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준 단위

Search Result 1,025,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GIS Interoperability in Local Governments (지자체 GIS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표준화 연구)

  • Jeon, Chang-Sub;Kim, Eun-Hyung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4 no.2 s.8
    • /
    • pp.41-54
    • /
    • 2002
  • The main questions of this study are how to reuse GIS applications and what to do for interoperability of the applications in local governments. To answer the questions, related technologies and standards of GIS are investigated.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s, such as ISO/TC211 and OGC(OpenGIS Consortium), are working on GIS interoperability standards based on component technology and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s. In this study, a standard model for interoperability of GIS applications in local governments is proposed based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s. Standardization process of GIS interfaces in local governments is as followed: 1) modeling of GIS business and 2) establishment of GIS service architectures 3) defining GIS standard interfaces 4) GIS component. In conclusion, by developing interoperable GIS applications based on component technology the reusability in local governments can be realized.

  • PDF

Research on Development of Support Tools for Local Government Business Transaction Operation Using Big Data Analysis Methodology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을 활용한 지방자치단체 단위과제 운영 지원도구 개발 연구)

  • Kim, Dabeen;Lee, Eunjung;Ryu, Hanjo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70
    • /
    • pp.85-117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unit tasks, unit task operation, and record management problems used by local governments, and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using text-based big data technology based on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process. Local governments are in a serious state of record management operation due to errors in preservation period due to misclassification of unit tasks, inability to identify types of overcommon and institutional affairs, errors in unit tasks, errors in name, referenceable standards, and tools. However, the number of unit tasks is about 720,000, which cannot be effectively controlled due to excessive quantities, and thus strict and controllable tools and standards are needed.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developed a system that applies text-based analysis tools such as corpus and tokenization technology during big data analysis, and applied them to the names and construction terms constituting the record management standard. These unit task operation support tools are expected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record management tasks as they can support standard operability such as uniform preservation period, identification of delegated office records, control of duplicate and similar unit task creation, and common tasks. Therefore, if the big data analysis methodology can be linked to BRM and RM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quality of the record management standard work will increase.

A survey on the Minimum Time Scale by South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for Daily SPI Application (일 단위 SPI 적용을 위한 한반도 남부지역별 최소 시간 척도 조사)

  • Chae Lim Lee;Ji Yu Seo;Jeong Eun Won;Sang Da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28-328
    • /
    • 2023
  • 표준강수지수(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는 강수량 변동의 정도를 표준화하여 나타낸 지수로, 가뭄 평가에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SPI를 산정할 때는 월 단위의 시간 척도를 적용하며, 장기간의 가뭄에 대해 평가한다. 그러나 시간 척도가 길어질수록 가뭄 발생 후 가뭄을 감지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더 길어지기 때문에 대처가 더욱 어려워진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 빈도가 증가하고, 그 정도가 더욱 심화되면서 일 단위의 적용이 필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한반도 남부지역을 대상으로 일 단위의 SPI 적용을 위한 최소 시간 척도를 조사하였다. 대상 지역을 강원권, 수도권, 부울경, 대경권, 호남권, 충청권의 총 6개 지역으로 분리하여, 각 지역별, 계절별 최소 시간 척도를 조사하였다. SPI 산정을 위해 후보 분포형으로 Gumbel, Gamma, GEV, Loglogistic, Lognormal, Weibull을 적용하였으며, 시간 척도는 5일부터 365일까지 총 10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선 크게 적합도 검정과 정규성 검정으로 진행하였다. 적합도 검정에서는 Chi-square test를 적용하였으며, 이때 일 단위의 짧은 시간 척도를 적용할 경우 누가 강수 시계열의 값이 0으로, 0값이 시계열에 포함되면 SPI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누가 강수 시계열의 0값을 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후보 분포형을 적용하여 산정된 SPI가 표준정규분포에 합당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Anderson-Darling test를 수행하였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봄과 여름의 경우 최소 15일 정도의 시간 척도까지는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겨울의 경우는 최소 30일 정도의 시간 척도를 적용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지역별로 차이가 크진 않지만, 이러한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각 지역별로 더 나은 가뭄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Effect on Drought in Korea (기후변화가 한반도 가뭄에 미치는 영향평가)

  • Kyoung, Min-Soo;Kim, Byung-Sik;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457-1461
    • /
    • 2009
  •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의 양과 패턴의 변화는 가뭄이나 홍수와 같은 극한사상의 발생가능성을 점차 증가시키고 있다. 이러한 극한사상의 발생에 대비하고자 기후변화가 가뭄이나 홍수에 미치는 영향 평가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월 단위로 IPCC를 통해서 제공되는 Global Climate Model(GCM)중 하나인 BCM2 모형(A2 시나리오 선택)을 기반으로 기후변화가 한반도 가뭄에 미치는 영향평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전구단위 기후모형인 BCM2 모형을 격자단위 관측자료인 NCEP(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자료를 이용하여 서울기상관측소 지점으로 축소하였다. 또한 축소된 강우자료의 편의를 보정하기 위하여 Quantile mapping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제시된 서울지점의 월 강우를 대상으로 표준강수지수(SPI)를 산정하여 기후변화가 서울지점의 가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기후변화를 고려할 경우, 전반적인 가뭄의 심도는 크게 깊어지지 않았으나 가뭄의 지속기간이 길어져 가뭄으로 인한 피해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A Meta-Data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ICT in Elementary Education (효율적인 ICT 활용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메타데이터)

  • Kim, Hun-Hee;Kim, Byeong-Seon;Kim, Chul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696-704
    • /
    • 2004
  • 제7차 교육과정의 시행과 더불어 정부와 민간에서 모든 교과의 교수 학습에서 ICT를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트를 다양하게 만들어 서비스하고 있으나 일관된 계획이나 표준안이 없이 필요에 따라 자료를 분류하여 만들어지다 보니 단위 수업 시간에 직접 투입하기에는 알맞은 자료를 검색하여 재가공을 하여 활용하거나 여과 없이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위 수업 중 자료투입시기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교육환경에 필요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탐색하고 메타데이터 요소를 추출하여 국제적인 메타데이터 표준인 DC Core Education 의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교육자료 검색 및 활용을 위한 베타데이터 요소를 추가 하였다. 초등교육 현장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교육 자료와 원상에 존재한 양질의 교육 정보 자원들을 일반적인 수업 흐름인 도입, 전개, 정리의 메타데이터 요소를 추가하여 통합검색과 체계적인 인터페이스를 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사가 쉽고 편리하게 단위 수업에 유용한 것을 찾아내고 수업에 투입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교수학습 자료를 수업에 직접 필요한 형태로 분류하여 제공하여 효율적인 교수 학습 자료를 공유하게 함으로써 ICT활용 수업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mpirical Research on Segmentation Method for Korean Dependency Parsing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의 분석 단위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Jinu;Jo, Hye Mi;Bock, Suyeon;Shin, Hyop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427-432
    • /
    • 2021
  • 현재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의 표준은 어절 단위로 구문 분석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의존 구문 분석의 분석 단위(어절, 형태소)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심도 있는 비교 연구가 진행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의존 구문 분석의 분석 단위가 자연어 처리 분야의 성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침을 실험적으로 규명한다. STEP 2000과 모두의 말뭉치를 기반으로 구축한 형태소 단위 의존 구문 분석 말뭉치를 사용하여, 의존 구문 분석기 모델 및 의존 트리를 입력으로 활용하는 문장 의미 유사도 분석(STS) 및 관계 추출(RE) 모델을 학습하였다. 그 결과, KMDP가 기존 어절 단위 구문 분석과 비교하여 의존 구문 분석기의 성능과 응용 분야(STS, RE)의 성능이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이로써 형태소 단위 의존 구문 분석이 한국어 문법을 표현하는 능력이 우수하며, 문법과 의미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로써 높은 활용 가치가 있음을 입증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learning process by unit of work capacity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의 직무능력단위별 학습과정 구현)

  • Im, Hyun-Ji;Lee, Byong-Kwon;Oh, Jang Wook;Ahn, Hyoung Choul;Baek, Jeong-Yeol;Kim, Wo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508-510
    • /
    • 2017
  •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 기술 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분별 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을 국가직무능력표준이고, 국가적 차원에서 표준화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의 능력단위별 학습모듈 기반으로 한 학습과정 설정과 학습을 구현했다.

알루미늄선박의 건조 단위공정별 작업표준에 대한 고찰

  • Gang, Byeong-Jae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v.20
    • /
    • pp.18-28
    • /
    • 2005
  • 연안소형어선에 주로 사용하는 FRP선질은 가볍고 강도는 우수하나 인화성이 높아서 기관실 화재사고 등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선박 제작 과정에서 인체에 해로운 유해성분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폐선의 경우 산업폐기물로써 환경오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런 반면에, 알루미늄합금 어선은 FRP 어선의 단점을 보완할수 있는 재료로써, 고강도 경량화의 효과를 낼 수 있고, RFP어선보다 인화성이 낮아서 열에 강하고 내구성이 높고 강선보다 해수의 부식방지에 뛰어나므로 알룸늄어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 호에서는 알루미늄선박 건조시 각각의 단위공정에 대한 작업방법, 작업순서 및 주의사항 등 표준에 대해 코리아타코마조선공법(주)의 알루미늄선박 작업지침과 KSB 0897(불황가스 및 아크용접 작업표준)를 일부 발췌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 PDF

CTU-Level based Discrete Sine Transform Interpolation Filter in Inter Coding (화면 간 예측에서의 CTU-Level 기반 Discrete Sine Transform 보간 필터)

  • Kim, MyungJun;Lim, Sung-Chang;Lee, Yung-L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11a
    • /
    • pp.107-109
    • /
    • 2017
  • HEVC 표준은 정수 화소로 표현된 신호에 DCT-II 를 기반으로 하는 보간 필터를 사용하여 부화소 신호를 생성한다. 움직임 보상 및 예측의 성능 향상을 위해서 부화소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HEVC 표준은 부화소를 각각 1/4-화소 단위로 생성을 하며, 부화소를 생성하기 위해서 길이가 다른 각각의 DCT 보간 필터를 사용하고 있다. 1/2-화소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필터의 길이가 8 인 DCT 기반 보간 필터를 사용하며, 1/4-화소와 3/4-화소의 경우에는 필터의 길이가 7 인 DCT 기반 보간 필터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DST-VII을 기반으로 하는 보간 필터를 제안하여, CTU-Level 단위로 RDO 과정을 통해 최적화된 보간 필터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HEVC 표준보다 BD-rate 가 Low Delay B 와 Random Access configurations 에서 각각 0.6%와 0.6%의 성능 향상을 가져오며 Low Delay P configuration 에서 0.5%의 성능감소를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