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준 데이터 구조

Search Result 942,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S-10X 사례 분석을 통한 e-Navigation 정보엔진 구조설계 연구

  • O, Se-Ung;Gang, Dong-U;Sim, U-Seong;Kim, Seo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281-283
    • /
    • 2014
  • 국제수로기구는 항해안전과 수로정보 활용 증진을 위해 S-57 표준을 한계점을 개선하고 최신 GIS 표준을 반영하여 S-100 표준을 개발한 바 있다. 해사안전과 관련된 각 국제기구와 표준그룹에서는 S-100 표준을 기반으로 다양한 수로데이터 제품표준(S-10X) 개발을 논의 중에 있으며 가시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있으므로, 이를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ECDIS에서는 기존의 자료 구조와 주요 기능의 변경이 예상되고 있다. 한편, 국제해사기구에서 추진하고 있는 e-Navigation 전략에서 e-Nav 정보표준(CMDS) 개발 시작점으로 S-100이 선정됨에 따라, S-100의 핵심 개념이 e-Nav 정보엔진 설계에 반영될 것으로 예상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S-10X 사례 분석을 통한 e-Navigation 정보엔진 구조를 설계하고자 하였다. 현행 전자해도 시스템 구조를 분석하여 주요 특징을 정리 하였으며, 각 국제기구에서 논의하고 있는 S-10X 표준 내역을 분석하여 e-Navigation 정보엔진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자료의 유형과 종류를 벡터형 데이터, 그리드형 데이터, TIN형 데이터, 이미지형 데이터로 정리 하였고, 이를 토대로 e-Navigation 정보엔진 구조설계안을 도출하였다.

  • PDF

A Design of Data Model for Marine casualty based on S-100 (S-100 표준 기반 해양 사고 데이터 모델 설계)

  • Kim, Hyoseung;Mun, Changho;Lee, Seojeo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8 no.4
    • /
    • pp.769-775
    • /
    • 2017
  •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s e-Navigation strategy is to introduce new technologies to ships to support easier and safer navigation. With the e-Navigation strategy, various equipment will be installed in vessels and the system structure will be linked to onshore systems. For this reason, a common data structure between systems became necessary, and finally the S-100 standard developed by the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was selected. This paper describes a design of marine casualty data model based on the S-100 standard. The data model of the S-100 standard is designed in the form of a UML class diagram, and the final encoding follows the GML / XML format. We will look at the S-100 standard and product specifications under development, and describe the S-100 standards-based data design and portrayal definition of marine accident data.

A Study on Institutional Divice for Architectual Digital Data Protection (건축 디지털 데이터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에 관한 기초 연구)

  • Kim, Yong-Hee;Kim, Bong-Kyu;Choi, Jong-Chon;Kim, Khil-Chae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222-225
    • /
    • 2010
  • BIM 도입에 따른 정보교류와 협업이 활발해 질수록 건축과 관련된 디지털 데이터는 더욱 증가하고 있으나 법적 보호방안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건축 디지털 데이터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 중 법적체계 구축 및 보완에 관한 기초적 연구로 국내와 미국 건축가 협회의 표준계약체계 구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표준계약체계의 문제점 도출 하여 국내 건축디지털 데이터 보호를 위한 미국 계약체계 중 건축 디지털 데이터와 관련된 C 106과 E 201을 분석하여 건축디지털 데이터 보호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국내 표준계약체계의 개선방향 및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여 디지털 데이터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에 대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

A Standard Method-based Integrated Architecture for Supporting Multimedia Services among Heterogeneous Home Network Middlewares (이질적인 홈 네트워크 미들웨어간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을 위한 표준 메소드 기반 통합 구조)

  • Lee, Hark-Jin;Kim, Su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d
    • /
    • pp.399-404
    • /
    • 2006
  •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해 Havi, Jini, LonWorks, UPnP, SLP 등 여러 미들웨어들이 현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홈네트워크가 계속 진화함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전들에 대해 특화된 새로운 미들웨어들이 계속해서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홈네트워크 상에서 이질적인 미들웨어 간의 상호 연동을 위한 통합 구조 방식에 대해 고찰하고, 효율적인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을 위하여 기존 방식과는 달리 이질적인 미들웨어를 통합하는 표준 메소드 기반의 통합 구조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HOMI 구조 (HOmenetwork Middleware for Interoperability)는 이기종 미들웨어간의 연동을 위해 표준 메소드를 사용하여 이기종 장치들이 서비스를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HOMI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기존의 통합 미들웨어 구조와는 다르게 표준 메소드를 사용하여 장치들간의 연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홈네트워크를 위한 이기종 가전들간 연동의 효율성과 편리성을 향상시켰다. HOMI는 댁내에 존재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관리를 위하여 통합 멀티미디어 데이터관리 매니저를 두고, 장치들간에 연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분산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든지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HOMI는 통합 미들웨어를 위한 중앙 집중형 구조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에 의한 부하 문제를 Agent들을 여러 장치에 분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해결하였다.

  • PDF

Standardization of XML based Meta-data for Industrial Speech Databases (산업용 음성 DB 메타데이터 표준화)

  • Joo, Young-Hee;Hong, Ki-Hyung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2005.11a
    • /
    • pp.211-214
    • /
    • 2005
  • 본고에서는 산업용 음성 DB를 위한 XML 기반 메타데이터의 표준화에 대한 현재 상황과 표준화 활동에 대하여 소개한다. 산업용 음성 DB는 구축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요구하며, 양질의 음성 처리 시스템 (인식/합성/인증)의 개발을 위해서는 가능한 많은 양의 음성 데이터가 필요하다. 산업용 음성 DB 메타데이터 표준화는 서로 다른 기관에서 구축한 음성 DB의 공유와 재사용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2004년 9월부터 요구사항 분석을 시작하여, 2005년 3월 초안이 완성되었다. 본 표준안은 음성 DB 메타데이터의 구조를 XML 기반으로 정의한 것이며, 음성 파일 이름, 화자 식별자, 음소 기호와 같은 구조 외의 표준화 대상에 대해서는 다루지 않는다. 이미 ETRI와 SiTEC [5]에서 XML 기반의 메타데이터 구조와 내용 표준안을 제안한 바 있으나. [5]에서 제안한 구조는 평면 구조를 취하고 있어 내용의 중복성등의 단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여 음성 DB 데이터 모델을 객체지향 방식으로 설계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n OLE/COM-based OpenGIS Server Using the XML Data Provider (XML 데이터 제공자를 사용하는 OLE/COM 기반 OpenGIS 서버의 개발)

  • 홍동숙;윤재관;장염승;이강준;한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3-5
    • /
    • 2000
  • 최근 지리 정보 시스템(GIS)이 전 국가적으로 대중화되면서 서로 다른 분야에서 구축되어 서로 다른 환경에 분산되어 있는 이질적인 공간 데이터의 상호운용성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호운용성을 위해 OGC에 의해 표준 사양인 OpenGIS이 개발되었고, 이 사양을 바탕으로 개방형 지리 정보 시스템을 개발하여 다양한 데이터 소스간의 상호운용성을 얻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OpenGIS 사양을 따르는 상호운용성 지원 방법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소스별로 데이터 제공자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부담을 줄이고 효율적인 데이터 저장 및 관리를 위한 단일 처리 모델의 제시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표준 데이터 언어인 XML과 기타 다른 관련기술을 OpenGIS 서버의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에 도입하여, OpenGIS 사양을 따르는 기존의 이질적인 데이터 소스와의 연등을 지원할 뿐 아니라 표준화된 저장 구조의 데이터 소스에 대한 하나의 효율적인 데이터 제공자를 갖는 OpenGIS 서버를 설계 및 구현한다. 본 시스템은 OpenGIS의 지리 데이터 구조와 처리에 대한 인터페이스의 표준화를 통해 상호운용성을 보장하고, OLE/COM 사양을 이용하여 각 컴포넌트들의 재사용성을 지원하며, 또한 문서 저장 및 전달을 위한 데이터 형식의 표준인 XML을 사용하여 문서구조의 검증 기능과 문서접근 방식의 단일화를 지원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a Map' Data Importer Module ('바다지도' 데이터 입력 모듈 설계 및 구현)

  • Yeo, Jimin;Park, Daewon;Park, Suhyu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2
    • /
    • pp.91-99
    • /
    • 2014
  • This paper is about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aMap' importer module which is for map-based application using 'SeaMap' data. 'SeaMap' data importer is a module that reads 'SeaMap' data in consistent form and offers using easily change the format and the internal data structure in the application. Design of data importer module is based on analyzing characteristic of 'SeaMap'.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data type of 'SeaMap' and standard S-57 Electronic Navigation Chart (ENC) of the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IHO), based on this, to be applicable of S-52 standards 'SeaMap' data is defined as a structure of data. The importer module is designed and converted to allow to use distribution type of 'SeaMap' data sets in map application, parsing 'SeaMap' data around the object defining transformation data structure. In addition, we implemented a 'SeaMap' data viewer in order to test our 'SeaMap' data importer module.

Design of Image Metadata for Mobile Augmented Reality (모바일 증강현실을 위한 영상 메타데이터 설계)

  • Lee, Yong-Hwan;Park, Je-Ho;Yoon, Kyoungro;Kim, Cheong-Ghil;Kim, Youngseop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5 no.2
    • /
    • pp.263-270
    • /
    • 2014
  •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adata schema for effective mobile service of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which is used in the convergence of media into a frame among the real world image and objects of virtual world. The proposed metadata schema is extended from JPSearch Core Metadata Schema (ISO/IEC 24800-2 International Standard) with analysis of the functionalities under industrial requirements, and enables to provide an effective application in the actual services. In addition, the proposed schema is available to organize the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heterogeneous systems. With development of the prototype system, the proposed metadata schema is going to be submitted and verified under ISO/IEC JTC1 SC29 WG1 JPEG AR standard project.

Data naming rule (Codebook) 국제표준분석 및 국가산업표준개발

  • 전보미;전주영;김명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05a
    • /
    • pp.225-226
    • /
    • 2023
  • 선박의 애플리케이션 간에 표준화 되지 않은 데이터를 교환하고 처리를 용이하기 위하여 데이터 구조를 통일화하는 통합 규칙이 필요하다. 이에 ISO 19848 표준안은 선박 내 데이터 교환 및 향후 선상 장비가 인터넷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사항까지 고려하여 데이터 채널 ID를 Codebook에 따라 지정하도록 제안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을 통하여 자율운항 시험선을 대상으로 데이터 분류 규칙과 표준화된 Codebook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한국산업표준 제정하기 위하여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 PDF

The Distribution and Application Method of Next-Generation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s Standards (차세대 전자해도 표준의 배포방안 및 응용방안)

  • Kim, Seong-G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115-116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tandardization strategy for next generation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which can be classified as S-100 Universal Hydrographic Data Model, to accept various requirements arising from various marine information and services as well as support e-navigation service strategies. IMO uses the next generation electronic chart standard, S-100 as Common Maritime Data Structure. It means that a common data model is needed as a key element for realization of e-Navigation and also points out that a new ICT convergence paradigm is needed not only for marine safety but also for maritime information and services. this paper considers he model-based data representation and reference model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ntent and use of the S-100 standard and also considers the interconnectivity and role of the ISO/TC211 standards, which are being used as base standards for profiling to develop S-100 standard. Finally, we look at what standardization items are required for standardization of next generation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supporting multi-purpose and how they are used mutual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