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준 프로세스

Search Result 671, Processing Time 0.04 seconds

Tailoring Technique for the Test Process (테스트 프로세스 tailoring을 위한 방안)

  • 윤회진;최병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a
    • /
    • pp.608-610
    • /
    • 1999
  • 표준에 정의된 내용을 가지고, 각 프로젝트와 도메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준의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일은 쉽지 않다. 표준에 근거하여, 어떤 부분을 어떻게 tailoring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표준은 표준대로 존재할 뿐, 실제 프로세스 정의에는 제대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표준에 대한 tailoring이 갖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포넌트가 갖는 메카니즘, 즉 customization과 composition을 이용한다. 표준에서 정의하는 프로세스를 추출하고, 그를 좀 더 다양한 모습으로 변형시키기 위해 콤포넌트들로 정의한다. 나아가 이들을 실제 특정 도메인에 맞게 tailoring하기 위한 customization과 composition 방안에 대해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프로세스 콤퍼넌트를 이용하여 표준의 테스트 프로세스를 도메인의 특성에 적합한 테스트 프로세스로 tailoring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프로세스 콤퍼넌트의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고려할 필요없이, 주어진 인터페이스와 플러그인들을 이용하여 customization과 composition만을 수행함으로써, 체계적으로 tailoring된 테스트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다.

  • PDF

The Common Level of ISO/IEC 15504 and ISO/IEC 20000 (ISO/IEC 15504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심사) 표준과 ISO/IEC 20000 (ITSM) 공통 수준)

  • Lee, Tae-Kyung;Jung, Ho-Wo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398-403
    • /
    • 2007
  • 국제표준화 기구인 ISO에서는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능력 향상을 위한 ISO/IEC 15504 표준과 IT 서비스 관리를 위만 표준인 ISO/IEC 20000 표준을 개발해오고 있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에서는 이 두 개의 표준을 통합하여 하나의 "표준 프로세스" 로 정의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 두 표준을 통합하여 기업이 하나의 표준 프로세스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두 표준의 공통된 부분을 찾고, 공통되지 않은 부분을 더해 하나의 체계로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두 표준의 비교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국제표준인 ISO/IEC 15504 part 5를 중심으로 IT 서비스 국제표준 ISO/IEC 20000 part 2를 비교해서 두 표준간의 공통적인 프로세스를 도출하고, 이 비교에서 ISO/IEC 20000을 기준으로, ISO/IEC 15504가 ISO/IEC 20000의 내용을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 PDF

IT 서비스 관리 프로세스에서 ITU E.800의 QoS 구현 및 감시

  • Lee, Mi-Won;Jeong, Ho-Won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142-147
    • /
    • 2007
  • ITU-T G.1000 표준에서는 통신 서비스 품질(QoS: Quality of Service)을 다음과 같은 4 가지 관점에서 정의하고 있다: (1) 고객의 QoS 요구사항, (2) 서비스 제공자가 약속한 QoS, (3)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한 QoS, (4) 고객이 인지한 QoS. 그러나 G.1000은 프로세스 표준이 아니므로 위 4 관점에서 QoS는 서비스 관리 프로세스 표준에 포함되어 구현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 4 개의 QoS를 프로세스 관리 표준인 ISO/IEC 20000 의 어떤 프로세스에서 구현해야 하는지를 제시한다. 본 연구에 따라 IT 서비스 관리 프로세스를 구현하는 기업은 ITU 의 QoS 요구사항을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IT 서비스의 심사모형 국제표준 작성에서 QoS 반영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 PDF

E-Catalog process of Product Line (프로덕트 라인을 적용한 전자 카달로그 작업 프로세스)

  • 박옥자;유철중;장옥배;신현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430-43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프로덕트 라인 개념을 활용하여 전자 카달로그 운영 프로세스를 구축하고자 한다. 전자 카달로그는 reactive approach(1)방법으로 프로덕트 라인 개발에 접근하여 기본적인 핵심적이고 표준적인 프로세스만 우선적으로 정의하여 각 세부항목을 명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프로세스의 기능을 확장하고자 한다 FORM 방법론에서 제안한 휘처 모델링 방법을 통해 얻어진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용하여 scoping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필수 프로세스와 지원 프로세스로 분류하였다. 전자 카달로그 표준안에서 제안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표준안 보고서, 프로세스 관리 계획 등을 기본 자료로 하여 각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product가 만들어지도록 production plan을 수립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Modeling Methodology for Business Process Standardization Using a Reference Model (참조모델을 활용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표준화를 위한 모델링 방법론 개발)

  • 문신명;임춘성;김훈태;박승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100-1107
    • /
    • 2003
  • 기업 비즈니스를 위한 업무절차와 문서/데이터에서의 일관성 확보를 통한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표준화는 기업 내부적으로 효율적으로 개선된 프로세스에 기반한 정보화시스템의 구축뿐만 아니라, e-비즈니스 환경에서 기업간 협업체계로의 적용을 통해 새로운 기업가치의 창출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 규모의 업체에서 자사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분석 및 모델링하고 공개된 표준적 모델을 참조하여 자사 프로세스를 표준화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즉, 기업이 유사 업종의 선진적인 표준모델을 참조 및 비교함으로써 프로세스 개선기회를 손쉽게 파악하고 자사 업무환경을 고려하여 프로세스 표준화의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수립하기 전 단계까지의 과정에 대한 방법론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표준모델의 참조를 통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표준화의 방법론으로 중소업체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업종 특성을 고려한 표준모델의 공개 및 보급과 함께 프로세스 표준화를 유도함으로써 기업내부 정보화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에 걸친 정보화 및 e-비즈니스 환경의 구현을 촉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ailoring Test Process by using Component-Based Development Paradigm (컴포넌트 기반 개발 개념을 활용한 테스트 프로세스 tailoring)

  • Yun, Hoe-Jin;Choe, Byeong-Ju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7 no.12
    • /
    • pp.1163-1173
    • /
    • 2000
  • 다양한 표준에 정의된 내용을 가지고, 각 도메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일은 어렵다. 왜냐하면 표준의 어떤 부분을 어떻게 tailoring 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사실 표준은 표준대로 존재할 뿐, 실제 프로세스 정의에는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기반 개발 개념을 이용하여 다양한 도메인에 맞게 프로세스를 tailoring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테스트 프로세스를 언급하는 다양한 표준들로부터 테스트 프로세스 컴포넌트를 정의하고, 이들을 특정 도메인에 맞게 tailoring 하기 위한 맞춤(customization), 조립(composition)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테스트 프로세스 컴포넌트의 인터페이스만을 고려하고 주어진 플로그인들을 이용하여, 맞춤.조립만을 수행함으로써, 체계적으로 tailoring된 테스트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A Study on Adaptability of ISO/IEC 12207 Software Life Cycle Process Standard in Obejct-Oriented Environment (객체지향 환경에서의 ISO/IEC 12207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공정 표준에 대한 적용성 연구)

  • 김은영;백인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400-402
    • /
    • 2000
  • 소프트웨어 시스템에 대한 요구사항이 증가하고 그 규모가 점차 거대.복잡해짐에 따라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절차, 방법 등이 무수히 생겨나게 되었다. ISO/IEC 12207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공정 표준은, 존재하고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보수에 대한 절차 및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지침을 제시하고, 이전의 프로세스 공정 표준들이 적용될 수 없는 새로운 개발 패러다임을 지원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이 표준은 표준 자체의 특성의 하나인 보편성을 유지하기 위해, 특정 프로세스 모델에 치우치지 않는 기반 표준(Base Standard)의 성격을 갖는다. 결국 기반표준은, 어떠한 프로젝트에서 어떠한 프로세스 모델을 사용하건, 임의의 방법론을 사용하든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최근, 질적인 성장 뿐 아니라 양적으로도 풍부한 성장을 거둔 객체지향 개발 환경에서는 전통적인 개발 환경에서와 많은 차이점을 보이며, 새로운 개발 프로세스들을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개발 프로세스 중 현재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Rational사의 Unified Process를 선택하여 ISO/IEC 12207 표준의 적용성을 고찰해보고, 표준의 발전, 개선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겠다.

  • PDF

웹서비스를 위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실행 언어 표준 도입 가이드라인 개발

  • Kim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235-24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웹서비스를 위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실행 언어인 BPEL4WS 표준을 구현하기 위한 표준 도입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BPEL4WS 표준을 지원하는 BPM 솔루션이 갖추어야 하는 참조 아키텍처(Reference Architecture)를 제시하고, 참조 아키텍처를 구성하는 핵심 컴포넌트인 BPEL 디자이너, 프로세스 공개 모듈 및 시작 모듈, BPEL 엔진 프로세스 모니터링 및 분석 모듈별로 구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이드라인은 BPM 시스템 개발 기업이 BPEL 표준을 적용하여 솔루션을 효율적으로 구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 PDF

XPDL 2.0: BPMN 통합과 프로세스 상호교환

  • Kim, Gwang-Hun
    • TTA Journal
    • /
    • s.106
    • /
    • pp.103-112
    • /
    • 2006
  • 워크플로우 및 비피엠 기술 관련 국제표준화기구인 WfMC은 지난 2005년 10월에 정보통신부 주관하에 비피엠코리아포럼,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전자신문이 공동 주최로 우리나라 서울에서 개최된 WfMC 2005 가을 멤버미팅 및 비피엠 표준 세미나에서 XPDL 2.0, 즉 XML기반프로세스 정의 언어 국제표준에 대한 개정판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바 있다. 그 후에 2006년 1월에 멤버들의 투표를 통해 최종적으로 공식화 되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개정된 XPDL2.0 표준규격의 BPMN 통합 내용과 이에 따른 기대효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즉, XPDL2.0의 주요 목적은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표준 그래픽적 표기법인 BPMN과의 통합을 위해 기존의 XPDL1.0을 확장ㆍ정의함으로서, 결과적으로 워크플로우 모델에 대한 표준 그래픽 표기법의 제정과 함께 여러 가지 비즈니스 프로세스 관련 도구들간의 프로세스 상호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표준 파일포맷을 정의하는데 있다.

  • PDF

A Study on the Personal Software Process Generator using the Process Tailoring Technique (프로세스 조정 기법을 이용한 개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생성에 관한 연구)

  • 장윤정;김우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64-66
    • /
    • 2003
  • 최근 많은 기업들이 조직의 프로세스 능력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준 프로세스를 정립하고 개발 과제에 적용하고 있다. 이는 체계적인 개발 활동을 통해 우수한 품질의 제품 생산을 유도하고 있지만, 개발 과제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적용되고 있어 프로젝트 관리상에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조직의 특성, 개발 과제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표준 프로세스를 조정하는 기법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하여 개인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도구에 대한 설계를 제안한다. 또한, 생성기를 통해 조정된 개인 프로세스들과 표준 프로세스와의 완전성, 일관성 체크를 통해 생성기의 품질을 보증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개인 프로세스 생성기는 조직의 자원을 최적으로 할당하여 불필요한 일정 낭비를 예방하고, 효율적인 프로세스 적용을 통해 프로젝트의 성공을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