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층

Search Result 2,070,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표층혼합층 생태계모델을 이용한 동해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변화

  • ;;Yutaka Isoda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27-128
    • /
    • 2003
  • 표층플랑크톤 생물군을 통한 물질순환을 이해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영양염 사이의 물질순환을 간단한 미분방정식으로 표현한 생태계모델을 이용해 왔다. 그 중에서도 특히, Fasham(1995)은 북대서양과 북태평양의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간단하지만 표층 혼합층내 물질순환과정의 본질을 잘 표현한 혼합층모델을 작성했다. (중략)

  • PDF

남해 전선역의 표층퇴적환경과 와편모조류 cyst군집

  • 박종식;윤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38-139
    • /
    • 2003
  • 한국 남해역은 계절에 따라 대마난류, 황해저증 냉수괴 및 중국대륙연안수 등 다양한 수괴가 세력권을 달리하고 있어 다양한 해양환경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온전선역이 형성(국립수산진흥원, 2000)되는 해역을 대상으로 해수의 수온, 염분, 밀도 및 표층적물중의 IL, COD, Phaeopigment등에 의한 표층퇴적 환경과 와편모조류 cyst 군집으로부터 이 지역의 해양환경 특성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중략)

  • PDF

제주도 연안 초망어선의 소음에 관한 연구

  • 박성욱;서익조;오승훈;이창헌;최찬문;서두옥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67-68
    • /
    • 2001
  • 멸치를 어획하는 주 어구인 초망어업은 우리나라 남해안과 제주도 연안에서 행해지는 고유어법으로서, 이러한 초망어업은 큰 챗대 1개와 작은 챗대 1개는 반 기계적으로, 콧대 1개와 그물작업은 인력으로 조작되고 있는데, 멸치어군의 집어는 집어등을 선수 전방에 설치하여 2-3노트의 속력으로 항해하면서 멸치어군을 표층으로 부상시킨다. 이때 집어등만으로 멸치어군이 표층으로 부상하지 않으면 쇠파이프로 어선의 외관을 두드리거나 또는 기관 회전수를 빠르게 하여 공회전 시키면서 수중 소음을 발생시켜 멸치어군을 표층으로 유집시킨다. (중략)

  • PDF

Dynamic Soil Stiffnes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Underground Structures (지중구조물의 축방향 동지반강성계수)

  • 김대상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6 no.5
    • /
    • pp.149-155
    • /
    • 2000
  • 응답변위법에서 이용되는 동지반강성계수의 적절한 평가법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현재까지의 지진피해조사 및 장기간의 지진관측사례는 지반이 공진할 때의 변형모드가 지중구조물의 피해에 가장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지중구조물의 축방향의 지반의 변형모드와 그 타월 진동수를 특정하여 동지반강성계수를 평가했다. 동지반강성계수는 지반의 공진상태를 상정하고 있기 때문에 결과로써 지진파의 축방행 파장의 영향을 받지 않고, 관상구주물의 반경과 표층두께의 비, 표층두께에 대한 구조물의 매설위치, 표층지반과 기반의 임피단스비 라고 하는 3개의 무차원 변수에 의해 표현된다.

  • PDF

겨울철 행암만의 수질과 표층퇴적물 환경특성

  • 김평중;박종수;박영철;이성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55-257
    • /
    • 2001
  • 진해 행암만은 반폐쇄성 내만으로서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의 유입에 의한 부영양화가 매우 심화된 해역으로서 겨울철에도 빈번하게 적조현상이 일어나는 해역이다. 그러나 매년 봄철부터 가을철까지는 부영양화 및 적조발생에 관한 조사는 많이 행하여 왔으나 진해만 및 마산만을 연구하기 위해 한 두 정점에 국한하여 조사가 이루어졌을 뿐이다. 특히, Park (1975)의 연구 이후 행암만에 대한 상세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해수중 용존중금속 및 표층퇴적물중의 중금속농도분포도 거의 밝혀지지 않는 실정으로서 겨울철 행암만 수질과 표층퇴적물 중의 환경특성을 파악할 목적으로 본 조사를 수행하였다. (중략)

  • PDF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Grain Size of the Surface Sediments in Kwangyang Bay, South Coast of Korea (한반도 남해안 광양만 표층퇴적물 입도의 시ㆍ공간적 변화)

  • 류상옥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8 no.3
    • /
    • pp.340-348
    • /
    • 2003
  • Sedimentological investigations on surface and suspended sediments were performed in Kwangyang Bay of the middle South Sea in order to reveal recent changes in depositional environments concerning anthropogenic influence. A variety of coastal developments caused the texture of the surface sediments to become distinctively finer, particularly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bay. Accordingly, the westward lining sedimentary facies was somewhat simplified from triple-mode distribution to the dual-mode one by the construction of POSCO. This east-west distribution to the sedimentary facies has recently graded into the north-south distribution by further construction of other industrial complexes including Kwangyang Port. The prominent textural changes in surface sediments are most likely associated with weakening of tidal currents related to the developments which is anticipated to be .still continued. The distribution and flux estimation of suspended sediments suggest a noticeable import of fine particles into the bay predominantly through a northern entrance rather than the southern entrance. The movements of suspended sediments in the water level near the seabed prevailed over those of the mid and surficial levels.

Correlation between the Pacific Decadal Oscillation and East/Japan Sea SST in the Autumn (가을철 동해 표층 수온과 태평양 순년 진동의 상관성 분석)

  • PAK, GYUNDO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4 no.4
    • /
    • pp.509-518
    • /
    • 2019
  • Analyses with various Sea Surface Temperature (SST) products indicate that the interannual variability of the area-averaged SST in the East/Japan Sea (EJS) is well correlated to that of Pacific Decadal Oscillation (PDO) during 1979-2018, especially in the autumn. Th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wind vectors at 200 hPa, where the strongest jet stream flows, suggests that the long-term variability of the intensity as well as the meridional movement of the jet stream are related to the coupling of the autumn EJS SST and PDO. When the axis of the jet stream moves poleward (equatorward) with its weakening (strengthening), both the EJS SST and North Pacific SST increase (decrease). This suggests that both the intensity and meridional movement of the jet stream are possibly related to the coupling of the autumn EJS SST and PDO. However, effects of a weak jet stream during the summer and the strong East Asian winter monsoon make weak coupling between the EJS SST and PDO.

Season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in the Dongho Beach, Gochang-gun, Korea (고창군 동호 해빈 표층 퇴적물의 계절 변화)

  • So, Kwang-Suk;Ryang, Woo-Hun;Kang, Sol-Ip;Kwon, Yi-Kyu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1 no.7
    • /
    • pp.708-719
    • /
    • 2010
  • The Gochang-gun Dongho macro-tide pocket-type beach, located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i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seasonal variations of surface sediment and sedimentary environment. Surface sediments of 45 sites in four seasons (May 2006-February 2007) are sampled across three survey lines (15 sites in each survey line). The surface sediments of the Dongho Beach are mainly composed of fine to coarse sands, and the ratio of fine sand is the largest. The average of grain size is the coarsest in the summe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urface sediments shows a coast-parallel band of fine and medium sands during three seasons of spring, fall, and winter, whereas medium sands dominat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study area during the summ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tide is more effective than a wave in the surface sediments of the Dongho Beach during the summer.

Oceanographic Variability in Yellow Sea using Satellite Data: from the Viewpoint of Abnormal Rise in Seawater Temperature in 2004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의 해황 변동: 2004년 이상 수온 상승을 중심으로)

  • Yang, Chan-Su;Moon, Jeong-Eon;Ahn, Yu-Hwan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6.05a
    • /
    • pp.137-140
    • /
    • 2006
  •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황 변동에 관한 연구는 현장관측을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많이 수행되어 왔지만,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황 변동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것은 인공위성자료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관측항목이 표층수온자료에 국한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SeaWiFS 해색위성과 같은 인공위성자료들을 이용하여 부유물 농도, 엽록소 농도 등이 원활하게 생산되고 있으며 최근 연구결과에 의해 염분과 유향성분 등도 추정 및 추출이 가능케 되었으므로 이들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와 동 중국해의 해황 변동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특히 2004 년도는 계절변동에 있어서 이상기후의 해라고 점철되고 있다. 2004년 봄철의 폭설과 일시적인 고온현상, 여름철에는 10 년만의 무더위, 겨울철에는 36년만에 가장 포근한 날씨가 지속되었다. 이러한 이상기후의 발생은 해양과 대기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기인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황변동이 연안 해역의 해황변동과 어떠한 연관성이 존재하고, 이러한 요인들은 2004년도에 발생한 이상기후와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연구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2003년 12월 - 2004년 2월과 2004년 12월 - 2005년 2월에 동일한 시기에 관측된 NOAA 표층수온 분포 영상 자료들을 황해와 동중국해 해역을 중심으로 월별로 비교해보면 2003년 12월 2004년 1월에 관측된 표층수온 분포값보다 2004녀 12월 - 2005년 1월에 관측된 표층수온 분포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분포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국립수산과학원의 2004년 10월과 12월의 정선관측자료에서도 나타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2004년 2월에 관측된 표층수온 분포값보다 2005년 2월에 관측된 표층수온 분포값이 상대적으로 낮은 분포 특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한 황해의 2004년 해황 분석 결과는 이상수온 상승의 원인이 쿠로시오 해류의 변동과 관련성이 높다고 판단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현재 진행중에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