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표준화 동향

Search Result 2,24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지능망(IN) 기술 표준화 동향

  • 정만상
    • TTA Journal
    • /
    • s.66
    • /
    • pp.48-65
    • /
    • 1999
  • 본 고는 전기통신망에서 유연한 서비스 제공 구조인 지능망 기술의 표준화 동향을 분석한다. 먼저 지능망 기술 개념과 지능망 관련 국제/지역 표준화 관련 기관을 살펴보고, ITU-T SG11을 중심으로 한 지능망 국제 표준화 결과인 IN CS-1,2,3의 주요 내용을 요약 정리한다. 그리고 최근의 지능망 표준화의 주요 이슈인 지능망에서의 인터넷 지원을 위한 지능망-인터넷 연동 표준화 동향과 IMT-2000에서의 지능망 표준화 동향을 전망하기 위하여 현재 진행 중인 IN CS-4 표준화 동향을 분석한다. 향후 무선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기반인 IMT-2000에서의 지능망 표준화 동향을 전망하기 위하여 유럽과 북미의 지역 표준화 기구에서 추진 중인 무선 지능망 기술 규격인 CAMEL과 WIN의 표준화 동향도 분석한다. 끝으로 국내 지능망 표준화 현황을 정리하고 향후 국제 표준화 추세 등을 고려한 국내 표준화 추진 전략을 제안해 본다.

  • PDF

ITU-T SG11에서의 UPT 표준화 동향

  • 강태규;배현주
    • TTA Journal
    • /
    • s.36
    • /
    • pp.65-77
    • /
    • 1994
  • 본고에서는 UPT정의, 관련조직, 표준화 동향 등을 분석한다. UPT 정의 측면에서는 개인 이동성을 설명하고, UPT 관련 ITU-T 조직으로는 ICG FPLMTS, JCG UPT, PMG2 UPT, ITU-T SG11 등을 기술분석하였다. UPT 표준화 동향으로 권고안 목록, 표준화 작업중인 기본 문서, 표준화의 현 상태, 표준화 계획등을 기술하였다.

  • PDF

Analysis on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Activities in Japan (일본의 국제 표준화 활동 동향과 시사점)

  • Kweon, S.C.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4 no.4 s.58
    • /
    • pp.67-80
    • /
    • 1999
  • 본 고에서는 일본의 국제 표준화 활동의 동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우선 일본의 기본적 표준화 정책방향을 검토한 후, NTT와 KDD 등 통신사업자와 NEC 등 통신제조업자의 국제 표준화 전략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표준화 정책의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The Analysis of Standardization in Intelligent Network Capabilities Sets Adapted Directory Technologies (디렉토리 기술이 도입된 세대별 지능망 표준화동향분석)

  • Yun, K.O.;Kang, T.G.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0 no.2 s.36
    • /
    • pp.59-71
    • /
    • 1995
  • 본 고에서는 디렉토리 기술이 도입된 세대별 지능망의 표준화 동향을 분석한다.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분야(ITU-T)의 지능망 관련 표준화를 제 1세대, 제 1세대 보강, 제 2세대, 제 3세대, 최종적인 지능망 형태 등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 하였으며, 지능망이 도입되면서 제공되는 종합 개인 통신 (UPT)을 설명하고, 종합 개인 통신을 위해 디렉토리 기술이 필요한 이유와 디렉토리의 표준화 동향을 분석하고, 지능망과 종합 개인 통신, 디렉토리 등과의 관계를 분석, 설명하였다.

Trends of Digital TRS Technologies (디지털 주파수공용시스템의 기술동향)

  • Lee, Yeong-Hwan;Park, Seung-Geun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1 no.4 s.42
    • /
    • pp.49-62
    • /
    • 1996
  • 현재 디지털 주파수공용통신시스템(Trunked Radio System: TRS)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아날로그 TRS에 대한 표준화가 무산된 경험이 있는 국내 실정에서는 표준화를 진행하면서 이에 필요한 각 시스템(모토롤라의 IDEN, 지오텍스 FHMA, 에릭슨의 EDACS PRISM)에 대한 특성과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또한 미국, 유럽 일본에 추진하고 있는 디지털 TRS의 표준화 동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들 디지털 TRS에 대한 기술 동향을 살펴보고 디지털 TRS에 대한 표준화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자동화 및 계측제어분야에서의 국제표준화 동향

  • 이은호
    • ICROS
    • /
    • v.3 no.1
    • /
    • pp.8-32
    • /
    • 1997
  • 이 글에서는 자동화 및 계측제어 분야에서의 표준화와 관련된 국제표준화 기구의 현황 및 규격제정 동향을 살펴보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이 분야에서의 국내 표준화 현황에 대하여도 고찰하고자 하며 자동화 및 제어계측기술의 발전을 위하여 표준화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trend of Standardization for Wireless ATM (무선 ATM의 표준화 동향)

  • 홍재환;이경호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1998.10a
    • /
    • pp.107-110
    • /
    • 1998
  • 고속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차세대 전송망은 ATM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ATM망에 대해 표준화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ATM Forum과 유럽 및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무선 ATM 관련 표준화 동향을 분석하고, 현재 각국에서 추진중인 무선 ATM의 구현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그리고 ATM Forum의 표준화 분석을 통하여 무선 ATM연구 방향 설정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Overview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s Standardization and Standardization Efforts of Wireless LAN (무선통신 표준화 동향 및 무선 LAN 표준화 현황 조사분석)

  • Park, Yeong-Mi;Gu, Bon-Hui;Mok, Jin-Dam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1 no.1 s.39
    • /
    • pp.105-119
    • /
    • 1996
  • 본 고에서는 무선통신 표준화 대상을 제품별로 구분하여 조사분석하고, 무선LAN 표준화 동향 및 기술을 조사분석 한다.

ATM Forum 표준화동향

  • 최준균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2 no.3
    • /
    • pp.13-24
    • /
    • 1995
  • 본 고에서는 현재 ATM 포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ATM 접속규격과 ATM 시스템에 관한 표준화 동향을 ATM 포럼의 각 기술분야 별로 최근 동향을 정리한다. 이를 위해 먼저 ATM 포럼의 일반 조직과 각 위원회의 주요활동 내역을 간략히 소개한 후에 기술위원회 산하의 9개의 그룹의 주요 표준화 동향을 정리한다.

  • PDF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술 및 국제 표준화 동향

  • Choe, Hwan-Seok;Lee, U-Seop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0 no.3
    • /
    • pp.8-30
    • /
    • 2015
  • 각종 사물을 인터넷에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 융합 기술인 사물인터넷은 기업, 국가, 학계 등의 다양한 참여를 통해 연구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다양한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술 동향을 국제 컨소시움, 국외 업체, 국내 업체에 따라 분류하고 각 플랫폼의 특징 및 동향을 살펴본다. 또한 국제 표준화 단체의 사물인터넷 관련 기술 표준화 동향을 소개한다.