물로는 속단하기 어려우나 그렇다고 이들은 조직과정 중의 오염물도 아니다. 이 관상구조물들은 충체의 샘조직의 산물로 여려지며 앞으로 이들의 내부구조등에 관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철선충 표피상의 관상구조물은 처음 보고되는 것이다.

  • PDF

왕종개 Iksookimia longicorpa (Cobitidae) 수염의 조직학적 관찰 (Histological Observation of the Barbel in the Spined Loach, Iksookimia longicorpa (Cobitidae))

  • 김익수;김선영;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4-27
    • /
    • 2001
  • Iksookimia longicorpa의 수염은 표피, 진피, 중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피는 중층막으로 되어 있으며 미뢰, 점액세포, 과립형 세포, 표피 세포를 포함한다. 점액세포는 약한 호염기성을 보이며 표피의 표면에 위치하고 있다. 반면에, 미뢰는 강한 호염기성을 나타내며 표피의 기부에 위치하고 있다. 진피는 소성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고, 혈관, 색소세포, 신경세포를 함유하고 있다. 중축은 가장 깊숙한 부분으로 근육층으로 둘러싸여 있다.

  • PDF

농어과에 속하는 쏘가리와 꺽지의 Carotenoid 색소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Carotenoid Pigments in Mandarin Fish, Sinperca scherzeri and Korean Perch, Coreoperca herzi in the Family Serranidae)

  • 이향회;박미연;권문정;백승환;김수영;강동수;하봉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7-93
    • /
    • 1996
  • 어류의 carotenoid에 관한 비교 생화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우리나라 특산의 통어과이 쏘가리와 꺽지의 표피 및 난의 산란 중과 산란 후의 carotenoid 조성이 서로 어떻게 다른가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쏘가리와 꺽지 표피의 총 carotenoid 함량은 쏘가리는 산란 중에 2.8mg%, 산란후에 2.1mg%로 나타나 산란후보다 산란중에 높은 함량치를 보였다. 표피의 carotenoid 조성은 쏘가리는 산란중에 tunaxanthin 42.2%, lutein 22.0%이며, 산란 후에는 tunaxanthin 32.7%, lutein 24.5%로 나타났으며, 꺽지는 산란중에는 tunaxanthin 69.4%, lutein 17.0%m 산란후에는 tunaxanthin 37.5%, lutein 24.8%로 나타나 표피의 tunaxanthin 의 함량이 산란 중이 산란 후가 높았다. 쏘가리와 꺽지 난의 총 carotenoid 함량은 쏘가리의 난은 0.3mg%, 꺽지의 난은 1.3mg%로 나타나 쏘가리 보다 꺽지 난의 함량이 높았다. 난의 carotenoid 조성은 쏘가리 $\beta$-carotene 27.4%, zeaxanthin 25.7%, diatoxanthin 23.8%였고, 꺽지는 $\beta$-carotene 27.4%, zeaxanthin 25.3%, diatoxanthin 22.4%로 나타나 모두 $\beta$-carotene, zeaxanthin, diatoxanthin 이 주성분으로 함유 되어 있었으며 그외 cynthiaxanthin, lutein 및 cryptoxanthin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동일한 농어과의 쏘가리와 꺽지 표피 및 난의 carotenoid 조성은 서로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현대 패션 리테일 샵에 나타난 표현경향과 표피(表皮)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패션 선두매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xpressive Tendency and Skin Contemporary Fashion Retail Shop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a Flagship store -)

  • 강소연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91-100
    • /
    • 2006
  • 현대 상업공간의 패션 리테일 샵은 변화하는 패션경향에 따라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한 기능적, 감성적 공간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최근 패션 리테일 샵은 형태로부터의 표면의 변화와 표현특성이 상징화되고 있는데, 이는 공간이 이미지화되고 감성화 되고 있는 표피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표피의 특성을 시대적 배경으로 구분하고, 2000년부터 2003년까지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개념이 도입되고 표피의 표현이 두드러진 패션 리테일 샵의 패션 선두매장 (Flagship store) 4개 브랜드를 중심으로 형태적 측면과 공간적 측면으로 각각 범주화하여 패션 리테일 샵에 나타난 표현경향과 표피의 상관성을 분석 고찰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