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표피심도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22초

건전삼과 적변삼 표피 및 무기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Inorganic Elements and Epidermis Structures in Healthy and Rusty Ginseng)

  • 최재을;이종신;윤선미;차선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61-166
    • /
    • 2002
  • 인삼 뿌리에 발생하는 적변현상을 구명하기 위하여 적변삼표피의 형태적 특성, 세균의 밀도 및 무기물 함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적변삼의 표피는 건전삼에 비하여 두꺼웠으며, 세포벽이 분해되어 심하게 파괴되어 있었다. 그러나 건전삼의 경우에는 세포가 장방형의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고 조직의 파괴도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2. 파괴된 적변삼의 표피조직에는 막대모양의 세균이 다수 존재하였으며, 세균밀도는 2.9$\times$$10^{6}$-3.5$\times$$10^{7}$ CFU/g(fresh weight)으로 많은 세균이 분리되었다. 건전삼표피조직에서는 세균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세균밀도는 4.7$\times$$10^2$-1.2$\times$$10^3$ CFU/g(fresh weight)으로 적변삼에 비하여 매우 낮게 나타났다. 3. 인공적으로 분리세균을 접종하여 적변을 유발시킨 표피조직에서도 자연발생 적변삼에서와 동일한 표피조직의 파괴양상을 보였으며, 다수의 세균이 관찰되었다. 4. 적변삼의 표피조직에서는 Al, Si 및 Fe의 함량이 높았으나, 건전삼에서는 K의 함량이 높게 나타나 적변현상의 발생은 표피조직에서 무기물 함량의 변화를 유발하였다

한국의 장흡충에 관한 연구 XIX. 프라지콴텔 투여 흰쥐에서 수집한 Fibricola Seoulensis의 광학 및 주사 전자현미경적 관찰 (Studies on Intestinal Trematodes in Korea XIX.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of Fibricola seoulensis collected from Albino Rats Treated with Praziquantel)

  • 서병편;차인려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1호
    • /
    • pp.47-58
    • /
    • 1985
  • 프라지관텐 투여가 흰쥐체내에서 Fibricola seoulensis에 미치는 영향을 광학 및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피낭유충은 뱀의 내장에서 분리한 것을 사용하였고 5마리의 비투약대조군 및 10마리의 투약군 횐쥐에 각각 1,000개씩을 경구감염시켰다. 감염 7일후 투약군 횐쥐에 10mg/kg의 프라지관텔을 투여하고 1∼24시간후 횐쥐를 회생시킨 다음 소장으로부터 충체를 수집하여 대조군으로부터 얻은 충체와 비교관찰하였다. 투약군에서 얻은 F. seoulensis충체는 광학현미경적 관찰에서 충체특히 전반부의 수축 및 잇달은 이완, 표피 및 표피하 실질조직의 공포화(vacuolization) 및 장관의 내공폐쇄 등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었다. 주사전자현미경적인 충체 표피의 변화는 많은 수포형성(blob formation) 및 파열과 이에 따른 충체 전표피의 파괴로 특징지을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프라지관텔에 의한 충체의 손상이 표피에 심하게 나타나지만 표피에 한정되지 않고 표피하층까지도 파급되며 또 장관에도 뚜렷한 손상이 오는 것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런 점으로 보아 충체에 의한 프라지관텔의 흡수는 표피 뿐만 아니고 소화관을 통해서도 일어남을 의미하였다.

  • PDF

뱀장어 수생진균(水生眞菌), Saprolegnia didina Type I의 실험적(實驗的) 감염(感染) (Experimental Inection with Saproloenia diclina Type I in Eels(Anguilla japonica))

  • 민홍규;박남용;하타이 키시오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61-66
    • /
    • 1990
  • 수생균병(水生菌病)의 원인균(原因菌)의 하나인 Saprolegnia diclina Type I 을 뱀장어에 실험적(實驗的)으로 감염(感染)시켜 감염(感染) 기전(機轉)과 균사체(菌絲體)가 체표(體表)의 표피(表皮)와 진피(眞皮)에 나타나는 소견(所見)을 병리학적(病理學的)으로 조사(調査)하였다. 1. 뱀장어를 물에서 건져 그물로 처리한 A, B군(群)에서는 실험적(實驗的)으로 감염(感染)되지 안했으나 인공적(人工的)으로 피부점액(皮膚粘液)을 제거(除去)한 C군(群)에서는 심한 감염(感染)이 관찰(觀察)되었다. 2. 감염어(感染魚)의 체표(體表)에서 채취(採取)한 진균류(眞菌類)는 무격벽(無隔壁)으로 분지(分枝)하며 간접(間接) 발아(發芽) 양식이어서 S. diclina Type I으로 동정(同定)되었다. 3. 어체(魚體) 전반(全般)에 면모상(綿毛狀)의 균사체(菌絲體)가 관찰(觀察)되었고 출혈반(出血斑)을 수반(隨伴)한 병소(病巢)가 형성(形成)되었다. 4. 병소내(病巢內)에는 균사체(菌絲體)가 표피(表皮)와 진피(眞皮)에 신장(伸長) 분포(分布)되어 있었고 특(特)히 피부(皮膚)의 표피층(表皮層)에는 심(甚)한 출혈(出血), 세포(細胞)의 변성(變性), 괴사(壞死_ 및 일부(一部) 점액세포(粘液細胞)는 심(甚)하게 종대(腫大)되어 있었다.

  • PDF

선형 이동 자기장을 사용한 원통형 전자기 펌프의 전자기력에 미치는 코일 모양의 영향 (The Effect of Coil Shape on the Electromagnetic Force in the Cylindrical Electromagnetic Pump Using Linear Traveling Traveling Magnetic Field)

  • 이경우;정순효;오영주;조영환;심재동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5권5호
    • /
    • pp.892-899
    • /
    • 1995
  • 유한 요소법을 사용하여 선형 이동 자기장을 이용하는 원통형 전자기 펌프 내에서 발 생하는 전자기력을 모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사용한 수치실험을 통하여 펌프에서 발생하는 전자기력은 입력 전류의 주파수, 이송 대상 용해 금속의 성질에 의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최대의 전자기력을 낼 수 있는 코일 의 최적 길이가 존재하고 있으며, 그 최적 길이는 표피층 두께(skin depth)가 클 때에 는 용해 금속의 반경에 의해서 결정되며, 표피층 두께가 작을 때에는 표피층 두께에 의해서 결정된다.

  • PDF

리기다소나무의 잎 유출액이 근단세포의 형태변화에 미치는 영향

  • 이호준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1호
    • /
    • pp.73-78
    • /
    • 1995
  • 리기다소나무 추출액을 농도별로 무와 차풀에 처리한 3일 후에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근단세포를 관찰할 경우 6% 처리구에서는 피층세포가 신장되었으나, 25%, 75% 처리구에서는 오히려 세포 표면이 위촉되어 불규칙하게 변화됨으로써 표면부 전체가 심한 굴곡현상을 나타내었다. 특히 차풀에 있어서 75% 처리구의 표피층은 작고 불규칙한 세포들로 상당히 비후되어 있었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근단의 세포를 관찰한 결과 무의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표피세포의 원형질막 함입현상이 활발하였고 세포벽은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들이 층상으로 분포해 있었다. 피층세포와 중심주의 유세포에서는 중앙 액포가 발달하였고 지질과립이 감소하였으며 전분형성체가 자주 관찰되었다. 차풀의 처리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세포질의 퇴행현상이 심화되었고 일부 잔존한 세포질내에는 중앙 액포가 발달하였는데 그 액포막의 안쪽에는 높은 전자밀도의 물질이 축적되었으며 피층세포와 중심부의 유세포에서는 전분형성체가 뚜렷이 존재하였다.

  • PDF

참굴큰입흡충 표피층의 투과전자현미경적 미세구조 (TEM ultrastmcture of the tegumental layer of Gymnophalloides seoi (Digenea: Gyinnophallidae))

  • Min SEO;Jong-Yil CHAI;Soon-Hyung LEE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3호
    • /
    • pp.165-172
    • /
    • 1995
  • 참굴큰입흡충(Gymophazloides seoi) 피낭유충 및 성충의 표피층(일반 표피. 흡반 부위 및 ventral pit)의 미세구조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피낭유충은 자연감염된 굴에서 분리하 였고. 성충은 실험감염시킨 C3H 마우스에서 획득하였다. 일반적으로 표피층은 합포체의 응기 및 굴곡이 심하지 않았고, 다수의 미토콘드리아와 수많은 작은 공포들이 관찰되었으며. 근육층 아래에 는 표피세포의 핵이 위치하고 있었다. 피낭유충과 성충에서 표피층의 구조적인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구흡반에는 잘 발달된 근육층이 분포하였고. 복흡반은 구흡반과 비슷한 구조였으나 합포체의 fold수가 구흡반보다 많았다. Ventralpit은 합포체층의 두께가 얇았으며. 많은 수의 microtubule 과 미토콘드리아가 관찰되었다. 주위에는 종주근과 윤주근 다발들이 잘 발달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참굴큰입흡충 표피층의 미세구조는 피낭유충과 성충 사이에 별다른 차이가 없었으며 흡충류의 일반적인 구조와 대체로 일치하였다. 이 흡충의 특징적 구조물인 ventralpit은 괄약근 또는 보조 흡착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 PDF

금강초롱꽃 (Hanabusaya asiatica) 과 근연분류군의 비교연구 2. 표피의 미세구조, 화분학적 형질 및 동위원소 분석 (Comparative studies on the Hanabusaya asiatica and its allied groups 2. Ultrastructure of epidermis, Palynological characters and Isoyme pat)

  • 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03-318
    • /
    • 1995
  • 금강초롱꽃과 근연분류군 4속 9분류군에 대한 표피 및 화분의 미세구조, 동위효소 분석을 통하여 금강초롱꽃속(屬)이 특산속으로서 구분이 가능한가를 알아보았다. 표피는 미세구조에서는 잎이 표면과 이면세포의 모양, 화피의 세포형태, 종피의 미세구조 등이 속과 종을 구분하는데 유용한 형질로 나타났으며, 화분학적 형질에서는 표면무늬와 전체 형태에 많은 변이가 있어 속내 분류군들의 유집 및 분류가 불가능하였다. 동위효소 분석에서는 분류군에 따라 지역, 집단간 변이가 매우 심하게 나타났지만 금강초롱꽃과 가장 유사한 분류군은 초롱꽃과 섬초롱꽃으로 유집되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금강초롱꽃속(屬)은 근연 분류군과 표피의 형질, 동위효소 분석등에서 근연 분류군과 뚜렷한 차이가 있어 특산속으로서 잘 구분되었다.

  • PDF

착생에 따른 담쟁이덩굴 흡착근 표피조직의 변화 (Epidermal Changes of the Adhesive Disks During Wall Attachment in Parthenocissus tricuspidata)

  • 김정하;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2호
    • /
    • pp.83-91
    • /
    • 2007
  • 식물체는 기관에 따라 조직 및 세포의 종류와 배열이 분화 초기단계에 이미 정해져 특징적인 형태를 갖게 되나 여러 요인에 의해 변형되기도 한다. 줄기에 덩굴손이 변형되어 부정근인 흡착근을 형성하는 담쟁이덩굴은 벽면 등의 피착면에 착생하는 식물로 이들의 흡착근은 특징적인 구조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착생에 따른 담쟁이덩굴의 흡착근 표피조직의 분화양상을 전자현미경적으로 추적하여 연구하였다. 흡착근은 분화 초기에 경정단 분열조직으로부터 포에 둘러싸여 발달한다. 초기의 어린 흡착근은 곤봉형으로 상 하피 구별이 되지 않으나 활발히 생장하는 흡착근은 구형으로 상 하피가 뚜렷이 분화된다. 최외층의 표피는 장방형의 세포로 구성되며 이들 표피세포는 세포벽에 얇은 각피층을 지닌다. 착생 전 흡착근은 볼록한 평철형이 되고 표피세포내 액포에는 전자밀도가 매우 높은 물질이 다량 축적된다. 착생 직전 및 직후 흡착근의 상 하피조직은 빠르게 변형되어 액포에 축적된 물질이 분비되면서 피착면에 더욱 밀착되고 수분이 소실된 흡착근은 세포사멸의 과정을 거친다. 이 시기 하피조직에서의 변화는 상피조직에 비해 급격히 일어나며, 분비물질은 벽면에 강력히 흡착되어 착생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착생을 전후로 급격한 하피조직의 변화가 일어나 흡착근 하피조직의 외곽면이 먼저 피착면에 접촉하고 전자밀도가 높은 물질이 분비되어 오목한 상태를 유지하던 중앙부위도 물질이 분비되면서 흡착근 전체가 부착되게 된다. 즉, 전자밀도가 높은 물질의 분비와 수분소실에 의한 흡착근의 피착면으로의 밀착 등이 담쟁이덩굴 흡착근의 착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매년 이와 같은 방법으로 흡착근은 분화 초기단계에서부터 노화에 이르기까지 여러 단계를 거치며 신속한 형태적, 구조적 변화를 수반하면서 강력한 착생기능을 수행하게 된다.토끼 면역항체를 선모충유충 조직항원에 반응시켰을 때 충체의 표피와 기저층 그리고 EIM 및 stichocyte의 ${\alpha}_0\;{\alpha}_1$ 과립에 황금입자가 표지되었다. 따라서 1일 동안 배설되는 분비배설항원은 선모충 유충의 표피와 stichocyte의 ${\alpha}_0\;{\alpha}_1$ 과립에서 유도되는 반면에 3일 동안 배설되는 분비배설항원은 표피와 stichocyte의 ${\alpha}_0$ 과립에서 유도되고, 선모충유충 감염후 1주, 4주에 실험쥐에서 형성되는 감염항체는 선모충의 표피와 기저층 그리고 EIM에서 분비되는 항원에 의하여 생성된다. 이상의 결과로 선모충의 분비배설항원과 감염항원은 선모충 유충의 표피와 EIM및 stichocyte의 ${\alpha}_0\;{\alpha}_1$ 과립에서 유도되며 이들은 45 kDa 단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성하고 있는 세포들에는 세포질이 어두운 세포와 밝은 세포가 있었으며, 세포질내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이 관찰되었다. 전체적인 특징은 눈물샘분비세포 중 장액세포의 것과 비슷하였으나, 과립의 크기는 작았다. 분비관을 구성하는 세포들 사이에도 연접복합체가 매우 잘 발달되어 있었다. 샘포에서 사이관으로 이행되는 곳에서도 샘포세포와 사이관세포 사이에서도 연접복합체가 관찰되었다. 분비관세포의 분비과립 가운데는 중심부분에 전자밀도가 더 높은 중심을 가진 다른 모양의 과립이 관찰되기도 하였다. 의해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결 론: 자궁경부암 환자에 항암화학요법과 동시에 외부 방사선조사와 고선량률의 강내조사를 시행한 결과 독성이 심하지 않고 국소제어율과 단기 생존율이 양호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장기 생존율과

은행나무와 곰솔에 처리된 인공산성비에 의한 잎의 형태변화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Foliar Structural of Changes of Ginkgo biloba and Pinus thunbergii)

  • 소웅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1호
    • /
    • pp.79-86
    • /
    • 1995
  • 은행나무와 곰솔의 잎은 pH 3.2 이하의 인공산성비 처리구에서 괴사반점과 황화현상 및 조기노화 현상이 나타났다. 잎표면 구조의 관찰에서 은행나무 잎은 pH 2.4의 처리구에서 잎표면 왁스층의 침식이 심하게 일어난 반면 곰솔의 경우 pH 4.0 이하의 처리구에서 왁스층의 침식이 심하게 일어났다. 은행나무 잎은 pH 3.2 이하에서 표피세포와 해면조직에서 구조의 변화가 나타났으나 유관속조직은 정상적인 구조를 나타냈다. 엽육세포의 크기는 산도가 높아질수록 작아지고 세포간극이 커졌다. 곰솔의 잎은 표피세포보다 엽육조직과 유관속조직의 피해가 현저하였다. 은행나무의 기공의 크기와 모양은 인공산성비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기공지수와 기공의 공극 크기는 높은 산도에서 증가하였다. 또한 인공산성비가 처리된 은행나무와 곰솔 잎의 기공들은 열려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